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6하 원칙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f Service Decision Method in Context Awareness System (상황인식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결정 방법에 관한 연구)

  • Heo, Kyeong-Wook;Ha, Kyeong-Ja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6
    • /
    • pp.253-258
    • /
    • 2012
  • In this thesis, I categorize expression of context data required for context data inference according to five Ws and one H(5W1H)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and infer superordinate context by combining context data of 4W1H with inferred context of why. This thesis suggests that we categorize specific context and service according to 6W2H added Whom(specific data or service) and How much (accuracy), and determine proper services for specific contexts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rough set for expression and inference of categorized contexts and inaccurate knowledge. Since there is an limitation of the set of 0 and 1 when concerned with accuracy of services, I introduce the concept of fuzzy set. To provide users with the most appropriate service by ridding of unnecessary properties through the process of reduction, I also use the concept of rough set.

Development of the Prototype Curriculum of Foodservice Systems Management Education based on Competency-Based Education Principles (능력중심교육 원칙을 응용한 급식경영관리 교육 모형의 개발)

  • Yoon, J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0 no.10
    • /
    • pp.1-16
    • /
    • 2002
  • 본 연구는 한국 영양사를 위한 급식경영관리교육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4년제 식품영양학과에 적용 할 수 있는 능력중심교육 원칙(competency-based education)을 응용한 급식경영관리 교육 모형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각 분야의 급식경영전문가 설문조사$\longrightarrow$영양사 설문조사$\longrightarrow$4년제 대학 식품영양학과 교과과정 검토$\longrightarrow$급식경영관리 교육 모형 개발 등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급식경영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하여 한국영양사에게 필요한 47개 급식경영관리 수행능력을 결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영양사 설문조사 (응답자수: 484, 회수율: 65%)에서는 위 수행능력의 중요도와 교육정도에 대한 영양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급식경영관리 수행능력이 현재와 미래의 영양사 업무수행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교육은 불충분하다고 대답하였다. 교육 불충분의 이유로는 급식경영관리 분야의 과목 부족, 실무위주 교육의 부족 등을 지적하였다. 교과과정 검토 결과 61개 과목 중 8과목(13%)만이 급식경영관리와 관련된 과목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설문조사 결과와 교과과정 검토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능력중심교육 원칙을 응용한 급식경영관리 교육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육 모형은 급식경영관리 전문 교육가에 의해 실행 전 평가 및 검토를 거쳤으며, 내용구성, 적용성, 형식 분야의 평가 결과 모든 분야에서 5.0 만점의 평균 4.6점을 획득하여 한국 영양사의 효과적인 급식경영관리 교육과정 개발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Non-Appropriation Principle and Corpus Juris Spatialis (비전유원칙과 우주법(Corpus Juris Spatialis))

  • Kim, Han-Taek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35 no.1
    • /
    • pp.181-202
    • /
    • 2020
  • The Non-Appropriation Principle was stipulated in the OST and the MA. However the MA, creating CHM in international law for the first time, attempted to further limit the prohibitions to include ownership of resources extracted from celestial bodies, its rejection by the U.S. and most of the international spacefaring community prevented it from serving as a binding international treaty. Individuals or private enterprises intending to perform space exploitation must receive approval from the nation and may not appropriate outer space or celestial bodies. In the course of this space activity, each party will be liable. Articles 6 and 7 of the OST and the Liability Convention of 1972 deal with matters concerning those problems. The CSLCA of 2015 and Luxembourg Space Resources Law of 2017 allows States to provide commercial exploration and use of space resources to their own nationals and to companies operated by other countries within their territory. These laws do not violate Article 2 of the OST. In the case of the CSLCA of 2015, the law clearly states that it cannot claim ownership, sovereignty or jurisdiction over certain celestial bodies. Even if scholars claim that the U.S. CSLCA and Luxembourg Space Resources Law violate the non-appropriation principle of the OST, they cannot prevent these two countries from extracting the space resources on "the first come, first served" basis. The legal status of outer space including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is res extra commercium, like the high seas, where the fishing vessels from each country catch and sell fish without occupying the sea. Major space-faring nations must push for the adoption of an international regulatory committee which will oversee applications and issue permits based on a set of robust, modern, and forward-thinking ideals that are best equipped to govern and protect outer space as individuals, businesses, and nations compete to commercialize space through mining and the extraction of space-based resources. The new Corpus Juris Spatialis on the development of space resources, whether it is a treaty or a soft law such as recommendation and declaration, in the case of the Moon and Mars, will cover a certain amount of area to develop, and the development period by the states should be specified.

