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p15.3

검색결과 8,032건 처리시간 0.037초

Genetic Variants at 6p21.1 and 7p15.3 Identified by GWASs of Multiple Cancers and Ovarian Cancer Risk: a Case-control Study in Han Chinese Women

  • Li, Da-Ke;Han, Jing;Liu, Ji-Bin;Jin, Guang-Fu;Qu, Jun-Wei;Zhu, Meng;Wang, Yan-Ru;Jiang, Jie;Ma, Hong-Xi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호
    • /
    • pp.123-127
    • /
    • 2014
  • A recent study summarized several published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GWASs) of cancer and reported two pleiotropic loci at 6p21.1 and 7p15.3 contributing to multiple cancers including lung cancer, noncardia gastric cancer (NCGC), and esophageal squamous-cell carcinoma (ESCC) in Han Chinese. However, it is not known whether such genetic variants have similar effects on the risk of gynecologic cancers, such as ovarian cancer. Hence, we explored associations between genetic variants in 6p21.1 and 7p15.3 and ovarian cancer risk in Han Chinese women. We performed an independent case-control study by genotyping the two loci (rs2494938 A > G at 6p21.1 and rs2285947 A > G at 7p15.3) in a total of 377 ovarian cancer cases and 1,034 cancer-free controls using TaqMan allelic discrimination assay. We found that rs2285947 at 7p15.3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isk of ovarian cancer with per allele odds ratio (OR) of 1.33 [95% confidence interval (CI): 1.08-1.64, P=0.008]. However,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rs2494938 and ovarian cancer risk. Our results showed that rs2285947 at 7p15.3 may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ovarian cancer in Han Chinese women, further suggesting pleiotropy of 7p15.3 in multiple cancers.

精子 洗滌液의 pH와 洗滌頻度 및 수소個體가 精子洗滌液內 水素이온濃度와 소 精子의 尖帽反應에 미치는 影響 (Effects of pH of Washing Solution, Washing Frequency and Individual Bull on Proton Concentration in the Sperm Washed Solution and Sperm Acrosome Reaction)

  • 박영식;임경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13
    • /
    • 1991
  • 본 實驗은 精子 洗滌液의 pH와 洗滌頻度 및 수소개체가 精子洗滌液內 水素이온과 精子尖帽反應에 미치는 影響을 究明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는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精子를 SHP液으로 4차례 反復洗滌하여 培養하였을 때, 洗滌液의 吸光度差間 變化는 2차 精子洗滌液에서 가장 높았다. 2. 精子를 pH 5.99, 6.38, 6.78, 7.10, 7.40, 7.69, 8.15, 8.45 및 8.83 SHP液으로 3번 洗滌하였을 때, 精子洗滌液의 吸光度差間 變化는 pH 7.69~8.83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1차 精子洗滌液이 2차와 3차 精子洗滌液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3. Holstein, KNC 및 Hereford 精子를 pH 5.99, 6.38, 6.78, 7.10, 7.40, 7.69, 8.15, 8.45 및 8.83의 SHP液으로 3번 洗滌하였을 때, 精子洗滌液의 光度差間 變化는 Holstein이 KNC와 Hereford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Holstein은 pH 7.69~8.83에서, KNC과 Hereford는 8.15에서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4. 精子를 pH가 6.8, 7.1 및 7.4인 SHP液으로 3번 洗滌한 다음 pH 7.4인 mTALP液에서 15분간 培養하였을 때, 精子洗滌液의 吸光度差間 變化는 1차 및 2차 精子洗滌에서 pH 7.1과 7.4가 6.8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精子尖帽反應率은 pH 7.1 및 7.4가 각각 68.8 및 72.9%로 pH 6.8의 49.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 PDF

pH 자극이 소 정자의 첨모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 Stimulation on Acrosome Reaction of Bovine Spermatozoa)

  • 박영식;임경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5-199
    • /
    • 199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ot investigate effect of pH stimulation on acrosome reaction of bovine spermatozoa.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When sperm was sequentially washed with SHP solution of pH 7.4, 7.7 and 7.4 and incubated in mTALP solution of pH 7.4 for 120min, 15, 30, 60 and 120min incubations showed significantly(p<0.05) higher sperm acrosome reaction rate than 0 min. 2. When sperm was sequentially washed with SHP solution of pH 7.4, 8.0 and 7.4 and incubated in mTALP solution of pH 7.4 for 15 minutes, sperm acrosome reaction rate was significantly(p<0.01) increased until 9 min. Incubation, but not increased thereafter. 3. When sperm were separately washed with SHP solutions of pH 7.0, 7.4 and 8.0 and incubated in mTALP solution of pH 7.4 for 9min, sperm acrosome reaction rate was 74.8, 71.8 and 93.4%. pH 8.0 showed signifciantly(p<0.01) higher sperm acrosome reaction rate than pH 7.0 and 7.4. The results suggest that stimulation of sperm with high pH induces sperm crosome reaction.

