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6 MV

검색결과 875건 처리시간 0.028초

얇은 박막을 얹은 TLD 반응감도의 광자 에너지에 대한 의존성 (Photon Energy Dependence of the Sensitivity of LiF TLDs Loaded with Thin Material)

  • 민병민;김수길;노준규;조영갑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256-260
    • /
    • 1999
  • 목적 : 얇은 박막을 위에 얹은 TLD 선량계의 반응 값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조사하였고, 특히, 금속박막을 얹은 TLD 선량계의 광자에너지와 표면 흡수선량에 대한 의존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및 재료 : 본 연구에서는 TLD-100과 TLD-100 위에 얹은 Slt은 물질로는 주석, 금, 그리고 TE 플라스틱 판을 사용하였다. 각 금속 박막의 두께는 0.1 mm, TE 플라스틱 판의 두께는 1 mm였고 각 박막의 면적은 TLD-100의 면적과 같이 하였다. 방사선치료에 많이 산이는 6 MV에서 15 MV사이의 광자에너지에 대한 TLD-100의 반응감도와 금박막을 얹은 TLD-100의 반응감도, 그리고 주석 박막을 얹은 TLD-100의 반응감도를 비교해 보았다. 결과 : 금속 박막을 얹은 TLD의 경우 표면 흡수선량의 증가가 명백히 나타나고, 금 박막을 얹은 TLD의 경우 10MV에서 정상 TLD보다 약 1.83배 정도 과잉 반응하는 것으로 관측되었으며, 흡수선량에 따른 반응감도의 변화는 주석을 얹은 TLD의 경우가 가장 작았다 금속 박막을 얹은 TLD의 일반 TLD에 대한 상대 반응감도는 에너지에 대한 의존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311은 박막의 조직에 대한 등가 두께에 따라 반응감도가 증가하였다. 결론 : 금속박막을 얹은 TLD 선량계의 반응값이 고 에너지(6-15 MV)에 대한 의존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으며, 흡수선량에 대한 선형성도 뛰어난 것으로 관측되었다. 따라서 금속박막을 얹은 TLD 선량계는 매우 작은 크기의 광자빔과 표면흡수선량의 측정에 매우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sPbBr3을 기반으로 한 Perovskite 선량계의 방사선치료 Quality Assurance에 대한 적용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Perovskite Dosimeter based on CsPbBr3 Material to Quality Assurance in Radiation Therapy)

  • 양승우;박성광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11-216
    • /
    • 2022
  • 방사선치료에서는 정상조직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종양조직을 죽이기 위하여 정확한 정도관리 품질보증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치료 방사선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선량계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사용되는 검출기 재료로 사용되는 물질보다 저렴하고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 기존 물질들을 대체할 수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에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고 공정을 간소화 시킬 수 있는 particle in binder(PIB) 방법을 적용하여 민감도가 높은 고효율의 방사선 선량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고에너지 광자선에 대한 반응특성을 평가함으로써 방사선치료분야에 정도관리 품질보증선량계로 적용 가능한지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재현성 평가 결과, 6 MV 에너지에서의 RSD 1.178%로 제시되었고 15 MV에너지에서는 1.141%로 제시되었다. 선형회귀분석에 따른 선형성 평가결과, 6 MV, 15 MV 에너지 각 조건에서 0.9999의 R2값을 제시하였다. 재현성, 선형성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제작된 CsPbBr3 선량계의 치료방사선 분야에 정도관리 품질보증 선량계로의 적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CsPbBr3 선량계는 재현성, 선형성 평가에서 기준이상의 성능을 제시하였으며, 개선을 통하여 치료방사선 정도관리 품질보증 선량계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6 MV 광자선과 6 MeV 전자선 하에서 TLD 기판 위에 얹힌 금속 박막의 효과 (The Effects of Metal Plate loaded on TLD chip in 6 MV Photon and 6 MeV Electron Beams)