척담(滌痰).축어(逐瘀).고본치료효천적경험(固本治療哮喘的經驗) -척담(滌痰).축어(逐瘀).고본(固本)의 방법에 따른 천식에 관한 치험-

  • Hwang Geum-Seong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 /
    • v.15 no.1
    • /
    • pp.39-45
    • /
    • 2001
  • 본 논문은 척담(滌痰) 축어(逐瘀) 고본(固本)의 방법으로 천식을 완화시킨 치험에 관한 내용이다. 천식의 병인병기는 폐(肺) 비(脾) 신(腎) 삼장(三臟)의 본허(本虛)로 인한 알레르기성 체질이 내적인 근본요인으로 간주된다. 담어복폐(談瘀伏肺)는 천식의 병리적인 결과로서 증상유발의 요인이기도 하다. 즉 담어(痰瘀)는 천식의 병리적인 부산물이며, 동시에 천식을 일으키는 치병요인이 된다. 담어(痰瘀)가 내복(內伏)하여 철저히 제거되지 않으면 천식은 결코 완치될 수 없다. 이와 같은 한의학적인 관점은 현대의학에서 천식을 기도의 만성 염증에 의하여 유발된 증상으로 파악하고 있는 기전과 일맥상통하다. 또한 담(痰) 어(瘀) 허(虛)는 천식의 병리변화 과정에서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며, 이는 천식치료를 위한 처방구성에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치료: 천식은 발작기와 완화기로 분류하여 치료하며, 발작기는 냉효(冷哮)와 열효(熱哮)로 구분된다. 냉효(冷哮)의 경우 치료원칙은 온폐산한(溫肺散寒), 척담평천(滌痰平喘), 화어행체(化瘀行滯)를 기본으로 한다. 처방은 구마황(灸麻黃) 행인(杏仁) 황금(黃芩) 세신(細辛) 계지(桂枝) 오미자(五味子) 당귀(當歸) 울김(鬱金) 목단피(牧丹皮) 지룡(地龍) 정력자(?歷子) 담남성(膽南星)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열효(熱哮)의 경우 치료원칙은 청열사폐(淸熱瀉肺) 척담평천(滌痰平喘), 화어행체(化瘀行滯)를 근본으로 삼고, 처방으로는 구마황(灸麻黃) 행인(杏仁) 황금(黃芩) 목단피(牧丹皮) 적작약(赤芍藥) 당귀(當歸) 정력자(?歷子) 담남성(膽南星) 지룡(地龍) 어성초(魚腥草) 포공영(蒲公英)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완화단계도 역시 두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지는데, 폐신음허형(肺腎陰虛型)은 익기양음(益氣養陰) 척담행어(滌痰行瘀)를 치료원칙으로 하고, 처방에는 남북사삼(南北沙蔘) 구자울(灸紫?) 및 관동화(款冬花) 당귀(當歸) 목단피(牧丹皮) 울김(鬱金) 정력자(?歷子) 세신(細辛) 오미자(五味子) 구기자(枸杞子) 산수황육(山茱黃肉)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비신양허형(脾腎陽虛型)은 온보비신(溫補脾腎) 화어척담(化瘀滌痰)을 원칙으로 하며, 처방에는 구마황( 灸麻黃) 세신(細辛) 오미자(五味子) 당귀(當歸) 단삼(丹蔘) 울김(鬱金) 정력자(?歷子) 반하(半夏) 보골지(補骨脂) 선령비(仙靈脾) 태자삼(太子蔘)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치험(治驗): (1) 천식의 실증(實證)은 치료를 한 뒤 완화단계에 접어들면서 허증(虛證)으로 전화되는데, 허천(虛喘)도 역시 천식이니 만큼 단순히 보법(補法)만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시종일관 천식치료에는 척담화어(滌痰化瘀)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폐내(肺內)의 담어(痰瘀)가 철저하게 제거되어야 폐(肺)의 순환기능을 개선시켜 기도(氣道)의 염증을 신속히 흡수하고 치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치료과정은 약 3-6개월이 필요하다. 완화단계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완치될 확률도 높아진다. (2) 급성기 천식은 폐(肺)를 다스려야 한다. 폐(肺)를 다스리는 방법에는 선폐(宣肺), 청폐(淸肺), 온폐(溫肺), 윤폐(潤肺) 및 척담거어(滌痰祛瘀) 등이 있다. (3) 증상이 완화되면 신(腎)을 다스린다. 천식은 신허(腎虛)가 근본적인 원인이므로 완화단계에서 심지어 발작기에도 보신제(補腎劑)를 추가하여 사용하면 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비(脾)의 기능을 강화하여 근본을 채우는 부비배본(扶脾培本)도 중요하다. 후천의 수곡정미(水穀精微)로 선천을 충족시키고 자양하는 것은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키우고 재발을 경감시키거나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역시 천식치료의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 PDF

