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th wave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3초

디지털 데이터 중심의 AI기반 환경인지 생산기술 개발 방향 (Development of AI-based Cognitive Production Technology for Digital Datadriven Agriculture, Livestock Farming, and Fisheries)

  • 김세한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6권1호
    • /
    • pp.54-63
    • /
    • 2021
  • Since the recent COVID-19 pandemic, countries have been strengthening trade protection for their security, and the importance of securing strategic materials, such as food, is drawing attention. In addition to the cultural aspects, the global preference for food produced in Korea is increasing because of the Korean Wave. Thus, the Korean food industry can be developed into a high-value-added export food industry. Currently, Korea has a low self-sufficiency rate for foodstuffs apart from rice. Korea also suffers from problems arising from population decline, aging, rapid climate change, and various animal and plant disea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can overcome the production structures highly dependent on the outside world of food and foster them into export-type system industries. The global agricultural industry-related technologies are actively being modified via data accumulation, e.g., environmental data,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information in climate and production facilities, and by actively expanding the introduction of the lates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owever, long-term research and investment should precede the field of living organism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it is necessary to overcome poor production and labor environment investment efficiency in the food industry with respect to the production cost, equipment postmanagement, development tailored to the eye level of field workers, and service models suitable for production facilities of various sizes. This paper discusses the flo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technologies that form the core issues of the site center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field of agriculture, livestock, and fisheries. It also explains the environmental awareness production technologies centered on sustainable intelligence platforms that link climate change responses, optimization of energy costs, and mass production for unmanned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using the unstructured data obtained based on detection and growth measurement data.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아동의 미디어 기기 의존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과 부모 감독의 순차적 매개 효과 (The Effect of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on Children's Media Dependency: Sequentially Mediated by Mothers' Work-Family Strains and Parental Monitoring)

  • 이희원;김도리;강민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2권3호
    • /
    • pp.573-583
    • /
    • 2024
  • Smart devices have become an essential part of human life; however, excessive dependency on these devices has become a serious issue for both children and adults. In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which hypothesized that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influences children's media dependency, and that this effect is sequentially mediated by mothers' work-family strains and parental monitoring. To test this hypothesis, an analysis of data from the 13th Wave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conducted in 2020, was perform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726 children (359 boys, 367 girls) with an average age of 12.23 years (SD=.30).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7.0 and Process MACRO Ver. 4.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aternal smartphone addiction increased mothers' work-family strains, which in turn lowered the level of parental monitoring, which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children's media dependency. Furthermore,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children's media dependency. In sum,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increased children's media dependency, and this effect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an increase in mothers' work-family strains and a decrease in parental monitoring. This study verifies that mothers' smart device usage as well as their working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media dependency. Therefore, to increase parental monitoring of children's media usage, mothers' work-family strains need to be reduced.

The Impact of Disability Acceptance on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 Hyung-Hee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10호
    • /
    • pp.229-236
    • /
    • 2024
  • 본 연구는 임금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사회활동 참여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임금근로 장애인 삶의 만족도 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7차 년도 조사 대상자 4,577명 중 무응답자, 자영업자, 실업자를 제외한 1,330명의 임금근로 장애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SPSS 21.0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분석 결과, 장애수용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자기효능감은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 있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활동 참여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회활동 참여 수준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장애수용이 증가하면 삶의 만족도 증가 정도가 더 큰 것으로 확인하여 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임금근로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수준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Facilities and Student Satisfaction with Campus Lif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University and Department Pride-

  • Jae-Nam Kim;Seong-Eun Ch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10호
    • /
    • pp.245-253
    • /
    • 2024
  •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II(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시설이 대학과 학과 자부심을 매개로 하여 대학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II의 8,106명에서 조사 당시 학력이 4년제 이상 대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휴학 중이면서 관찰 변수의 결측치가 없는 1,268명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 시설 만족도의 정도가 높을수록 대학과 학과 자부심의 정도와 대학 생활 만족도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대학과 학과 자부심의 정도가 높을수록 대학 생활 만족도의 정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학교 관리자들에게 학생들의 경험을 개선하고 학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전략적 방안을 제안한다.