  • Kim, Sookil;Byungnim Min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0권1호
    • /
    • pp.41-46
    • /
    • 1999
  • 본 실험은 의료용 가속기로부터 나오는 6MV 광자선과 6 MeV 전자선을 고체 팬텀위의 LiF 열형광 선량계 (TLD-l00)에 쪼여서 수행하였다. TLD-l00의 방사선 반응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TLD-l00 기판 (표면적 3.2 $\times$ 3.2 $\textrm{mm}^2$) 위에 같은 면적의 금속박막 (주석 혹은 금)을 얹어서 실험하였다. SSD l00cm, 방사선장의 크기 10$\times$10 $\textrm{cm}^2$의 조건 하에서 표면 흡수선량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각 금속들로 인하여 TLD-l00 의 신호강도가 증강된 것이 관측되었다. 그리고 표면 흡수선량이 방사선량에 따라서 매우 선형적인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6 MV 광자선의 경우 1 mm 의 금속박막을 TLD-l00 에 얹은 결과 표면 흡수선량이 각 각 14%, 56% 증가되었다 .6MeV의 전자선의 경우에는 금박막은 TL 반응감도가 13% 증가되었으나 주석의 경우에는 전혀 변화가 없었다. 금속박막을 얹은 TLD-l00의 방사선량 반응감도는 금속박막의 전자 입자밀도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이것은 TLD-l00보다 큰 전자밀도를 가진 부가물질(금속박막 )로부터 TLD-l00으로 산란전자가 유입되는 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결과로부터 금속박막을 얹은 TL 선량계가 치료광자선용 증폭 선량계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즉 금속박막으로 인해서 TLD-l00 의 방사선 량 반응감도가 증가되었으므로 높은 감도의 보다 작은 TL 선량계의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 PDF

고정형 쐐기(Physical wedge)와 동적 쐐기(Dynamic wedge)의 조사야 주변 선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eripheral Doses for Physical Wedge and Dynamic Wedge)

  • 고신관;민제순;나경수;이제희;박흥득;한동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4호
    • /
    • pp.407-413
    • /
    • 2008
  • 2D-ARRAY chamber를 이용하여 고정형쐐기(Physical wedge filter)와 동적쐐기(Dynamic wedge)의 조사야 주변의 선량을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고체팬텀 위에 2D-ARRAY seven 29 (PTW, Germany) chamber를 이용하여 조사야 $10cm{\times}10cm$, SSD 90cm로 고정시키고, 에너지는 6MV와 15MV로 변화시켜 산란선의 영향을 많이 받는 피부 깊이인 5mm 깊이의 조사야 밖 인접 선량을 측정하였다. 고정형 쐐기 $15^{\circ}$, $45^{\circ}$와 선형가속기에 장착된 동적쐐기의 $15^{\circ}$, $45^{\circ}$를 측정하여 조사야 끝에서 쐐기의 heel부분과 toe 부분의 1cm되는 지점에서 5cm 지점까지의 1cm 간격으로 주변선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6MV 에너지는 동적쐐기가 고정형쐐기 보다 조사야 주변 선량이 $0.1{\sim}1.4%$ 정도 모두 낮았다. 15MV 에너지는 조사야에서 근접한 거리에서 동적쐐기의 선량이 $0.4{\sim}0.9%$ 정도 높지만 멀어지면서 급격하게 감소하여 동적쐐기가 최대 1.6% 낮게 측정 되었다. 동적쐐기는 heel부분과 toe부분의 선량차이가 없는 반면 고정형쐐기는 에너지가 높고 쐐기 각도가 클수록 heel부분 보다 toe부분의 선량이 2% 정도 높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동적쐐기를 사용할 경우 치료주위선량을 균일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치료부위와 근접한 표면에 가까운 주요장기의 선량을 최소화 할 수 있었다.

  • PDF

고정형쐐기(Physical Wedge)와 동적쐐기(Dynamic Wedge)의 조사야 주변 선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eripheral Doses for Physical Wedge and Dynamic Wedge)

  • 민제순;나경수;이제희;박흥득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7-82
    • /
    • 2007
  • 목 적: 목적: 2D-ARRAY chamber를 이용하여 고정형쐐기(Physical wedge filter)와 동적쐐기(Dynamic wedge)의 조사야 주변의 선량을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체팬텀위에 2D-ARRAY seven29 (PTW, Germany) chamber를 이용하여 조사야 10$\times$10, SSD 90 cm로 고정시키고 에너지는 6 MV와 15 MV로 변화시켜 5 mm 깊이의 조사야 밖 선량을 측정하였다. 쐐기필터15$^\circ$, 45$^\circ$동적쐐기와 선형가속기에 장착된 동적쐐기의 15$^\circ$, 45$^\circ$를 측정하여 조사야 끝에서 쐐기의 heel부분과 toe부분의 1 cm 되는 지점에서 5 cm 지점까지의 1 cm 간격으로 주변선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선량은 최대선량지점에 대한 표면에 근접한 5 mm 깊이와 5 cm 깊이의 백분율로 선량값을 얻었다. 결 과: 6 MV 에너지는 동적쐐기가 고정형쐐기보다 조사야 주변 선량이 0.1$\sim$1.4%정도 모두 낮았다. 15 MV 에너지는 조사야에서 근접한 거리에서 동적쐐기의 선량이 0.4$\sim$0.9%정도 높지만 멀어지면서 급격하게 감소하여 동적쐐기가 최대 1.6% 낮게 측정되었다. 경사각 15$^\circ$와 45$^\circ$에서의 선량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동적쐐기는 heel 부분과 toe부분의 선량차이가 없는 반면 고정형쐐기는 에너지가 크고 쐐기 각도가 클수록 heel부분 보다 toe부분의 선량이 2%정도 높게 측정되었다. 결 론: 동적쐐기와 고정형 쐐기가 조사야 내에서는 같은 선량분포를 갖는 반면 조사야 주변에서는 동적쐐기가 고정형쐐기보다 선량이 낮았다. 따라서 동적쐐기를 사용할 경우 치료주위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치료부위와 근접한 표면에 가까운 주요장기의 선량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치료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었다.

