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3C30

검색결과 1,023건 처리시간 0.03초

생강나무와 산앵두나무의 뿌리에서 분리한 Penicillium spp.의 지베렐린 생산성 (Isolation of Gibberellin-producing Penicillium spp. from the Root of Lindera obtusiloba and Vaccinium koreanum)

  • 최화열;이진형;신기선;이인중;이인구;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2
    • /
    • 2004
  • Gibberellins(GAs)는 식물의 성장과 발전에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과 원예분야에 매우 중요한 새로운 GAs 생성미생물을 탐색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와 산앵두나무(Vaccinium koreanum)의 뿌리에 존재하는 사상균을 분리하여 GAs 생산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비색법으로 GA 생산량을 분석하였을 때 이들 중에서 GAs 생산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된 두 균주에 대하여 여러 GAs 중에서 식물생장촉진 활성이 높다고 알려진 $GA_{1},\;GA_{3},\;GA_{4}$$GA_{7},\;GA_{53}$에 대하여 생산정도를 분석하고, 동정을 수행하였으며, Waito-c(난장이 볍씨)에서 Bioassay를 수행하였다. 생강나무에서는 6종의 균주, 산앵두나무에서는 4종류의 GAs 생산균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균중 GAs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균주들에 대하여 동정한 결과, 생강나무에서 분리한 C03 균주는 P. urticae KNUC03으로 동정되었으며, 산앵두나무에서 분리한 E03 균주는 P. griseofulvum KNUE03으로 동정되었다. 생합성된 GAs를 분석한 결과 P. urticae KNUC03 균주는 배양액 25 ml 중에 $GA_1\;7.08\;ng,\;GA_3\;30.80\;ng,\;GA_{4}\;1.27\;ng,\;GA_{7}\;0.88\;ng$$GA_{53}\;0.13\;ng$을 생산하였고 P. griseofulvum KNUE03은 $GA_1\;9.79\;ng,\;GA_3\;133.58\;ng,\;GA_4\;2.64\;ng,\;GA_7\;7.80\;ng$$GA_{53}\;0.73\;ng$을 생산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두 균주 중에서 P. griseofulvum KNUE03이 GAs를 더 많이 생산함을 알 수 있었다.

밤바구미 방제를 위한 온도 및 시간별 침지처리 효과와 종실 변화 (Effects of Immersion Temperatures and Times on Chestnut Fruit and Mortality of the Chestnut Weevil, Curculio sikkimensis Heller)

  • 김영재;김현경;이가순;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39-346
    • /
    • 2014
  • 밤재배원에서 발생하는 밤바구미를 물리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침지처리 온도 및 시간별로 유충에 대한 방제효과와 밤 종실에 미치는 성분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밤 종실내의 밤바구미 유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온도조건(30, 35, 40, 45, $50^{\circ}C$)과 시간별(1, 2, 3, 5, 7, 10, 15, 22, 24시간)로 처리하여 방제활성을 조사하였다. 침지처리에 의한 밤 종실의 변화 조사로는 밝기(lightness), 적색도(redness), 황색도(yellowness) 등의 색도의 변화와 발아율, 부패율과 같은 생리적 변화, 경도(hardness)와 같은 물리적 변화, 수분함량과 유리당, 탄닌과 같은 성분변화를 조사하였다. 침지처리를 이용한 밤바구미 유충의 방제 효과는 $30^{\circ}C$에서 2시간 후부터 70%이상의 살충효과를 보였으며, 7시간 후부터는 100% 방제효과를 보였다. $40^{\circ}C$에서는 2시간 후부터 90%의 효과를 보였으며, $45^{\circ}C$ 이상에서는 침지 처리 1시간 후부터 90%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밤 종실에 대한 색도의 변화는 $30^{\circ}C$$35^{\circ}C$에서는 큰 유의차가 없었으나 $4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밝기, 적색도, 황색도에 영향을 미쳤다. 발아율의 경우 침지처리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40^{\circ}C$ 이상의 온도조건에서는 침지시간이 증가할수록 부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도는 온도와 침지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침지처리에 의한 종실 성분의 변화는 온도와 침지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유리당함량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적절한 온도와 시간조건에서의 침지처리가 밤바구미 유충 방제에 효과적이며, 밤 종실의 상품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밤 종실의 침지조건을 선별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점박이응애 천적인 3종 이리응애의 발육 및 포식량 비교 (Development and Prey Consumption of Phytoseiid Mites, Amblyseius womersleyi, A. fallacis, and Typhlodromus occidentalis under controlled Environments)

