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5G broadcast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Cell ID Detection Schemes Using PSS/SSS for 5G NR System (5G NR 시스템에서 PSS/SSS를 이용한 Cell ID 검출 방법)

  • Ahn, Haesung;Kim, Hyeongseok;Cha, Eunyoung;Kim, Jeongchang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5 no.6
    • /
    • pp.870-881
    • /
    • 2020
  • This paper presents cell ID (cell identity) detection schemes using PSS/S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for 5G NR (new radio) system and evaluates the detection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consider two cell ID detection schemes, i.e. two-stage detection and joint detection schemes. The two-stage detection scheme consists of two stages which estimate a channel gain between a transmitter and receiver and detect the PSS and SSS sequences. The joint detection scheme jointly detects the PSS and SSS sequences.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s coherent and non-coherent combining schemes. The coherent scheme calculates the correlation value for the total length of the given PSS and SSS sequences, and the non-coherent combining scheme calculates the correlation within each group by dividing the total length of the sequence into several groups and then combines them non-coherently. For the detection schemes considered in this paper, the detection error rates of PSS, SSS and overall cell ID are evaluated and compar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joint detection scheme outperforms the two-stage detection scheme for both coherent and non-coherent combining schemes, but the two-stage detection scheme can greatly reduc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compared to the joint detection scheme. In addition, the non-coherent combining detection scheme shows better performance under the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 fixed, and mobile environments.

홀로그램 융합기술의 현황과 전망

  • Kim, Nam;Gwon, Gi-Cheol;Im, Yeong-Tae;Zhao, Yu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4 no.2
    • /
    • pp.9-18
    • /
    • 2019
  • 최근 ICT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5G 무선통신의 실용화에 맞물려 AR/VR 기술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먼 미래의 기술로만 여겨졌던 홀로그램 기술이 모두의 기대보다 빨리 현실로 도래할지 모른다는 전망이 종종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아직 기술개발을 통해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 산적해 있다는 것이다. 홀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하여 우선적용 가능한 응용분야를 선택, 집중한다면 홀로그램의 기술진화를 더 가속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에서는 홀로그램 기술의 현 주소를 통해 홀로그램 융합기술을 살펴보고자 한다.

Implementation of External Memory Expansion Device for Large Image Processing (대규모 영상처리를 위한 외장 메모리 확장장치의 구현)

  • Choi, Yongseok;Lee, Hyeji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3 no.5
    • /
    • pp.606-613
    • /
    • 2018
  •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implementing an external memory expansion device for large-scale image processing. It consists of an external memory adapter card with a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Gen3 x8 interface mounted on a graphics workstation for image processing and an external memory board with external DDR(Dual Data Rate) memory. The connection between the memory adapter card and the external memory board is made through the optical interface. In order to access the external memory, both Programmable I/O and DMA(Direct Memory Access) methods can be used to efficiently transmit and receive image data. We implemented the result of this study using the boards equipped with Altera Stratix V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nd 40G optical transceiver and the test result shows 1.6GB/s bandwidth performance.. It can handle one channel of 4K UHD(Ultra High Density) image. We will continue our study in the future for showing bandwidth of 3GB/s or more.

A Study on Disaster Information Contents for Provision of Disaster Response Services based on Multimedia (영상 매체 기반 재난대응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재난정보 콘텐츠 연구)

  • Cho, Beom-Jun;Kim, Hyun Chul;Kim, J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210-211
    • /
    • 2020
  • COVID-19으로 인해 국민들에게 전달되는 재난정보의 양상이 서서히 변화하고 있다. 이는 정보통신의 발전 양상과도 매우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전까지의 정부 및 지자체에서 제공되는 재난정보에 대한 형태는 문자와 음성으로만 제공하므로써 고령자와 외국인과 같은 재난 약자에게 명확한 상황인지를 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방위적인 노력을 하고 있으며, 보다 정확하고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는 급속도로 발전하는 정보통신 매체(UHD 및 5G, 오픈스크린 등)를 기반으로 국민들로 하여금 신속.정확한 재난상황인지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이로 인한 재난경보 관련 최근 이슈는 '내 위치 맞춤형 정보'와 '다매체 정보'가 아닐까 싶다. 정보통신 매체가 발달함에 따라 제공되는 재난경보의 범위가 내 위치를 기준으로 좁아지며, 시각적으로 직관적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각 매체의 고유 정보를 통해 위치가 확인 가능하면서 해당 지역에 맞는 정보만 선택적으로 취함으로써 불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TTA에서 표준으로 제정된 CAP (Common Alerting Protocol)을 활용하였으며, 'Area' 항목에 지역코드(전국~읍면동)를 함께 포함함으로써 가능해졌다. 또한 CAP을 활용함에 따라 텍스트부터 음성, 이미지, 웹 콘텐츠까지 최신의 영상 매체에 적용 가능한 재난정보 콘텐츠를 제공 가능해졌으며, 특히 UHD 및 5G, 오픈스크린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기반 영상 매체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재난정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된 콘텐츠에는 각종 관련 정보를 확인 가능하도록 링크를 제공하여 필요에 따라 보다 자세한 재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재난경보에 대한 다변화를 통해 나에게 꼭 필요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발령 체계 개편이 필요하다.