  • PDF

대향2문조사시 Target Volume의 위치에 따른 Beam Weight의 최적화

  • 이진국;김지한;임익수;최영헌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8-73
    • /
    • 1992
  • If the same weight is used in parallel opposed 6 and 10 MV x-ray beams, the lowest dose is achieved at SAD. Therefore, dose homogeneity in the target volume is decreased when SAD is taken at center of target volume than center of phantom or patient. With Standard deviation of ${\pm}6\%$ that repuesented the dose homogeneity in tarhet volume, we studied the optimized beam weights at which hot spot dose was least in parallel opposed beams. The optimized beam weights that maximally decrease the hot spot dose, wer 1.29, 1.19, 2.71, 3.50, and 4.70 in 6 MV x-ray and 1.25, 1.53, 1.90, 2.36, 3.01, and 3.7 in 10 MV x-ray, reapectively, when center of target volume was changed to 2,4,6,8,10, and 12cm from center plan of phantom along the centeral axis of beams.

  • PDF

6 MV 광자선조사면내 투과성필터에 의한 조직선량 (Scatter Dose in soft tissue using the partial attenuation filter for 6 MV X-ray of linear accelerator)

  • 최태진;김옥배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4권1호
    • /
    • pp.55-71
    • /
    • 1993
  • Measured and calculated the TMR and SMR factors from percent depth dose underpartial attenuators which cover the whole part of the radiation beam with variousfilter thickness from 0 to 50 mm.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x-ray beams generated with a 6 MV linear acceleratorat source to surface distance of 100cm in a water phantom for Lipowitz metal. TMR(0,d,t) was derived from non-linear polynomial regression with field sizedifferencies and a given filter thickness. In this experiments, the TMR(0,10,50) of 50mm of filter thickness was showed13.6 % higher than that of open field and SMR(5,10,50) was 38.5% smaller than thatof open field in same depth.

  • PDF

Mevatron KD 8067 선형가속기의 23 MV 광자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23 MV Photon Beam from a Mevatron KD 8067 Dual Energy Linear Accelerator)

  • 김옥배;최태진;김영훈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1호
    • /
    • pp.115-124
    • /
    • 1990
  • 고 에너지 23MV광자선의 특성 중 임상적용에 중요한 심부선량 백분율, 조직-최대선량비 (TMR), 산란-최대선량비 (SMR), 표면선량 및 출력선량 보정계수등의 변수가 이온전리 (IC-10)함 및 평행 평판전리 (PS-033)함에 의해 측정 조사되었다. 명목상의 23 MV X-선에 대한 가속에너지는 $18.5\pm0.5$ MV로 측정되었다. Mevatron KD 8067의 23 MV X-선의 중심선속의 반가층이 기하학적인 좁은 선속으로 측정되었으며 반가층의 두께는 $24.5\;g/cm^2$이었다. 조직-최대선량비는 심부선량백분율표에서 구해졌으며, 실측치와 비교한 결과 각 조사면의 크기와 깊이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평균 $0.7\pm0.5$의 오차를 나타내고 있어 계산에 의한 TMR 값과 잘 일치함을 보였다. 조사면 $0\times0\;cm^2$의 TMR 값은 zero 조사면의 유효감약계수에 의한 값과, 각 조사면의 조직-최대 선량비로 부터 비선형최소자승법에 의해 구해진 유효선흡수계수 및 반가층 측정에 의한 유효선흡수 계수에 의한 값들로 비교되었으며, $\mu=0.0283{\pm}0,0002cm^{-1}$을 보였고, 세 방법 모두 오차범위내에서 잘 일치됨을 보였다. 한편, 불규칙 조사면의 선량계산에 이용될 SMR은 조사면의 반경 50cm까지 계산되어 대형 조사 면에서도 선량율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Mevatron KD 8067의 23 MV X-선의 조직 표면선량은 SSD 100 cm, 1$10\times10\;cm^2$의 조사면에서 최대조직선량율의 $9.6\%,\;25\times25\;cm^2$에서는 $25.4\%$를 보였다.

