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6-diol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6초

Antimicrobial Constituents from Fruits of Ailanthus Altissima SWINGLE

  • Zhao Chun-Chao;Shao Jian-Hua;Li Xian;Xu Jing;Zhang Pe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10호
    • /
    • pp.1147-1151
    • /
    • 2005
  • A new naturally occurring sterol, compound 5, and six known stigmasterols were isolated from fruits of Ailanthus altissima Swingle by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and RP-HPLC.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5${\alpha}$-stigmastane-3,6-dione (1), 3${\beta}$-hydroxystigmast-5-en-7-one (2), stigmast-5-ene-3${\beta}$, 7${\alpha}$-diol (3), 6${\alpha}$-hydroxystigmast-4-en-3-one (4), 5${\alpha}$-stigmastane-3${\beta}$, 6${\beta}$-diol (5), stigmast-4-ene-3${\beta}$, 6${\alpha}$-diol (6), stigmast-5-ene-3${\beta}$, 7${\alpha}$, 20$\xi$-triol (7) by spectral analysis and comparison with the published data. These compounds have not been reported from genus Ailanthus, whereas compound 7 was identified by NMR for the first time. In addition, the $95\%$ ethanol extract and compounds from the fruits of Ailanthus altissima SWINGLE were assayed for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The extract was potent active against the assayed bacteria while compounds 3 and 7 exhibited moderate activity.

환경친화적 수용성 불소계 폴리우레탄의 합성 (Synthesis of Fluorine-Containing Water-Soluble Polyurethane with Environmental Affinity)

  • 임혜진;박인준;이수복;이용택
    • 청정기술
    • /
    • 제5권2호
    • /
    • pp.37-44
    • /
    • 1999
  • 불소 함유 디올(diol)과 친수성기 함유 디올을 사용하여 수용성 불소계 폴리우레탄을 합성하여, 반응물의 조성이 합성된 폴리우레탄의 대표적 물성인 표면자유에너지와 수분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폴리올보다 이온성부여 디올이 분산성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전체 폴리올(polyol)에 대한 이온성 친수성기 함유 디올의 몰 비가 0.3~0.7의 범위를 가질 때, 합성된 폴리우레탄의 수용액에 분산된 입자 지름이 610~310nm로 안정된 유화물을 형성하였다. 폴리우레탄내의 불소 함량이 10 wt%까지 증가함에 따라 표면자유에너지는 22.3 dyn/cm에서 12.6 dyn/cm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수분산된 입자의 지름은 380 nm에서 860nm로 증가하였다. 그 이유는 낮은 표면에너지와 강한 소수성을 갖는 불소집합체의 표면 배열로써 분자 상호간의 결합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과불소알킬기를 포함하는 매크로단량체(macromonomer)의 강한 소수성 때문에 수용성 폴리우레탄의 단점인 소수성 하락의 보완에 더 효과적이었다.

  • PDF

Biomass 유래 퓨란계 단량체를 이용한 폴리에스터의 중합 및 특성 연구 (Polymer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esters Using Furan Monomers from Biomass)

  • 서강진;김명준;정지혜;이영철;노시태;정용석
    • 폴리머
    • /
    • 제35권6호
    • /
    • pp.526-530
    • /
    • 2011
  • 바이오매스에서 유래된 2,5-dihydroxymethylfuran(DHMF)을 $KMnO_4$ 산화반응으로 furan-2,5-dicarboxylic acid(FDCA)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FDCA와 다이올류를 에스테르화 반응과 축중합 반응을 진행시켜 폴리에스터를 중합하였다. 폴리에스터는 NMR을 통해 조성을 분석하였고 DSC와 TGA를 통해 열적특성을 분석하였다. 합성된 폴리에스터의 고유점도는 0.78~1.2 dL/g으로 상용화된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와 비슷하였다. 다이올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Young's modulus와 strength는 낮아지고 elongation-to-break는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합성한 poly(ethylene furandicarboxylate)(PEF)의 Young's modulus는 3551 MPa, strength는 103 MPa로 상용화된 PET와 비슷하였다.

인삼의 Polyacetylene 화합물 (Polyacetylene Compounds from Panax ginseng C.A. Meyer)

  • 심상철;장석구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8년도 학술대회지
    • /
    • pp.122-128
    • /
    • 1988
  • 폴리아세칠랜계 화합물이 함유된 인삼의 석유 에텔 추출물은 시험관내 실험에서 Sarcoma 180, Walker carcinosarcoma 256, $L_{1210}leukemic$ lympocyte의 성장을 억제한다. 우리는 석유 ether 추출물로 부터 몇가지 포리아세틸렌계 화합물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밝혔다. UV, IR $^{1}H$ NMR, $^{13}C$ NMR, EI mass, CI mas, 원소분석과 산화 또는 산촉매 가수분해와 같은 화학적인 방법으로 얻어진 자료에 근거하여 이들은 heptadeca-1,9-dien-4,6-diyn-3-ol, hepatadeca-l-en-4.6-diyn-9,10-epoxy-3-ol 및 hepatadeca-1,8-dien-4,6-diyn-3,10-diol로 밝혀 졌다.