  • 권기면;이영인;이순원;최경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3-58
    • /
    • 1998
  •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를 먹이로 제공하여 3종 이리응애의 발육 및 포식량을 조사한결과는 다음과 같다. 20, 23, 25, $30\pm$0.5$^{\circ}C$에서 발육기간은 Amblyseius womerslryi Schica 각 11.5, 7.7, 6.7, 5.6일이었으며, Amblyseius fallacis Garman과 Typhlodromus occidentalis Nesbit는 약간 짧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으며, $30^{\circ}C$에서 $20^{\circ}C$보다 1/2이하로 짧았다. 이리응애의 발육임계온도와 유효적산 온도는 암.수간에 차이가 없었고, 암컷을 기준으로 볼 때 A. womersleyi가 각 $8.8^{\circ}C$, 111.6일도, A. fallacis는 각 $10.7^{\circ}C$, 86.0일때도, T. occidentalis는 각 $10.7^{\circ}C$, 94.1 일도였다. $25^{\circ}C$에서 3종이리응애 암성충의 평균수명은 A. womersleyi $18.2\pm$8.67일, A. fallacis $19.6\pm$7.81일, T. occidentalis $13.0\pm$5.66일이었고, 총산란수는 각 $34.3\pm$11.93, $39.8\pm$12.64, $23.6\pm$8.86개였다. 이리응애의 전발육기간 동안 점박이응애 난 포식량은 20, 23, 25, $30\pm$$0.5^{\circ}C$에서 A. womersleyi가 각 $9.1\pm$2.49, $9.7\pm$2.00, 9.7$\pm$2.61, $1.03\pm$2.33개로 온도별로 차이가 없었고, A. fallacis는 비슷하였으며, T. occidentalis는 2~5개 많은 경향이었다. 3종 이리응애 암성충의 점받이응애 나과 전약충에 대한 포식량은 온도별.먹이 태별로 별 차이가 없었다.

  • PDF

반응조의 물리적 인자와 알칼리도가 암모니아 탈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the Physical Parameters and Alkalinity in the Ammonia Stripping)

  • 안주석;임지혜;백예지;정태영;정형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583-590
    • /
    • 2011
  • 공기 폭기법을 통해 암모니아를 제거함에 있어, 반응조의 물리적 인자(폭기 깊이, 공기 방울 크기, 표면적)와 알칼리도가 암모니아의 제거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30 L/min의 공기를 6~53 cm의 폭기 깊이로 실험한 결과, 폭기 깊이는 암모니아 제거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H가 10.0, 온도가 $30^{\circ}C$에서 암모니아의 제거 속도 상수와 표준편차는 각각 $0.175h^{-1}$, 0.004로 나타났다. 공기 방울의 크기 및 공기상과 접촉하는 수표면의 표면적은 제거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폐수의 알칼리도는 암모니아 제거 속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폭기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수용액에 용존되어 pH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매립지와 하수 종말 처리장에서 채취한 실제 폐수를 대상으로 암모니아 제거 속도를 살펴보았다. 하수 원수(pH = 7.1, alkalinity = 75 mg/L)의 경우, pH를 9.3으로 조절하여도 암모니아 제거 속도가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나, 알칼리도가 높은 침출수 원수(pH = 8.0, alkalinity = 6,525 mg/L)는 초기 pH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공기 폭기에 따른 pH 상승으로 인해 암모니아 제거 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침출수 원수의 pH를 9.4로 조절한 경우, 하수 원수와 달리 공기 폭기에 따른 pH 저하가 나타나지 않아 암모니아 제거 속도가 유지 되었다.

호르린스극구흡충의 실험실 내 생활사에 대한 연구 (Experimental life history of Echinostoma hortense)

