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60 mesh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22초

n-헥산/p-TSA 수용액계에서 교반에 의한 유기상의 분산 (Dispersion of Organic Phase by Agitation in a n-Hexane/p-TSA Aqueous Solution System)

  • 김태옥;전종한
    • 공업화학
    • /
    • 제2권3호
    • /
    • pp.209-215
    • /
    • 1991
  • n-헥산과 40 wt % p-TSA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비혼화성 액상계에서 교반에 의한 유기상의 분산을 해석하였다. 사용된 교반기는 blade의 형태가 flat와 금망으로 된 4가지 형태의 6-bladed turbine 교반기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동일한 교반속도에서 유기상의 분산정도는 blade의 형태가 flat, 60 mesh, 40 mesh, 20 mesh의 순서로 감소하였고 계면활성제인 TBA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유기상의 부피비가 작을수록 유기상은 잘 분산되었다. 또한 완전분산에 필요한 최소교반속도는 flat, 60 mesh, 40 mesh, 20 mesh의 순서로 증가하였으나 최소소요동력은 거의 동일하였다. 이때 Power number와 Reynolds number와의 관계는 $N_p=a\;N_{Re}{^b}$ 이었으며 교반기의 형태에 따른 상수 a와 혼합계의 종류에 따른 상수 b의 값은 각각 2200~4100, -0.69~-0.63 범위이었다.

  • PDF

숙기가 다른 우리나라 쌀의 경도와 입자크기별 호화성질 (Hardness and Effect of Particle Sizes on Pasting Properties of Korean Rices differing in Maturity)

  • 이수정;김성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1호
    • /
    • pp.45-48
    • /
    • 1999
  • 숙기가 다른 쌀을 분쇄한 다음 메쉬를 이용한 누적입도분포는 숙기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60메쉬 또는 80메쉬 통과분은 숙기별로 유의성이 있었다. 쌀알의 경도는 조생종이 가장 컸고, 중만생종이 가장 작았으며 20메쉬 미통과분과 정상관을, 60메쉬 또는 80메쉬 이상 통과분과는 부상관을 보였다. 입도크기별 아밀로그래프 최고점도는 입도가 고울수록 증가하였으나 60메쉬 통과분과 80메쉬 통과분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교반조에서 비혼화성 액상(n-헥산/물)계의 액-액분산 (Liquid-Liquid Dispersion of an Immiscible Liquid Phase (n-Hexane/Water) System in a Stirred Tank)

  • 김태옥;김동욱;전종한
    • 공업화학
    • /
    • 제4권3호
    • /
    • pp.537-543
    • /
    • 1993
  • N-헥산과 증류수로 이루어진 비혼화성 액상계에서 교반에 의한 액-액분산을 해석하였다. 교반기는 blade형태가 flat, 60mesh와 40mesh의 금망, 그리고 60mesh금망의 외부에 금속띠를 두른 4가지의 6-bladed turbine 교반기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동일한 교반속도에서 유기상의 분산정도와 교반기의 소요동력은 blade형태가 flat>solid edged>60mesh>40mesh의 순서이었으며 유기상의 부피비가 증가할수록 완전분산에 필요한 최소교반속도가 증가되었다. 또한 분산상의 액적의 평균직경은 교반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동일한 교반속도에서는 Solid edged$d_{32}$)은 다음과 같이 유기상의 부피비(${\phi}$)와 Weber number($N_{We}$)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었다.$d_{32}/D=a(1+b{\phi})N_{We}{^{-0.6}}$.