  • PDF

박리형 PCL/Clay 나노복합재료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of Exfoliated PCL/Clay Nanocomposite and Its Characterization)

  • 유성구;박대연;배광수;서길수
    • 폴리머
    • /
    • 제25권3호
    • /
    • pp.421-426
    • /
    • 2001
  • Montmorillonite (MMT)의 층간에 poly(${varepsilon}-caprolactone$) diol과 반응할 수 있는 -COOH기를 삽입하기 위하여 11-aminododecanoic acid를, 그리고 MMT의 층간거리를 넓혀주기 위하여 세칠트리메칠암모늄 브로마이드(CTMA)를 각각 삽입시켰다. 이렇게 개질된 MMT를 THF 용액상태에서 poly(${varepsilon}-caprolactone$) diol ($M_n{=2000}$)와 $80^{\circ}C$에서 4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 후, poly(${varepsilon}-caprolactone$) ($A_n{=80000}$)을 이 용액에 삽입하여 같은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이 용액을 실리콘 몰드에 부어 6$0^{\circ}C$ 진공 오븐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하여 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clay 나노복합재료 필름을 제조하였다. XRD와 TEM으로 확인한 결과 실리케이트 층이 완전히 박리된 박리형 나노복합재료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MMT의 양에 따른 PCL/clay 나노복합재료의 기계적 성질과 열적 성질을 tensile tester와 DSC로 확인하였다. MMT가 PCL 매트릭스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어 복합재료의 영율이 향상되었으나, 인장강도에는 영향이 거의 없었다. 그리고 MMT의 양이 PCL에 대하여 3wt%까지 증가함에 따라 PCL의 결정화 온도가 증가하였다.

  • PDF

Poly(caprolactone) diol/Poly(ethylene glycol)을 기초로 한 폴리우레탄 마이크로겔의 합성 및 특성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urethane Microgels Based on Poly(caprolactone) diol/Poly(ethylene glycol))

  • 임정수;김공수;이무재;이영근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41-48
    • /
    • 2001
  • 폴리카프로락톤디올(PCD)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2,6-헥산트리올을 용액중합 방법으로 반응시켜 폴리우레탄(PU) 마이크로겔을 합성하였다. PCD/PEG의 몰비가 다른 마이크로겔의 임계 겔화농도의 성질과 생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자임을 알았다. 디이소시아네이트, PCD/PEG의 몰비 및 PEG의 분자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PU 마이크로겔의 물리적 및 열적 성질을 실험하였다. PU 마이크로겔은 300nm 이하의 다분산성 구형의 작은 입자로 분포되어 있으며, 저점도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저분자량 디올이 체인 연장제로서 HTPB 우레탄 탄성 중합체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 molecular weight Diols as Chain Extender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TPB Urethane Elastomers)

  • 홍명표;노만균;김용준
    • 대한화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8-65
    • /
    • 1983
  • 체인 연장체로서 저분자량 디올의 5종(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과 경화제로서 TDI 및 IPDI를 사용하여 HTPB 우레탄 탄성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저분자량 디올의 농도, 저분자량 디올의 메틸렌기의 수, 벤젠고리를 소유한 TDI와 시클로헥산을 소유한 IPDI의 영향에 따른 기계적 성질(인장강도, 100% 탄성계수, 경도)의 변화를 고찰한 결과 저분자량 디올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우페탄 농도의 영향으로 기계적 성질이 예상한 바와 같이 증가하였다. 경화제로서 IPDI를 사용한 경우는 저분자량 디올의 메틸렌기의 수가 증가할수록 가교화밀도 및 우레탄 농도의 감소로 인해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었다. TDI를 사용한 경우는 IPDI와 달리 저분자량 디올의 메틸렌기의 수가 짝수인 경우와 홀수인 경우 그 기계적 성질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수소결합의 영향으로 홀수인 경우는 메틸렌기의 수에 따른 지그재그 형상을 나타내었다.

  • PDF

Cyclohexanol 이용성 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yclohexanol-utilizing Bacteria)

  • 김태강;이인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7-112
    • /
    • 1999
  • A bacterium, which can utilize cyclohexanol as a sole source of carbon and energy, was isolated from sludge in sewage of Ulsan Industrial Complex for Petrochemicals, Korea and identified as Rhodococcus sp. TK6. The growth conditions of the bacteria were investigated in cyclohexanol containing media. The bacteria utilized cyclohexanol, cyclohexanone, cyclohexane-1,2=diol, cyclopentanol, cyclopentanone, and $\varepsilon$-caprolactone but not cyclohexane, cyclohexane-1,2-dione, and cyclooctanone. The bacteria were able to utilize alcohols such as ethanol, 1-propanol, 1-butanol, 1-pentanol, 1-hexanol,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2-propanol, and 2-butanol as well as cyclohexanol, organic acids such as adipate, propionate, butyrate, valerate, n-caproate, and 6-hydroxycaproate, and aromatic compounds such as phenol, salicylate, p-hydroxbenzoate, and benzoate as a sole source of carbon and energy. Cyclohexanone as a degradation product of cyclohexanol by Rhodococcus sp. TK6 was determined with gas chromatography.

  • PDF

Lignans from the Flower Buds of Magnolia fargesii

  • Lee, Jun;Yang, Min-Suk;Nam, Sang-Hae;Shon, Mi-Yae;Hwang, Seon-Woo;Park, Ki-H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6호
    • /
    • pp.913-915
    • /
    • 2005
  • The three new lignans 1-3 were isolated from the methanol extracts of the flower buds of Magnolia fargesii. They were elucidated as (7S,8R)-1-(3,4-dimethoxyphenyl)-2-O-(2-methoxy-4-omegahydroxypropylphenyl) propane-1,3-diol, (7S,8S)-1-(4-hydroxy-3-methoxyphenyl)-2-O-(6-hydroxy-2-methoxy-4-omegahydroxypropylphenyl) propane-1,3-diol, and [tetrahydro-4-hydroxy-2-(3,4,5-trimethoxyphenyl)furan-3-yl]methyl 3,4-dimethoxy benzoate by spectral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