  • PDF

빗물활용 옥상녹화 식재지반에 따른 한라구절초의 생육 변화 (Change in Growth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coreanum as Effected by Different Green Roof System under Rainfed Conditions)

  • 주진희;김원태;윤용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7-123
    • /
    • 2011
  • 본 연구는 빗물 활용 옥상녹화에서 식재기반 차이에 따른 한라구절초의 생육 변화를 살펴보고, 적합한 토심과 토양배합비를 제시함으로써 옥상조경 식물소재로 활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토심(15cm, 25cm)과 토양배합비(SL,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를 각각 다르게 실험구를 조성하였으며, 내건성과 관상가치가 뛰어난 한라구절초를 식재한 후 초장, 녹피율, 엽록소 함량, 생체중과 건조중, T/R율 등을 측정하였다. 토심 15cm처리구에서 토양배합비에 따른 한라구절초의 초장의 경우 통계적 유의성은 발견되지 않으나, 전반적으로 PPL배합토인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가 사양토인 SL보다 높았다. 토심 25cm처리구의 경우, SL <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 $P_4P_4L_2$ 순으로 초장이 길었다. 녹피율의 경우 토심 15cm처리구에서는 초장과 같이 토양배합비에 의한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수치적으로는 SL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토심 25cm처리구의 전체적으로 86~89%의 높은 피복률을 나타냈다. 엽록소 함량은 토심 15cm처리구에서 SL이 가장 높게, $P_5P_3L_2$이 가장 낮았으며, 토심 25cm처리구에서는 $P_4P_4L_2$과 SL에서 가장 높은 값을, $P_7P_1L_2$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생체중과 건물중의 경우 배합비보다는 토심에 따른 차이가 더 뚜렷하여 토심 25cm처리구가 15cm처리구보다 높았다. 따라서 빗물활용 옥상녹화 식재지반에 있어 한라구절초의 생육은 토심 25cm가 토심 15cm보다, PPL배합토, 특히, 피트모스함량이 높은 $P_4P_4L_2$이 사양토보다 더 적합한 생육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심술시 충전액의 저이산화탄소 분압이 체외순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ypocarbic Priming Solutions on Extracorporeal Circulation during Open Heart Surgery)

  • 송선옥;서정국;김흥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권1호
    • /
    • pp.101-106
    • /
    • 1984
  • 체외순환전 심폐기내 충전액의 이산화탄소분압, 산도, 완충염기, 산소분압을 측정하고 저체온 체외 순환 15분후의 각각의 치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이산화단소분양은 충전액은 $12.1{\pm}7.8mmHg$로 매우 심한 저이산화탄소혈증 이었으나 체외순환 후 15분에서 $35.7{\pm}5.7mmHg$로 정상 범위이었다. 2. 산도는 충전액은 최저 pH 6.93, 최고 pH 7.99(평균 $7.45{\pm}0.29$)로 매우 심한 변동폭을 보였으나 체외순환후 15분에는 pH $7.35{\pm}0.05$로 정상범위이었다. 3. 완충염기는 충전액은 $7.9{\pm}3.5mmol/l$로 매우 낮았으나 체외순환후 15분에는 $19.6{\pm}1.2$로 정상치에 가깝게 유지되었다. 4. 산소분압은 충전액은 $667.1{\pm}45.6$으로 매우 심한 과산소혈증 이었으나 체외순환후 15분에는 $280.7{\pm}131.7$로 크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체외순환전 심폐기내 충전액의 저이산화탄소분압 및 고산소분압 상태는 체외순환중 생체내에는 크게 영향을 마치지 않는것으로 사료된다.