  • PDF

Anti-survival and pro-apoptotic effects of meridianin C derivatives on MV4-11 human acute myeloid leukemia cells

  • Hyorim Cho;Anil Kumar Yadav;Youngrok Do;Mihwa Heo;David Bishop-Bailey;Jinho Lee;Byeong-Churl J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Oncology
    • /
    • 제56권1호
    • /
    • pp.368-378
    • /
    • 2020
  • Meridianin C is a marine natural product with anticancer activity. Several meridianin C derivatives (compounds 7a-j) were recently synthesized, and their inhibitory effects on pro-viral integration site for Moloney murine leukemia virus (PIM) kinases, as well as their antiproliferative effects on human leukemia cells, were reported. However, the anti-leukemic effects and mechanisms of action of meridianin C and its derivatives remain largely unknow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ridianin C and its derivatives on MV4-11 human acute myeloid leukemia cell growth. The parent compound meridianin C did not markedly affect the viability and survival of MV4-11 cells. By contrast, MV4-11 cell viability and survival were reduced by meridianin C derivatives, with compound 7a achieving the most prominent reduction. Compound 7a notably inhibited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PIM kinases, as evidenced by reduced B-cell lymphoma-2 (Bcl-2)-associated death promoter phosphorylation at Ser112. However, meridianin C also suppressed PIM kinase expression and activity, and the pan-PIM kinase inhibitor AZD1208 only slightly suppressed the survival of MV4-11 cells. Thus, the anti-survival effect of compound 7a on MV4-11 cells was unrelated to PIM kinase inhibition. Moreover, compound 7a induced apoptosis, caspase-9 and -3 activation and poly(ADP-ribose) polymerase (PARP) cleavage, but did not affect death receptor (DR)-4 or DR-5 expression in MV4-11 cells. Compound 7a also induced the generation of cleaved Bcl-2, and the downregulation of myeloid cell leukemia (Mcl)-1 and X-linked inhibitor of apoptosis (XIAP) in MV4-11 cells. Furthermore, compound 7a increased eukaryotic initiation factor (eIF)-2α phosphorylation and decreased S6 phosphorylation, whereas GRP-78 expression was unaffected. Importantly, treatment with a pan-caspase inhibitor (z-VAD-fmk) significantly attenuated compound 7a-induced apoptosis, caspase-9 and -3 activation, PARP cleavage, generation of cleaved Bcl-2 and downregulation of Mcl-1 and XIAP in MV4-11 cells. Collectively,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e strong anti-survival and pro-apoptotic effects of compound 7a on MV4-11 cells through regulation of caspase-9 and -3, Bcl-2, Mcl-1, XIAP, eIF-2α and S6 molecules.

순무 모자이크 바이러스(TuMV)의 새로운 기주식물 탐색 (New Host Plants of Turnip Mosaic Potyvirus in Korea)

  • 최준근;윤주연;이세원;최장경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25-629
    • /
    • 1998
  • Turnip mosaic potyviruses (TuMV) were isolated from Rorippa indica and Armoracia lapathifolia showing mosaic symptoms in field. Identification of the TuMVs were carried out by host reactions of indicator plants, electron micrograph, serological properties and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Both viruses systemically infected Chenopodium quinoa, Nicotiana clevelandii, Brassica rapa, B. campestris subsp. pekinensis, B. juncea and Raphanus sativus, and developed local infection on inoculated leaves of C. quinoa, C. amaranticola, C. album, N. tabacum cv. Xanthi nc and Gomphrena grobosa. However, the viruses did not infect on N. glutinosa, Cucumis sativus and Vigna unguiculata. The filamentous particles, about 720 nm in length, and inclusion bodies were observed from the infected leaf tissues by dipping on electron microscopy. Crude sap of leaf infected with the viruses was reacted positively with an antiserum of TuMV in agar gel double diffusion. For detection of the viruses, RT-PCR was carried out with TuMV--specfic oligonucleotide primer. The RT-PCR products, a 1,092 bp DNA fragment, were obtained from naturally infected leaves of R. indica and A. lapathifolia. In inoculation test to seven cruciferous weeds with TuMV, infection occurred in Arabis glabra, Barbarea orthoceras, Capsella bursa-pastoris, Draba nomorosa var. hebecarpa, Rorippa cantoniensis and Thlaspi arven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