  • PDF

강섬유보강 패널구조의 보강효과 분석 및 인성평가 기법 (Steel Fiber Reinforcing Effect Analysis of Slab Panel Structure and Assessment Technics of Toughness)

  • 전찬기;박선규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09-220
    • /
    • 1999
  • 터널의 숏크리트 라이닝이나 포장 콘크리트 보강용으로 요접철망(wire mesh)을 대신해서 강섬유가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섬유 보강으로 인한 인성평가 대상 구조물을 slab panel 구조($60{\times}60{\times}10$cm)로 하고, 강섬유 혼입률은 콘크리트 용적의 0.5% ~ 2%로 다양화하였다. 이 때 사용한 강섬유는 Dramix ZC type으로 직경은 0.8mm, 길이는 60mm이다. 강섬유 효과의 상대평가를 위한 용접철망(wire mesh)보강은 상면, 하면, 상하면 보강으로 하였다. 이들 실험 결과를 각국의 인성 평가 방법으로 비교 검토한 결과 슬래브(slab) 시험체 적용을 위한 EFNARC의 방법은 25mm의 처짐까지 측정하는 것이 너무 큰 것으로 평가되었고, 보의 휨인성 평가법을 적용하여 검토한 결과에서는 Johnston(II)방법에 의한 $I_{5.5}$ 가장 적절하였으며, JCI-SF4방법에서 지간의 1/150까지 측정하는 것은 너무 작았다. 또한 강섬유로 용접철망(wire mesh)을 효과적으로 대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인성효과에 유용한 강섬유 혼입량은 0.5% ~ 1%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자미 삼중자망의 망목 선택성 (Mesh Selectivity in Trammel Net for Flat Fish)

  • 김성훈;이주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2호
    • /
    • pp.91-100
    • /
    • 2002
  • 삼중자망의 망목 선택성 및 적정망목을 추정하기 위하여 강원도 주문진 해역에서 2000년 8월 10~13일, 11월 9~13일 (18회), 부산 수영만에서 2001년 6월 1일~27일(21회), 시험조업을 행하였다. 또한 주문진 해역에서는 60, 75, 90 105, 135, 150, 180mm의 7가지의 삼중자망으로 조업하였고, 수영만에서는 60, 75, 90mm의 삼중자망과 홑자망으로 비교실험을 행하였다. 망목 선택성 곡선의 분석은 전체 어획량의 약 60%를 차지하는 물가자미(Eopsetta grigorjewi) 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Master curve의 다항식이 포함된 Kitahara(1968)방법을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어획미수는 삼중자망이 2,331미였고, 홑자망이 1,433미였으며, 가자미류가 59.8%~60%였다. 2. 최적 l/m값은 삼중자망이 2.56이었으며, 흩자망이 2.47로 삼중자망이 약 0.1 정도 크게 나타났다. 3. 50% 선택구간은 삼중자망이 1.88~3.36(1.48)로 나타났으며, 홑자망은 2.00~3.02(1.02)로 삼중자망이 약 1.5배 정도 넓게 나타났다. 4. 가자미의 최소성숙체장 265mm에 대한 적정망목은 삼중자망이 약 141mm, 홑자망이 약 132mm로 삼중자망이 약 10mm 정도 크게 나타났다. 5. 적정망목을 사용했을 경우 50% 선택 체장범위는 삼중자망이 265mm~474mm, 흩자망이 265mm~398mm로 삼중자망의 체장범위가 76mm 정도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망목형 탈출장치의 선택성과 정치망에 적용 가능성 (A Study on the Selectivity of the Mesh type Escape Device and the Applicability in a Set Net)

  • 김성훈;김태경;김형석;이주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928-936
    • /
    • 2013
  • This thesis is the fundamental study on the adaptation of escape device for reducing small fishes in set-net. The escape devices for experiments were made the mesh-type devices with three different mesh sizes (60.6, 75.8 and 120.0mm). The experiments of size selectivity on escape devices were conducted by using two kinds of species as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nd sea perch (Lateolabrax maculatusi) in the experimental tank. The size selectivity curve was fitted by using a logistic function and the parameters of selectivity curve were estimated by a maximum likelihood method. In the results; 50% selection ranges for the mesh-type escape devices with three different mesh sizes were; a black rockfish was 18.99 in mesh size 60.6mm and 21.96 in mesh size 75.8mm (120mm could not estimate). A sea perch was 22.02 in mesh 60.6mm and 24.46 in mesh size 75.8mm (120mm could not estimate). The 50% selection range of a black rockfish was wilder than a sea perch about 1.1~.2 time. Therefore, the small fishes are able to reduce by using the mesh type escape device. However, the optimum mesh size should be decided to consider the size of target species and economics of catches.