  • PDF

온도, 광세기 및 pH에 따른 Chlorella Vulgaris 증식률 (Effect of Temperature, Light Intensity and pH on the Growth Rate of Chlorella Vulgaris)

  • 최희정;이승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511-515
    • /
    • 2011
  • 본 연구는 온도, 광세기 및 pH가 Chlorella vulgaris (C. vulgaris)의 증식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조건에서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C. vulgaris (FC-16) ($3{\sim}8{\mu}m$)를 Jaworski's Medium에 증식시킨 뒤, 다양한 온도($10^{\circ}C$, $15^{\circ}C$, $20^{\circ}C$, $25^{\circ}C$, $30^{\circ}C$, $35^{\circ}C$)와 다양한 광세기($100{\sim}800{\mu}Em^{-2}s^{-1}$) 및 다양한 pH (3, 4, 5, 6, 7, 7.5, 9) 조건에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25{\sim}30^{\circ}C$ 조건에서는 $10^{\circ}C$ 조건과 비교 시 같은 양의 C. vulgaris를 증식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5.2~5.5배 빨랐고, Chlorophyll a는 5~5.5배 높았으며, 단위 면적당 cell volume은 14% 이상 높아 C. vulgaris 최적 배양온도는 $25{\sim}30^{\circ}C$로 조사되었다. C. vulgaris 배양기간의 경우, 증식속도가 5일까지는 느리게 증가했지만, 6일 이후부터 15일까지는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15일 이후에는 거의 증식이 멈춰 15일 이내가 적당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 vulgaris 증식을 위한 최적 pH는 pH 7~7.5로 조사되었다.

알루미늄 분체의 폭발위험성과 화염전파속도 (Explosion Hazards and Flame Velocity in Aluminum Powders)

  • 한우섭;이수희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13
    • /
    • 2012
  • 알루미늄 분진폭발특성에 미치는 입경과 농도 변화에 따른 영향을 20 L 구형 분진폭발시험장치를 사용하여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알루미늄 분진의 체적 평균 입경은 15.1 및 $34.8{\mu}m$이다. 실험결과, 평균 입경 $15.1{\mu}m$에서의 폭발하한농도(LEL)는 $40g/m^3$, 최대폭발압력($P_{max}$)은 9.8 bar, 폭발압력상승속도는 ($[dP/dt]_{max}$)는 1852 bar/s이었으며, 평균입경 $34.8{\mu}m$의 경우에는 LEL이 $70g/m^3$, $P_{max}$는 7.9 bar, $[dP/dt]_{max}$는 322 bar/s가 얻어졌다. Al분진의 폭발하한농도는 입경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또한 평균입경 $15.1{\mu}m$에서의 Al분진폭발압력으로부터의 화염전파속도의 계산값은 평균입경 $34.8{\mu}m$의 경우보다 5배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P^+N, P^+NN^+$ 접합형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작 및 특성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N$ and $P^+NN^+$ Junction Silicon Solar Cell)

  • 이대우;이종덕;김기원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2-26
    • /
    • 1983
  • 열확산(thermal diffusion)법을 이용하여 면적이 3.36㎠인 P+N 전지와 P+NN+ 전지를 제작하였다. 100mW/㎠의 인공 조명에서 측정한 결과 940℃에서 15분 보론확산(boron Predeposition)을 하고, 800℃에서 20분 열처리(annealing)하여 제작한 P+N전지는 전면적(수광면적) 변환 효율이 13.4%(14.7%)이었다. 뒷면을 1050℃에서 인(Phosphorus)을 확산한 후, 앞면을 940℃에서 15분 보론 확산하고, 800℃에서 50분 열처리하여 만든 P+NN+전지의 전면적(수광면적) 변환 효율은 14.3%(15.6%)이었다. 뒷면의 인 확산으로 게더링(gettering) 작용과 BSF 효과에 의해서 P+NN+ 전지가 P+N전지보다 캐리어 수명이 약 2∼3배 증가되었다. 그리고 효율 개선을 위해 AR로팅, Ag전기도금, 미세한 그리드 패턴, 앞면 불순물 주입량 조절 등을 행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ABM/P-15, Bone Morphogenic Protein and Demineralized Bone Matrix after Instrumented Lumbar Interbody Fusion

