• 제목/요약/키워드: 7th National Curriculum

검색결과 507건 처리시간 0.032초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이행에 따른 학년간 내용 이동 분석 (On the Gap of Revision and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ccording to Shifts in Contents)

  • 김상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1권2호
    • /
    • pp.95-103
    • /
    • 2008
  • 제7차에서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으로 이행하면서 이에 따라 개발된 교과서를 2009년부터 실행하게 된다. 개정안으로 이행함에 따라 수학과 교육내용의 일부는 학년 간에 이동하였다. 이로 인하여 교육과정 이행 시기 속에 있는 특정 학년도 학생들은 별도의 조치가 없이 도입된다면 일부 내용의 탈락이 예상된다. 본 논문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이행 시기에 있는 학년별 수학과 교육내용의 이동을 분석하고 이행 시기에 있는 특정 학년도 학생들이 겪게 되는 학년 간 내용 이동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첫째로,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이행에 따라 학년 간 이동하는 수학과 교육내용을 영역별로 살펴보고, 둘째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실시 시기에 따라서 특정 학년도 학생들에게 나타나게 될 학년 간 이동에 따른 교육 내용의 탈락을 분석하였다.

  • PDF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 수학과 교과서에서 공학 도구 활용의 변화 분석 (The Analysis on Utilization Trend of the Technology in Secondary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6^{th}$, $7^{th}$ and 2007 Revised Curriculum in Korea)

  • 김미화;손홍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975-994
    • /
    • 2013
  • 본고는 제6차, 제7차 및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등 수학 교과서 180권에 나타난 공학 도구의 활용 현황을 내용 영역, 활용된 공학 도구 종류, 활용 방식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시사점을 찾고자 한 것이다. 분석 결과 제6차 교과서에서는 주로 대수 및 해석 영역에서 계산기나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은 간단한 공학 도구의 기능 소개 및 보조 도구형태로 활용되었고, 그 빈도수가 작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제7차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들어오면서 대수, 해석, 기하 및 통계 내용 영역에서 비교적 고르게 다양한 공학 도구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제7차에서는 인터넷의 활용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가 2007 개정 교과서에서는 많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제6차에서는 의도된 탐구 유형의 활용 장면이 거의 없었지만, 제7차 및 2007 개정 교과서에서는 그와 같은 활용 장면이 증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학생중심의 탐구 학습 유형의 활용 장면은 매우 적어 앞으로 늘릴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의 탐구" 단원에 제시된 과학사 내용 분석: 6차와 7차 교육과정에서 개발된 교과서 비교 (An Analysis of the History of Science Presented at the Chapter of Inquiry of Science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A Comparison of the Textbooks Developed Under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am)

  • 전경문;박현주;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825-83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과학의 탐구"단원을 대상으로 과학사의 내용 유형 및 표현 수준을 분석하고, 이를 제6차 교과서와 비교했다. 6차 교과서 12권, 7차 교과서 7권의 57개 소단원을 분석했다. 과학사의 '개념적', '과정적', '문맥적' 세 범주의 쪽당 빈도에서 7차의 평균이 6차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고, 특히 '개념적' 범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과학사의 '확장적', '제한적' 두 표현 수준에서는 '확장적' 표현의 쪽당 빈도에서 7차의 평균이 6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차에서의 과학사의 빈도 및 표현 수준의 향상은 학생들이 과학의 개념 및 본성에 대해 이해하고, 과학에 대한 흥미를 갖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기의 초등 과학교과 현장학습 실태조사 (A Survey on Science Field Study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in 7th Korean School Curriculum)

  • 김은진;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2권2호
    • /
    • pp.173-18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bout current status of science field study in elementary schools. A total of 72 elementary teachers in Busan and Gyungnam districts were involved and the data from questionnaire was gathered. The questionnaire was comprised two parts: items on general level include the epistemological aspect and actual condition and items on concrete level according to chapter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Many teachers cognize the requirement of science field study in 7th Korean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is larger than 6th one. But they respond the actual number of science field study in 7th curriculum is nearly equal to 6th. 2. In analysis to grades, the actual number of field study decrease as grade is high. 3. In the science content aspects, the requirement of field study is the largest on biology domain and earth science domain. 4. Many teachers have pointed out “the difficulty of administration for field study” and “inappropriated surrounding of their school” as the problems of science field study in elementary school.

  • PDF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정보사회와 컴퓨터' 교과의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ssessment Model for the 'Information Society and Computer' subjec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이승현;곽은영;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5-2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정보사회와 컴퓨터' 교과의 평가도구를 제시한다. 제시된 평가도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목표와 '정보사회와 컴퓨터' 교과의 특성을 모두 반영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고 현장 교사들이 구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교육과정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분석된 교과내용을 영역별로 분류하고 성취기준과 평가영역, 평가기준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평가 모델 기반의 예시 평가도구를 제시함으로써 학교현장에서 교육목표가 구현된 평가 활동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현장 전문가의 타당성 검증을 통하여 제시된 평가 도구의 현장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PDF