The Study on the Effects of Elasticity on the Animation Characters (탄성이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yung Byung-Pyo;Ryu Seuc-Ho;Lee Nam-K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3
    • /
    • pp.135-142
    • /
    • 2006
  • An animation character can be applied an Elasticity principle to strengthen an action and expression. That principle is called as Squash & Stretch in animation. The application of this principle gives the illusion of weight and volume to an animation character, and makes it possible that an animation action be the smooth and soft by escaping from the stiffness and rigidity. If an action of human or object on animation is expressed like a real world, it seems to be unnatural. Any action without Squash & Stretch will look rigid, uninteresting and not alive. It can be applied to movement of all objects, characters' actions, dialogues and facial expressions with a basic rule of mass, volume and gravity. Havier characters squash and stretch more than thinner ones. Any action will not be well expressed without this principle. To be a good animation movement, it should be widely applied in all type of animation, not only 2D animation.

  • PDF

A Study on Kang Full's Webtoon through the Main Plot Composition Method in Tobias -Focused on Rescue and The Riddle Plot- (토비아스의 메인 플롯 구성 방법을 통한 강풀의 웹툰 분석 -구출과 수수께끼 플롯을 중심으로-)

  • Kim, Dae-Kweun;Park, Keong-Cheol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40
    • /
    • pp.211-242
    • /
    • 2015
  • Recently, the shrunk influence of printed cartoon has been superseded by the influence of Webtoon in the comic industry. Webtoon has gained popularity and interest by being served on internet quickly and easily. Their novel material and sympathetic topic have made it possible for many Webtoons to be reproduced into tv dramas and movies, so, the influence of them has been increased as the copyright industry of culture contents industry. The increasing interest for Webtoon has induced academic studies for the subject. Among the various studies in need on Webtoon, the most important study topics in need are 'Story' and 'Quality' which are criterion for readers to choose Webtoons to read. To create the Webtoon that are great at 'Story' and 'Quality', the study on plots should be preceded, which recast episodes organically through a logical causal relationship.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lots of Webtoons have been analyzed through Rescue plot in and the Riddle plot in selected from the Kang Full's Webtoon series, 'mystery psychology horror season', which are evaluated as the great work at 'Story' and 'Quality.' The analysis was implemented based on Tobias' theory which suggests 'the characteristics of plot' and '8 principles for good plot.' First, Kang Full's webtoons were analyz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plot' and '6 principles for good plot' which is modified from '8 principles of good plot' based on Tobias' theory. Applicability was checked if Tobias' theory could be applied to Kang Full's Webtoon checking through the scenes and contents of the Webtoon. (1) Tobias' 'the characteristics of plot' could be applied to both Rescue plot in and the Riddle plot in . (2) Among '6 principles for good plot', 5 principles are shown in The Lighting Store and all of the 6 principles in Neighbor. The result shows that Tobias theory could be applied to the plot of Webtoon. The fact that Kang Full's Webtoons are composed in a formulaic form could be identifi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plot' and '6 principles for good plot' shown in Rescue plot in and the Riddle plot in .