  • Sathe, Ashwin;Lee, Sang-Ho;Kim, Shin-Jae;Eun, Sang Soo;Choi, Yong Soo;Lee, Shih-min;Seuk, Ju-Wan;Lee, Yoon Sun;Shin, Sang-Ha;Bae, Junseo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5권6호
    • /
    • pp.825-833
    • /
    • 2022
  • Objective : ABM/P-15 (anorganic bone matrix/15-amino acid peptide fragment) is a commercially available synthetically manufactured P-15 collagen peptide fragment, that is adsorbed on ABM.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ABM/P-15 in achieving fusion in the lumbar spine and comparing it with that of recombinant bone morphogenic protein-2 (rhBMP-2) and demineralized bone matrix (DBM). Methods :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f prospectively collected data of 140 patients who underwent lumbar spinal fusion surgeries in a single specialty spine hospital between 2016 and 2020, with a minimum 6-month follow-up was conducted. Based on the material used for the augmentation of the bone graft at the fusion site,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namely ABM/P-15, rhBMP-2, and DBM group. Results : ABM/P-15, rhBMP-2, and DBM were used in 46, 44, and 50 patients, respectively. Patient characteristics like age, gender, bone mineral density, smoking history, and presence of diabetes mellitus were comparable amongst the three groups. Average follow-up was 16.0±5.2, 17.9±9.8, and 26.2±14.9 months, respectively in ABM/P-15, rhBMP-2, and DBM groups. The fusion was achieved in 97.9%, 93.2%, and 98% patients while the average time-to-union was 4.05±2.01, 10±4.28, and 9.44±3.49 months (p<0.001), respectively for ABM/P-15, rhBMP-2, and DBM groups. The average pre-operative Visual analogue scale score was 6.93±2.42, 7.14±1.97, 7.01±2.14 (p=0.900) for ABM/P-15, rhBMP-2 and DBM groups, respectively, which reduced to 1.02±0.80, 1.21±0.96, and 0.54±0.70 (p=0.112), respectively at the last follow up. Pre-operative Oswestry disability index scores were 52.7±18.02, 55.4±16.8, and 53.56±19.6 (p=0.751) in ABM/P-15, rhBMP-2, and DBM groups, which post-operatively reduced to 33.77±15.52, 39.42±16.47, and 38.3±15.89 (p=0.412) and further to 15.74±8.3, 17.41±10.45, and 16.76±9.81 (p=0.603), respectively at the last follow-up. Conclusion : ABM/P-15 appears to achieve union significantly earlier than rhBMP-2 and DBM in lumbar spinal fusion cases while maintaining a comparable clinical and complication profile.

항진균능을 가진 불용성 인산 가용화 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nsoluble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a with Antifungal Activity)

  • 박기현;손홍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23-229
    • /
    • 2006
  • 다기능성 농업용 미생물 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항진균능을 가진 불용성 인산 가용화 세균을 식물의 근권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균주의 분류학적 위치를 검토한 결과, Pseudomonas fluorescens RAF15로 동정되었다. P. fluorescens RAF15는 농작물의 잿빛곰팡이병균 Botrytis cinerea와 줄기썩음병균 Rhizoctonia solani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었다. 불용성 인산인 $Ca_3(PO_4){_2}$로부터 가용성 인산을 생성하기 위한 최적 배지 및 배양조건은 glucose 1.5%, urea 0.005%, $MgCl_2{\cdot}6H_2\;0.3%,\;MgSO_4{\cdot}7H_2O\;0.01%,\;CaCl_2{\cdot}2H_2O$ 0.01%, NaCl 0.05%, 배양온도 $30^{\circ}C$ 및 초기 pH 7.0이었으며, 최적조건에서 배양 5일 후 863 mg/L의 가용성 인산이 생성되었다. 불용성 인산 가용화는 유기산 생성에 의한 배양액의 pH 감소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P. fluorescens RAF15는 $10-35^{\circ}C$, 1-4% 염 농도 및 pH 2.0-11.0의 범위에서도 가용성 인산을 생성할 수 있었다. 본 균주는 $CaHPO_4,\;Ca_3(PO_4){_2}$ 및 hydroxyapatite에서 각각 971-1121 mg/L, 791-908 mg/L 및 844 mg/L의 가용성 인산을 생성하였다. 그러나 $FePO_2$$AlPO_4$의 경우, 생성된 가용성 인산의 농도는 각각 18 mg/L, 5 mg/L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