입도별 홍화씨 분말 첨가가 양갱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of Various Mesh Sifted Powders from Safflower Seed on Quality Characteristic of Yangeng)

  • 김준한;박준홍;박소득;김종국;강우원;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09-314
    • /
    • 2002
  • 홍화씨의 식품재료로서의 이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서 양갱의 주원료인 건조 팥소 분말에 대한 볶은 홍화씨 분말 20, 35, 45 및 60mesh별로 첨가한 제품과 홍화씨 45mesh분말의 첨가량을 0, 5, 10, 15 및 20%로 하여 제조한 제품 및 배합수로 녹차추출물을 이용한 제품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20mesh 체분리 분말 첨가 제품에서 가장 낮은 27.6% 이었고, 동일한 45mesh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양갱제품의 수분함량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활성도는 60mesh 홍화씨 분말 첨가 제품에서 0.93로 가장 높았고, 45mesh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수분활성도는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색도는 분말의 mesh 수가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이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반대로 b값은 다소 증가하였다. 동일한 입자크기를 가진 분말의 첨가량 증가에 따른 L, a 및 b값은 전반적인 증가현상을 보였다. 또한, 조직감 특성 중 견고성과 부숴짐성은 홍화씨 분말의 입도가 미세한 첨가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고 동일한 입도를 가진 홍화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견고성과 부숴짐성은 증가하였고, 접착성과 탄력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도 전반적기호도, 조직감 및 부숴짐성이 홍화씨 분말의 입도가 미세한 첨가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고, 증류수를 배합수로 제조한 제품과 증류수와 녹차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제조한 제품에서 거의 같은 수준의 높은 관능점수를 얻었다.

피조개 항망의 어획선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tching Selectivity of the Ark Shell(Scapharca Broughtonii)Dredge)

  • 조봉곤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5권4호
    • /
    • pp.366-376
    • /
    • 1999
  • In order to examine the catching selectivity of the ark shell(Scapharca broughtonii) dredge,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selective action of the dredge are analyzed, and the probabilities of the ark shell not shifting through the gaps between the teeth, and the mesh of the netting bag, are calculated for the various shell lengths, us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osture and the length when the shell passes through these parts.Considering that the probability of making catch is the product of the both probabilities described above, and that this probability is proportional to the relative catching efficiency, the selectivity curves for the ark shell dredge were estimated for various gaps between the teeth and for the various mesh sizes of the netting bag.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atios of the shell length of ark shell to the distance between teeth indicating the relative catching efficiency of 0%, 50, 100% respectively were 1.0, 1.26~1.28, 1.47~1.44, and that the selection ranges of selective shell length by the distance between teeth were 0.47~0.44, where the distances between teeth were 3.2cm, 3.6cm, 4.0cm, 4.4cm and 4.8cm. 2. The ratios of the shell length of ark shell to the mesh size indicating the relative catching efficiency of 0%, 50%, 100% respectively were 0.67, 0.84, 0.97 and that the selection range of shell length for catching, that in the range of selective shell length by the mesh size was 0.31, where the distance of 4.0cm between teeth, mesh size of 6.0 cm and the smaller mesh angle of $60^{\circ}$3. Where the distance between teeth is 4.0 cm and the smaller mesh angle is $60^{\circ}$, the selection range of shell length for catching of the ark shell dredge is decreased according to the mesh size, and it is minimized by 0.20 in the mesh size of 9.0~10.0 cm, but increased in the mesh size of over 11.0 cm. 4. Where the distance between teeth is 4.0 cm, the selective action by the mesh size of netting bag is begun with the mesh size of over 10.0 cm.