  • PDF

Implementation of JPEG Compression Module Using FPGA (FPGA를 이용한 JPEG 압축모듈 구현)

  • We, Jiho;We, Hyun;Yu, Seungwon;Jeong, Jechan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11a
    • /
    • pp.158-161
    • /
    • 2019
  • 정보를 전달하는 데에는 여러 수단이 있다. 그 중 가장 많은 양의 정보를 가장 직관적으로 전달하는 수단은 영상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예로부터 공연과 연극을 통해 시각적인 형태로 내용과 분위기 등 다양한 정보들을 전달해왔고, 오늘날에는 영화 필름의 형태로 전달하기도 한다. 현대에는 기술이 점점 발전하고 한 매체가 담을 수 있는 용량이 커지면서 통용되는 데이터량이 늘어나고 있고, 또한 개개인의 삶이 하나의 컨텐츠가 되면서 사회 전체적으로 유통되는 데이터량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회적 추이를 따라 영상을 효과적으로 운용하는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이를 위해 그 데이터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다양한 압축 기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 5G 통신 기술이 상용화되는 것을 보면서도 알 수 있듯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처리해야하는 데이터량이 많이졌고 많은 데이터량을 처리하는 속도도 발전하였지만 많은 데이터량을 효율적으로 줄이는 방법도 매우 중요해졌다. 이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은 JPEG 인코더를 구현해봄으로써 영상의 효율적인 압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압축 자체에 대한 개념을 깊이 있게 함양하기 위해 본 연구 주제를 선정하였다.

  • PDF

Viewpoint-Switching Delay of Multi-viewpoint 360VR in a Bandwidth-limited Environment (대역폭 제한된 환경에서 다중시점 360VR 콘텐츠의 시점변경에 따른 전송지연에 대한 연구)

  • Seo, Bong-Seok;Hwang, Subin;Lee, Ye hoon;Kim, Do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1.06a
    • /
    • pp.242-245
    • /
    • 2021
  • 시청자의 시점 위치를 선택하여 360VR 콘텐츠를 경험하는 다중시점 또는 자유시점 360VR 콘텐츠의 전송은 매우 높은 대역폭을 소비하게 된다. 특히 다중 사용자가 존재하는 셀룰러 환경에서는 특정 사용자에게 한정된 대역폭만을 할당할 수 있으므로 불가피하게 전송 품질 악화 또는 전송 지연을 겪게 된다. 다중시점(multi-viewpoint) 360VR 콘텐츠의 경우 시청자가 시점의 위치를 변경하면 해당 위치의 콘텐츠를 전송하므로, 한정된 대역폭이 주어지는 통신환경에서 시점을 이동할 때 마다 큰 전송 지연을 겪게되어 사용자 경험이 매우 떨어지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시점 360 비디오에서 시점 변경을 시도할 때 전송지연을 줄이기 위하여 주변 위치의 영상을 적절히 Pre-Loading 하는 전송방식을 고려하고, 실질적인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시점 변환에 따른 지연시간 성능을 분석하였다. 특정 수준 이하로 지연시간을 낮추기 위해서는 사용자 이동패턴에 대한 적절한 예측 기법이 요구되며, 정확도에 따른 지연시간 감소를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Multimedia Disaster Information Contents for Disaster Response Service (재난대응 서비스 제공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난정보 콘텐츠 연구)

  • Cho, Beom-Jun;Kwon, Ki Bong;Kim, Hyun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573-573
    • /
    • 2020
  •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대국민 재난 예.경보시스템은 텍스트 및 음성으로만 재난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령자 및 외국인, 장애인들과 같이 재난상황 하에서의 사회적 약자에게는 재난대응을 위한 인지가 쉽지 않으며, 제한된 텍스트 정보로 인해 재난상황을 전달하기에 한계가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매체를 통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포함된 재난정보에 관한 연구와 이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디지털사이니지 및 버스정보시스템과 더불어 최신 ICT 기술인 '5G', 'UHD'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재난정보를 수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고도의 인프라 기반이 마련되어 있어 현재보다 많은 재난정보를 전달하여 국민들로 하여금 신속.정확한 재난상황 인지를 가능케 할 수 있다. 다매체에서 활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재난정보 콘텐츠는 행정안전부 '재난정보공동이용시스템'과 기상청 '지진조기경보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관측 및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적으로 생성된다. 생성된 멀티미디어 재난정보 콘텐츠는 '발생재난 종류'와 '재난발생 일시', '발생지역'과 같은 기본적인 정보를 포함하여 지도기반 '재난발생 위치'와 '대피소 위치', '대응요령', '기타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재난 콘텐츠는 '경보'와 '후속 경보'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차이를 두어 상황에 맞게 인지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다만, 이러한 재난정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가능케하기 위해서는 현재와 같은 재난정보 전달체계와 더불어 웹서비스 및 양방향 방송망을 활용할 수 있는 전달체계가 확보되어 보다 신속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기반 기술 연구가 필요하다.

