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th Korea National Curriculum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6초

우리나라와 이스라엘의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Israel)

  • 장진주;서혜애;송방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43-45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첨단 과학기술의 발달로 세계의 경제권을 주도하고 있는 이스라엘의 중학교 과학기술의 교육과정을 우리나라의 제7차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비교하였다. 우리나라에 비해, 이스라엘은 21세기 첨단 과학기술이 주도하는 국제사회에서의 국가 경쟁력을 과학기술교육의 강화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이스라엘은 과학기술을 가장 강조하여 수업시간 수를 최고비율로 배당하고 있으며, 과학영역의 물리, 생물, 화학, 지구과학의 고전적 구분보다는 과학기술의 첨단 내용과 기술 사회적 측면의 내용을 첨가하여 에너지와 상호작용, 물질, 유기체, 지구와 우주, 기술체계와 생산, 정보와 통신, 생태계의 7개의 필수영역으로 구분하고 있었다. 특히 생태계을 가장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내용에서는 기술적 측면과 사회적 가치 측면을 강화하고 다학문적, 간학문적 접근방법을 도입한 과학 기술 사회 접근방법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스라엘의 과학 기술교육 교육과정의 내용, 수업시수 배분의 특징은 정보기술(IT), 생명공학기술(BT), 나노기술(NT) 등의 미래 유망 신기술을 추구하는 국가 과학기술인력의 기반을 형성하는 데 성공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고찰되었다.

영어과에서의 환경교육 내용 체계화 및 강화 방안 (The Intensific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in English Subject Education)

  • 이소영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2권1호
    • /
    • pp.99-109
    • /
    • 1999
  • Environment education, which is a principal solution to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 world, is being practiced in Korea through the national curricula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However, it hasn't been effective so far to practice environment education within those schools where a variety of subjects are taugh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possibility of practicing environment education and thereby to make some suggestions for effective environment education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which doesn't seem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 education. This study first specified prospective contents of environment education by analyzing the Seventh National English Curriculum. Then, on the basis of them, the study explored how to practice environment education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Finally, for effective environment education, it made some suggestions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sistent efforts.

  • PDF

수학과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 초등학교 1, 2학년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based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for 1st and 2nd Grades in the Primary School Level)

  • 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1호
    • /
    • pp.73-95
    • /
    • 2000
  •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seven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to specify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at the first and secon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e assessment standards were also developed to differentiate students’ levels of achievement with ‘high’, ‘mid’ and ‘low’ categories. Furthermore, this stuffy suggested the exemplary test items including short-answer and open-ended questions while putting emphasis on students' real performance to increase their ability in solving problems rather than in calculating. In addition to the test items, it introduced the grading system developed to grade the items with concrete guidelines and to report students' achievement on doing mathematics.

  • PDF

중등 학교에서 GIS 교육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GI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 A Case study of High School)

  • 오충원;성춘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89-100
    • /
    • 2003
  • 이 연구는 중등 학교 교육에서 GIS 효육의 현재와 발전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최근 개편된 고등학교 교육 과정에서는 GIS에 대한 내용과 비중이 늘어났으며, 이에 따라 GIS 교육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커지고 있다. 둘째, 이에 대비한 GIS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교과 과정 설정에 부합되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제반 환경이 부족하여 교수-학습 현장에서의 GIS 교육이 활발히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본적인 GIS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셋째, 향후 학교 교육에서 GIS 교육은 'GIS를 활용한 교육'과 'GIS에 대한 교육'의 통합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보화가 진행될수록 GIS 교윽의 중요성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 GIS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지리' 교과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체계적 준비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한국과 중국 고등학교 화학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High School Chemistry Curricula in Korea and China)

  • 이화국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52-666
    • /
    • 2000
  • 본 연구는 한국의 고등학교 화학 교육과정을 중국의 고등학교 화학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중국의 학교 과학교육에 이해를 증진시키고 우리 나라의 화학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중국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교육부에서 교육과정을 국가 교육과정으로 제정하여 시행한다. 중국 고등학교의 현행 화학 교육과정은 1981년에 제정되고 1994년에 마지막으로 수정된 보통고급중학교 교학대강이나 1996년에 새로운 교육과정이 제정되어 일부 성에서는 이 교육과정에 의한 교육이 실시되고 었다. 한국에서도 현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화학교육이 2002년부터는 1997년에 고시된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육으로 이행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1996 고등학교 화학교육과정과 한국의 제 7차 고등학교 화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양국 고등학교 화학 교육과정의 성격과 교육목표, 역사적 변천, 편제와 시간 배당, 집필 구조와 양, 교수-학습 내용, 학습평가 계획의 문제를 비교 분석하였다. 중국의 화학 교육과정에는 구 소련의 영향이 상당히 남아 있으며, 한국의 화학 교육과정과는 다른 특징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과 한국 교육 과정의 비교 분석 결과로부터 현행 한국 화학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내용을 논의하였다. 중국의 화학 교육과정이 시사하는 아이디어를 고등학교에서의 공통과학 설치, 교육과정의 시험적 운영제도, 고등학교 화학과목의 필수적 이수, 과학교과 과목의 종류와 화학과목의 배치, 교육과정의 상세화, 구두시험에 의한 학습평가 분야로 나누어 결론과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 PDF