  • PDF

입자크기에 따른 분말멸치의 흡습특성 및 예측모델 (Moisture Sorption Characteristics and a Prediction Model of Anchovy Powder with Particle Size)

  • 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13-518
    • /
    • 2010
  • 멸치분말의 저장안정성을 알아보고자 80 mesh이상, 80-60 mesh, 60-40 mesh로 입자크기에 따라 분급하여 흡습특성을 조사하고 평형수분함량의 예측 모델식을 수립하였다. 평형수분함량은 수분활성도가 높아짐에 따라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이었으며, 높은 온도에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BET식보다 GAB식이 더 높은 유의성을 보였으며 그 함량은 0.022-0.029 g $H_2O/g$ dry solid 였다. 수분활성도가 증가함에 따라 필요로 하는 흡습에너지가 낮아져 흡습엔탈피는 감소하여 흡습이 쉽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등온흡습곡선의 적합도는 Kuhn 모델이 $R^2$ 0.94 이상으로 높은 적합도를 나타내었고, Halsey, Caurie, Oswin 모델순으로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흡습 중 평형상대습도 예측 모델을 수립하기 위해 온도와 수분활성도의 경우 일차함수, 시간의 경우 ln 함수가 높은 적합도를 보였으며, 수분활성도 예측모델식은 입자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대습도와 시간으로 수립한 모델식의 적합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정용 브라켓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른 결합강도의 비교 (Comparison of bracket bond strength in various directions of force)

  • 이현정;이형순;전영미;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59-370
    • /
    • 2003
  • 본 연구는 교정용 금속 브라켓에 다양한 방향에서의 복합적인 응력을 가하여 힘의 방향과 적용점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의 결합강도를 비교하고, 브라켓의 유지력을 평가하는데 기준이 되는 최소결합강도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일정 한 표면특성을 갖는 금속봉에 Micro-Loc base, Chessboard base, Non-etched Foil-Mesh base 등 서로 다른 기저 면 형태를 가지는 3가지 종류의 금속 브라켓을 부착시키고, $0^{\circ},\;15^{\circ},\;30^{\circ},\;45^{\circ},\;60^{\circ},\;75^{\circ},\;90^{\circ}$의 Peel 결합강도$(_0PBS, \;_{15}PBS,\;_{30}PBS,\;_{45}PBS,\;_{60}PBS,\;_{75}PBS,\;_{90}PBS)$ 및 전단결합강도(SBS)와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한 브라켓의 결합강도를 측정하고, 각 브라켓의 기저면 면적을 고려하여 단위면적당 결합강도를 산출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icro-Loc base와 Chessboard base 및 Non-etched Foil-Mesh base 브라켓 모두에서 전단결합강도(SBS)가 가장 컸다(P<0.01). 2. Peel 응력의 방향 변화에 따른 peel 결합강도(PBS)의 변화양상은 Micro-Loc base와 Chessboard base, Non-etched Foil-Mesh base 브라켓 모두에서 유사하였으며 (p>0.05), peel 응력의 적용 각이 증가할수록 peel 결합강도(PBS)는 감소하였고 $60^{\circ}$에서 최저값을 보였다(p<0.05). 3. Micro-Loc base에서 최저 peel 결합강도$(_{60}P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29\%$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토(TBS)에 대해서는 $52\%$ 수준이었고, Chessboard base에서 최저 Peel bond strength$(_{60}P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34\%$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해서는 $61\%$ 수준이었으며,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최저 Peel 결합 강도$(_{60}P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34\%$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해서는 $55\%$ 수준이었다. 4. 단위 면적 당 결합강도에 있어서 전단결합강도(SBS)와 인장결합강도(TBS) 및 $75^{\circ}\;와\;90^{\circ}$ peel 결합강도는 Micro-Loc base와 Chessboard base에서 차이 가 없었으며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가장 작았고(p<0.05), $0^{\circ},\;15^{\circ},\;30^{\circ},\;60^{\circ}$ peel응력을 적용한 결과 Chessboard base에서 가장 큰 Peel결합강도를,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가장 작은 결합강도를 보였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