  • PDF

Design and Performance of a Direct RF Sampling Receiver for Simultaneous Reception of Multiband GNSS Signals (다중대역 GNSS 신호 동시 수신을 위한 직접 RF 표본화 수신기 설계 및 성능)

  • Choi, Jong-Won;Seo, Bo-Seok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1 no.5
    • /
    • pp.803-815
    • /
    • 2016
  • In this paper, we design a direct radio frequency (RF) sampling receiver for multiband GNSS signals and demonstrate its performance. The direct RF sampling is a technique that does not use an analog mixer, but samples the passband signal directly, and all receiver processes are done in digital domain, whereas the conventional intermediate frequency (IF) receiver samples the IF band signals. In contrast to the IF sampling receiver, the RF sampling receiver is less complex in hardware, reconfigurable, and simultaneously converts multiband signals to digital signals with an analog-to-digital (AD) converter. The reconfigurability and simultaneous reception are very important in military applications where rapid change to other system is needed when a system is jammed by an enemy. For simultaneous reception of multiband signals, the sampling frequency should be selected with caution by considering the carrier frequencies, bandwidths, desired intermediate frequencies, and guard bands. In this paper, we select a sampling frequency and design a direct RF sampling receiver to receive multiban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signals such as GPS L1, GLONASS G1 and G2 signals. The receiver is implemented with a commercial AD converter and software. The receiver performance is demonstrated by receiving the real signals.

모바일 방송 기술과 미래 융합 서비스

  • Kim, Jin-Pil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5 no.3
    • /
    • pp.68-83
    • /
    • 2020
  • 1990년대말, 한국은 북미 ATSC 방송표준을 사용하여, 세계최초 HD Digital TV 방송시대를 시작하였고, 이동방송을 위해서는 DMB를 이용한 모바일 방송을 상용화하여, 이는 디지털 방송미디어 산업의 발전과 함께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20여년이 지난 최근, 한국은 북미 최신 방송표준기술인 ATSC3.0을 세계 최초로 국내에 상용화하여 4K UHD 지상파 방송시대를 여는 성과를 또다시 이루었다. 하지만, 그동안 통신기술의 눈부신 발달로 고해상도 몰입형 컨텐츠의 IP 스트리밍 서비스가 대중화되었고, 이에 따른 젊은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미디어 소비 성향 변화가 확산되어, 이제는 새로운 형태의 미래 융합 방송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기술과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관련 산학연 전문가들과 2027년 ATSC3.0 UHD로의 모든 전환 정책을 위해서 다양한 요구사항을 고려한, 미래형 모바일 방송을 포함한 UHD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미래형 모바일 방송은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자동차와 사이니지, 홈 TV에서도 서비스 영역이 확장되어야 하며, IP와 연동하여 인터렉티브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여야 하고, 오디오, 비디오 엔터테인먼트뿐만 아니라 인터넷 데이터와 공공, 관심 정보의 데이터 캐스팅 서비스까지 가능하여야 한다. 본 고에서는 미래형 모바일 방송을 위하여, 현재 상용 서비스가 가능한 최신의 방송과 통신기술인 ATSC3.0과 5G를 통한 방송의 서비스와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들의 미래융합 서비스의 가능성에 대하여 생각해 보는 기회를 삼고자 한다. 본 고의 구성은 서론에서는 방송미디어의 서비스 트렌드를 분석하여 모바일 방송의 복합적 요구사항을 도출해 보고, 본론에서는 현재, 한국의 지상파 UHD 방송표준 기술인 ATSC3.0의 이동방송으로서의 특성을 살펴보고, DMB 기술과 비교해 본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관심과 실험이 시작되고 있는 5G 방송에 대해서도 그 내용과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결론으로는 미래의 융합서비스에 대한 예측과 연구사항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

Vizrt Engine-Based Virtual Reality Graphics Algorithm A Study on the Basic Practical Training Method (Vizrt 엔진 기반 가상현실 그래픽 알고리즘과 기초 실습 교육 방식의 연구)

  • Cho, Hyun Ky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5 no.3
    • /
    • pp.197-202
    • /
    • 2019
  • In the era of the fourth revolution, interest in content production using proven engines in the broadcasting sector, such as Vizrt, is growing. The new visual effects required in the 5G era are critical to content production training. Vizrt has a good production time utility and affordability for broadcast and media content.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use this to present a practical case of the theorem and application of the basic training course in the production of virtual content, and to present the basic training direction. In the introduction, the graphic algorithm analyzed and studied th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Vizrt engine. In this paper, the production process was studied separately, and the work carried out through engine implementation was presented. The VS Studio Foundation was provided as a practical production case at each stage. The Vizrt engine operator process is important in graphic approach and application, and through the results of the lecture, the method of understanding and implementing algorithms for virtual reality perspective suitable for basic learning was studied. Based on practice, the research method of main theory was to create Vizrt contents specialized in 5G contents work in each sector and to implement graphic production in new areas from contents image. Through this study, we came to the conclusion of the basic training method through virtual reality content work based on Vizrt by practicing content creation according to the subject. It also proposes the effect of creating Vizrt content and the direction of building Vizrt basic training co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