제7차 중학교 환경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환경쟁점 분석 (An Analysis on the Environmental Issues in the Middle School Environmental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 정철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7권2호
    • /
    • pp.38-49
    • /
    • 2004
  •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recognition that presenting principally environmental issues in environmental textbooks is a form of local, national, regional, and global issues. The environmental textbook in the 7th environmental curriculum is to be composed of contents that could encourage the inquiry of value and change of attitude to take part in environmental preservation on the foundation of the comprehension about ecosystem.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of the contents of the environmental issues betwee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in the middle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The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total 4 sections related to environmental issues in environmental curriculum of middle schools. The content areas that are included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Getting the Hot Earth’, ‘Decreasing Forest and Increasing Desert’, and ‘Pleasant Surrounding and Quality of Life’. Secondly, an environmental textbooks that are used in school education edited for direction that coincide in motive that is ‘real life-centered education’ that is presenting in the 7th environmental curriculum. Specially, introduction to local environmental issues coincides the intent of the curriculum revisions that are ‘environmental education within everyday life’ and ‘contents of local-centered environmental education’.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teaching about environmental issue in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 PDF

제 7차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적용의 쟁점과 개선방향 - 2005학년도 대학입학전형제도와 관련하여 - (Issue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2005 College Entrance System : Critical Considerations for the Recent High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장경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1호
    • /
    • pp.27-42
    • /
    • 2003
  • 학습자의 수준 고려, 학습자에 교과선택권 부여. 학교의 재량활동범위 확대 등으로 그 특징을 요약되는 제 7차 수준별 교육과정이 2003 학년도부터 고등학교 수학과의 선택중심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교육과정의 취지와 다른 양상이 드러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특징, 교육과정 적용을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예상된 문제점과 새롭게 드러난 국면을 살펴보고 그 원인을 2005 학년도 대학입학 제도와 관련시켜 분석한다. 특히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구성과 선택교과의 특성, 2003 학년도부터 적용되는 선택교과의 적용 실태, 2005학년도 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과 대학 입학전형정책이 제 7차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고, 현 상황에서 제 7차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적용을 위하여 수능체제, 대학입시정책, 연수 등에 관한 실질적인 제안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Information Graphics in the 10th Grade Social Studies Textbooks

  • Lee, Sang-Boc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6권4호
    • /
    • pp.843-84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idea of data view and information graphics is used in the social studies high school textbook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social studies middle school textbooks for the 10th grade students. We set up three questions for this study; what kinds of information graphics are used in the textbooks, how the graphics are organized in the social studies middle school, and how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related with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Through the data analysis, we found that 1) photographs, information tables, illustrations, etc., are used and frequencies of their usages are in descending order, 2) double lines graphs, and stripe graphs are often adopted for the comparison of populations, 3) the relation of the two subjects curricula is not well developed, especially in the curriculum steps of information maps, scatter diagrams, and comparison of populations. Finally we suggest that new web site of data view or information graphics be provided for two curricula, workshop of information graphics be needed for social studies teachers, and modification of the 7th probability and statistics curriculum.

  • PDF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실태 분석 연구 - 초등 단위학교 및 교사 수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the Seventh Mathematics Curriculum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 최승현;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6권2호
    • /
    • pp.213-233
    • /
    • 2004
  • This study looked into the procedures of and the statu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7th national curriculum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especially focused on the subjects of schools and the teachers for the actual curriculum implementation.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1) the degree to which the particular innovation(i.e., student-centered, flexible and autonomous school-based curriculum, etc.) is be-ing implemented as planned; and 2) how it is being implemented. It conducted a situation-oriented analysis in cooperation with three local boards of education. Classroom observations, teacher interviews, questionnaires for teachers and supervisors were utilized and the three major criteria of interpreting the result were the three core concept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at is, the degree of "(1)reorganization, (2)student-centeredness, and (3)diversification/specialization" of the curriculum. Detailed documentation on the processes of the local bureaus of education and on the classroom practices are made in order to provide schools and policy makers with relevant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further improvement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 PDF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 과학 생명 영역에 대한 학습차원의 하위 범주 분석 (Analysis of Lower Categories of Dimensions of Learning in Elementary Biological Science Uni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Curriculum)

  • 배진호;정현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3호
    • /
    • pp.203-213
    • /
    • 2005
  • In this study, the biological unit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were classified to the lower categories of Dimensions of Learning out of the 1 st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using the Dimensions of Learning Project developed by ASCD in USA. Also they were investigated which lower categories of Dimensions of Learning were used to the Curriculu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percentages of using the lower categories of Dimensions of learning increased gradually from lower to higher grade regardless of any versions of Curriculum. For example, the percentages of using the lower categories according to grade 3 to 6 were increased by $56.1\%,\;61.4\%.\;67.1\%,\;86.8\%$ in the 7th Curriculum (r = .942).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percentages of using lower categories of Dimensions of Learn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curriculum, the average percentages appeared to be $37.9\%,\;42.9\%,\;41.1\%,\;47.6\%,\;47.6\%,\;50.5\%,\;67.9\%$ from the 1st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verage percentages were increased gradually from the 1st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r = .878). Third, the average percentages of using the lower categories of Dimensions of Learning decreased approximately from 1 st to 5th Dimension. Th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a desirable organization considering the physiological, cognitive development of elementary stud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