내 몸에 맞는 운동을 합시다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25 no.9 s.274
    • /
    • pp.6-13
    • /
    • 2001
  • 운동이 우리에게 주는 이로운 점이 너무나도 많다는 것은, 규칙적인 운동을 해본 사람만이 느낄 수 있다.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게 되면 체력증진과 스트레스 해소뿐만 아니라, 자신의 운동능력을 깨달을 수 있으며, 성취감도 맛볼 수 있게 된다. 그 밖에도 운동을 하면 컨디션이 좋아지고 피로회복도 빨라져 직장에서의 작업능률도 오르며 기분도 상쾌해진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알맞은 운동은 어떻게 하는 것일까? 원칙적으로 자기 몸에 맞는 운동을 찾기 위해서는 의한 검사, 체력검사, 운동부하검사, 체력검사 등을 먼저 받아 봐야 한다. 이러한 검사들을 받은 다음 개인의 병력과 운동능력을 고려하고 연령을 참고하여 능력을 맞는 운동프로그램을 처방받아 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안전하다.

  • PDF

터널의 라이닝 기계 설비

  • 김성구
    • Magazine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5 no.4
    • /
    • pp.6-17
    • /
    • 2003
  • 라이닝과 굴착작업은 통상적으로 병행작업이 되며, 라이닝은 시공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공기는 주로 굴착 속도에 지배된다. 그러나 소단면/원형단면 터널에서는 작업 공간확보문제 등 제반조건에 따라 굴착과 라이닝 작업이 분리되어 라이닝 공정이 전체 공기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는 경우도 있다. 라이닝 콘크리트의 타설시기는 계측에 의해 원지반의 변위가 수렴된 것을 확인한 후 하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NATM 에서는 전단면 라이닝이 일반적이다. 본 고에서는 라이닝 설비로서 사용되는 타설설비, 운반설비, 형틀설비의 총 3편으로 나누어 라이닝 기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 PDF

A Reverse Segmentation Algorithm of Compound Nouns (복합명사의 역방향 분해 알고리즘)

  • 이현민;박혁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6a
    • /
    • pp.56-59
    • /
    • 2000
  • 한국어에서 복합명사는 명사간 결합이 자유롭고, 단위명사로 띄어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붙여써도 무방하다. 따라서, 정보검색분야, 기계번역분야에서 복합명사의 정확한 분해는 시스템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ETRI의 태깅된 코퍼스로부터 추출한 복합명사를 역방향 분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단위명사로 분해한다. 분해되지 않은 3119개의 복합명사에 대해 실험한 결과 약 96.6%의 정확도를 얻었다. 또한, 미등록이나 접사에 대한 처리에도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A Study of the Integrated Modeling of the Incident Investigation Reports (사고조사 보고서 통합 모델링 연구)

  • Lee, ChangeYeol;Choi, Seo 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55-56
    • /
    • 2023
  • 사고 조사 보고서는 부처별, 기관별로 작성되어 관리되고 있다. 사고에 관한 종합적인 보고서로 그 정보가 정확하고,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만, 시스템화되지 않고, 또한 부처별, 기관별 그 양식이 다른 관계로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자동으로 중요한 정보를 도출하여 활용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고조사 보고서의 중요한 6하 원칙 정보와 재난의 원인과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모델을 연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