  • 이순형;황순옥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2호
    • /
    • pp.161-172
    • /
    • 1991
  • 실험실 내에서 호르텐스극구흡충(Echinostoma hortense)의 생활사를 유지하면서 여러 가지 생물학적 현상을 관찰하였다. 충란은 $29~30^{\circ}C$ 항온기에서 배양 약 13일에 miracidium으로 발육하였고, miracidium은 평균 $93.8{\times}53.6{\;}{\mu\textrm{m}}$의 크기였으며 체표에 $7~11{\;}{\mu\textrm{m}}$ 길이의 섬모가 덮혀 있었다. Miracidium을 패류 Lymnaea pervia에 접촉 감염시켰던 바, 접촉 후 14일에 평균 $1.19{\times}0.27{\;}mm$ 크기의 제 1기 redid로, 30일에는 평균 $1.40{\times}0.26{\;}mm$ 크기의 성숙한 제 2기 redid로 발육하였다. Cercaria는 평균 $295.5{times}145.0{\;}{\mu\textrm{m}}$의 크기였으며, 두관의 발육이 미약하였고 두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올챙이에 이 cercaria를 접촉시킨 결과, 모든 올챙이가 감염되었으며 피낭유충 회수율도 평균 88.5%로 높았다. 올챙이로부터 회수한 피낭유충은 타원형이었으며 평균 $167.7{\times}129.9{\;}{\mu\textrm{m}}$의 크기였다. Cercaria감염 후 올챙이 체내에 약 12시간 동안 머문 피낭유충은 마우스에 대한 감염력이 5.0%였으나 점차 증가하여 9일간 머문 것은 90.0%로 최대치를 보였고 이후 감소하여 50일 머문 것은 55.0%의 감염력을 보였다. 피낭유충이 마우스 체내에서 성충이 되기까지는 약 11~12일이 소요되었다. 이상과 같이 실험실 내에서 E. hortense의 전 생활사를 완료시키는 데에 최소한 55~58 일이 소요되었다.

  • PDF

AGS 인체 위암세포에서 육계 에탄올 추출물(CcEE)과 온열치료의 항암 시너지 효과 (Synergistic Anticancer Effect of the Cinnamomi Cortex Ethanol Extract (CcEE) and Hyperthermia in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 박선향;안채령;백승호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3-63
    • /
    • 2019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mbination effects of Cinnamomi cortex Ethanol Extract (CcEE) and hyperthermia in the human AGS gastric cancer cell line. Methods : AGS cells were treated with the indicated concentrations of CcEE (0, 50 or $60{\mu}g/mL$) for 1h prior to hyperthermia. And then incubated for a further 30 min at the indicated temperatures (37, 42 or $43^{\circ}C$) in a humidified incubator containing 5% $CO_2$ or a thermostatically controlled water bath for hyperthermia. The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Morphology assay and Trypan blue assay. To investigate the possible molecular signaling pathways, the activ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proteins (ERK, p38 and JNK) and expression of various anti-apoptotic proteins such as Caspase-3, Caspase-9, p53, Cyclin D1 and MMP-2 were assessed by Western blot analysis. In addition, Annexin V and 7-amino-actinomycin D (7-AAD) staining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poptotic mechanism. Results : Combination of CcEE with hyperthermia effectively suppressed the cell viability and changed cellmorphology compared with CcEE or hyperthermia treatment alone. Combined treatment also abated the expression of Caspase-3, Caspase-9, Cyclin D1 and MMP-2. Whereas, the expression level of p53 was up-regulated by co-treatment. Moreover, combination treatment enhanced phosphorylation of ERK, p38 and JNK. In addition, this combination increased anti-cancer effect by inducing cell death through the apoptosis. Conclusions : Taken together, 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treatment with CcEE and hyperthermia may have therapeutic potential as a promising approach to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OGLE-2017-BLG-1049: ANOTHER GIANT PLANET MICROLENSING EVENT

  • Kim, Yun Hak;Chung, Sun-Ju;Udalski, A.;Bond, Ian A.;Jung, Youn Kil;Gould, Andrew;Albrow, Michael D.;Han, Cheongho;Hwang, Kyu-Ha;Ryu, Yoon-Hyun;Shin, In-Gu;Shvartzvald, Yossi;Yee, Jennifer C.;Zang, Weicheng;Cha, Sang-Mok;Kim, Dong-Jin;Kim, Hyoun-Woo;Kim, Seung-Lee;Lee, Chung-Uk;Lee, Dong-Joo
    • 천문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161-168
    • /
    • 2020
  • We report the discovery of a giant exoplanet in the microlensing event OGLE-2017-BLG-1049, with a planet-host star mass ratio of q = 9.53 ± 0.39 × 10-3 and a caustic crossing feature in 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 (KMTNet) observations. The caustic crossing feature yields an angular Einstein radius of θE = 0.52 ± 0.11 mas. However, the microlens parallax is not measured because the time scale of the event, tE ≃ 29 days, is too short. Thus, we perform a Bayesian analysis to estimate physical quantities of the lens system. We find that the lens system has a star with mass Mh = 0.55+0.36-0.29 M⊙ hosting a giant planet with Mp = 5.53+3.62-2.87 MJup, at a distance of DL = 5.67+1.11-1.52 kpc. The projected star-planet separation is a⊥ = 3.92+1.10-1.32 au. This means that the planet is located beyond the snow line of the host. The relative lens-source proper motion is μrel ~ 7 mas yr-1, thus the lens and source will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in 10 years. After this, it will be possible to measure the flux of the host star with 30 meter class telescopes and to determine its mass.