타일러의 목표 자원에 따른 초. 중등 컴퓨터 교과 목표 탐색 (The Search of Subject-matter Objectives of Computer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ccording to Tyler's Objective Resources)

  • 유인환;신수범;이철현;이태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3-22
    • /
    • 2000
  • 교과교육학의 구성요소라는 위계에 비추어 볼 때 Tyler의 목표모형에서 교육목표는 교육과정의 순환과정에서 가장 먼저 결정되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제시하고 있다. 이는 학교에서 컴퓨터를 왜 가르쳐야 하느냐에 대한 물음에 대한 대답이며 컴퓨터 교육의 올바른 정립을 위한 가장 중요한 초석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의 총괄목표와 컴퓨터 관련 교과의 목표를 목표 자원별로 분석했고 Tyler의 목표 자원별로 바람직한 컴퓨터 교과의 목표는 무엇인지 탐색해 보았다. 바람직한 컴퓨터 교과의 목표 실정은 컴퓨터 교육을 정립시키는 기반이 될 것이고 이를 토대로 체계적이고 통일된 컴퓨터 교육과정의 개발에도 기여할 것이다.

  • PDF

중학교 1학년 수학과 서술형 평가문항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roblems for Descriptive Evaluation in Grade 7 Mathematics)

  • 노선숙;김민경;조성민;백해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7권4호
    • /
    • pp.487-503
    • /
    • 2008
  • In this paper, descriptive assessment method for middle school mathematics was evaluated by developing a framework for designing and grading problems for descriptive assessment and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blems. The new descriptive assessment problems were developed by reviewing the current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and aligned mathematics textbooks to define a set of problem design principles and evaluation framework for the assessment strategy. The developed problems were first pilot tested and then revised based on the feedback from the test. The final version was field tested by 100 students in 7th grade middle school. After the field test, the problems were graded by two middle school math teachers and one math education researcher to determine the overall correlation between graders and also to analyze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framework of the test. This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assist in the further development of descriptive problems and grading framework by providing a reference work for teachers to better understand the process and the limitations of executing the new assessment strategy.

  • PDF

수학교사의 확률과 통계에 대한 지식과 신념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 on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 김원경;문소영;변지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4호
    • /
    • pp.381-406
    • /
    • 2006
  • This work aims to investigate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 on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this aim, two research questions are estabilished as follows. (1) How is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on the main contents of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2) What is mathematics teachers' belief on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Survey an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answer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Subjects of the survey were 2 7mathematics teachers who were answered to questionnaire. Among them, 3 volunteers were chosen by provinces for in-depth interview. Research findings in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re as follows. Firstly, mathematics teachers do not have much of mathematical knowledge on the newly added and changed contents of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Secondly, mathematics teachers do not change their teaching-learning method for probability and statistics. Thirdly, many teachers think that the use of technology and reconstruction of the textbooks are required in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But, they stick on their own way. Research findings in mathematics teachers' belief are as follows. Firstly, many mathematics teachers view the nature of statistics as a branch of the applied mathematics and put the value of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on the practical usefulness, Secondly, many mathematics teachers think that understanding concepts and improving problem solving ability are the best method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Thirdly, many mathematics teachers think that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textbooks should cause motivations and interests in order not to give up studying probability and statistics. It is expected that the above findings can be used to change teacher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o improve teachers training program.

  • PDF

Comparison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Education in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High School

  • Lee, Sang-Boc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5권3호
    • /
    • pp.523-529
    • /
    • 2004
  • In Korea, mathematics education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renov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nouncement in 1997. The education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has been carried out as a part of this curriculum. We analyze and compare 3 kinds of mathematics textbooks for 10-12 grade students. Descriptions of random variable, sample variance and sample standard deviation, distribution of sample mean, and etc. which are on some textbooks, are misleaded in school education. We suggest the unbiased estimator of sample variance in textbooks and distributions of sample means with normal population assumption.

  • PDF

도형 학습을 위한 어드벤처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dventure-Game style Program for Figure Learning)

  • 이재무;김민희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33-42
    • /
    • 2006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과 도형 영역에서의 수준별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어드벤처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생의 능력, 적성, 필요, 흥미 에 대한 개인차를 최대로 고려하는 수업을 통하여 학생 개개인의 성장 잠재력과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수준차가 심한 다인수 학급체제에서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개별화 학습을 실시하여 교육의 수월성을 추구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van Hiele 이론을 적용한 수준별 게임 학습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높일 수 있는 어드벤처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심화 보충학습이 필요한 학습자들에게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학습을 지원하여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며 공간 지각 능력이 필요한 도형 학습에서 다양한 조작활동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의 공간 감각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