보헤마이트로부터 $\alpha$-알루미나 분말 제조시 분말 물성에 미치는 음이온의 영향 (Influence of Anions on Physical Properties of $\alpha$-Alumina Powder Derived from Boehmite)

  • 임경란;임창섭;장진욱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849-854
    • /
    • 1996
  • boehmite which is the by-product in alcohol process contains anions such as $Cl^-,{NO_3}^-.or\; CH_3COO^-$ Influe-nce of these anions was studied on properties of $\alpha$-alumina powders prepared by treating the transformed ${\gamma}$-alumina with the alumina sol and $\alpha$-alumina seeds (d_{50}=0.36\mu\textrm{m}$) Disperal 20/1 and 10/1 containing $Cl^-$ produced spherical powder Disperal 20/2 with ${NO_3}^-$ produced equiaxed powder and Disperal 10/3 with $CH_3$ $COO^-$ irregular shaped and sized powder. All of these $\alpha$-alumina powders were submicron. Although the green density of the alumina powder derived from Disperal 10/1 by calcination at $1200^{\circ}C$/1h. was 53% it did not sinter even at $1550^{\circ}C$ for 2h. which implies that its d50 is greater than $3\mu\textrm{m}$. The others gave green densities in the range of 44~47% but they sintered as well as the AKP-30 at $1500^{\circ}C$/2 h or $1550^{\circ}C$/2 h.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Keratinase from a Feather-Degrading Fungus, Aspergillus flavus Strain K-03

  • Kim, Jeong-Dong
    • Mycobiology
    • /
    • 제35권4호
    • /
    • pp.219-225
    • /
    • 2007
  • A keratinolytic enzyme secreted by Aspergillus flavus K-03 cultured in feather meal basal medium (FMBM) containing 2% (w/v) chicken feather was purified and characterized. Keratinolytic enzyme secretion was the maximal at day 16 of the incubation period at pH 8 and $28^{\circ}C$. No relationship was detected between enzyme yield and increase of fungal biomass. The fraction obtained at 80% ammonium sulfate saturation showed 2.39-fold purification and was further purified by gel filtration in Sephadex G-100 followed by ion exchange chromatography on DEAE-Sephadex A-50, yielding an active protein peak showing 11.53-fold purification.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and zymograms indicated that the purified keratinase is a monomeric enzyme with 31 kDa molecular weight. The extracellular keratinase of A. flavus was active in a board range of pH ($7{\sim}10$) and temperature ($30^{\circ}C{\sim}70^{\circ}C$) profiles with the optimal for keratinase activity at pH 8 and $45^{\circ}C$. The keratinase activity was totally inhibited by protease inhibitors such as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PMSF), iodoacetic acid, and ethylenediaminetetraacetate (EDTA) while no reduction of activity by the addition of dithiothreitol (DTT) was observed.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s were up to 80% homologous with the fungal subtilisins produced by Fusarium culmorum.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keratinase of A. flavus K-03 is determined to be subtilisins-like.

Immobilization on Chitosan of a Thermophilic Trehalose Synthase from Thermus thermophilus HJ6

  • Kim, Hyun-Jung;Kim, Ae-Ran;Jeon, Sung-J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3호
    • /
    • pp.513-517
    • /
    • 2010
  • A thermostable trehalose synthase (TtTSase) from Thermus thermophilus HJ6 was immobilized on chitosan activated with glutaraldehyde. The yield of immobilization was evaluated as 39.68%. The optimum pH of the immobilized enzyme was similar to that of the free enzyme. However, the optimal temperature ranges were shifted by about $4^{\circ}C$ owing to better thermal stability after immobilization. The half-life of heat inactivation for free and immobilized enzymes was 5.7 and 6.3 days at $70^{\circ}C$, respectively, thus showing a lager thermostability of the immobilized enzyme. When tested in batch reaction, the immobilized enzyme retained its relative activity of 53% after 30 reuses of reaction within 12 days, and still retained 82% of its initial activity even after 150 days at $4^{\circ}C$. A packed-bed bioreactor with immobilized enzyme showed a maximum yield of 56% trehalose from 100 mM maltose in a continuous recycling system (bed volume: 10 ml) under conditions of pH 7.0 and $70^{\cir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