양혈장근건보탕(養血壯筋健步湯)과 전침의 병용치료가 손상된 척수신경 및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anghyuljanggeungunbo-tang(Yangxuezhuangjinjianbu-tang) and Electrical Acupuncture on the Spinal Nerve Injury and the Motor Function)

  • 설재욱;추민규;김선종;최진봉;신미숙;김수익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5
    • /
    • 200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anghyuljanggeungunbo-tang(Yangxuezhuangjinjianbu-tang, YGKT) and electrical acupuncture treatment in spinal cord injury(SCI)-induced ra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 Normal, Control-no treatment after SCI, Experimental I(Exp. I)-taken with YGKT 500 mg/kg $0.5m{\ell}$ daily after SCI. Experimental II(Exp. II)-taken with electrical acupuncture after SCI and Experimental III(Exp. III)-taken with YGKT 500 mg/kg $0.5m{\ell}$ and electrical acupuncture after SCI. After each operation, the present author observed cytological changes, the motor behavior recovery and nerve regeneration by analysis of the motor behavior tests, EMG, hematological(AST, ALT, WBC), histological and immunological changes. Rats were tested by Motor behavior test at 1st, 3rd, 7th, 14th and 21st day. Results : 1.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improv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the motor behavior tests including Tarlov test, Basso-Beattle-Bresnahan locomotor rating scale, modified inclined plane test, open field test, grid walk test and narrow beam test. Especially Exp. III was significantly improved among other groups. 2. In EMG test, H and M wav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Exp. III. 3.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AST, ALT and WBC. 4. NGF, BDNF and Trk B of spinal cord gray matter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Especially, Exp. III was more effective. 5. In histological observations, muscle contraction and denaturation of gastrocnemius muscle of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inhibited. Especially, those of Exp. III was more effective. On the observations of liver and kidney, cell atrophy and apoptosis of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Especially, those of Exp. III was more effective. Conclusions : It can be suggested that YGKT and electrical acupuncture may improve motor behavior, EMG, hematological, histological and immunological findings in SCI-induced rats. Especially, combination of these two treatments will be somewhat better in spinal nerve recovery and motor function improvement.

초등학생의 집행기능곤란에 대한 어머니와 담임교사 평정에 따른 잠재집단 탐색 및 학교적응, 학업수행 차이 검증 (Exploring the Latent Classes in Student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by Mother and Teacher: Multivariate Analysis across School Adap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38-4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학년 시기의 집행기능곤란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평정 결과에 따른 최적의 잠재집단을 찾고, 확인된 잠재집단에 따라 초등학교 2학년 시기의 학교적응, 학업수행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한국아동패널 8차년도(2015년도), 9차년도(2016년도) 자료의 1,012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다변량분산분석을 활용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초등학교 1학년의 집행기능곤란에 대한 어머니와 담임교사의 평정 결과에 따른 잠재집단은 '일치되게 집행기능곤란 수준이 가장 낮은 집단', '어머니보다 담임교사가 집행기능곤란 수준을 더 높게 지각한 집단', '담임교사보다 어머니가 집행기능곤란 수준을 더 높게 지각한 집단'의 세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잠재집단의 특징은 초등학교 1학년의 집행기능곤란에 대한 어머니와 담임교사 간 평정 일치도가 높은 집단과 평정 일치도가 낮은 집단이 공존한다는 것이다. 초등학교 1학년 시기에 확인된 세 유형의 잠재집단에 따라 초등학교 2학년 시기의 학교적응, 학업수행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학교적응의 4개 하위요인 중 3개, 학업수행 하위 요인 모두에서 '일치되게 집행기능곤란 수준이 가장 낮은 집단'이 '담임교사보다 어머니가 집행기능곤란 수준을 더 높게 지각한 집단'과 '어머니보다 담임교사가 집행기능곤란 수준을 더 높게 지각한 집단'보다, '담임교사보다 어머니가 집행기능곤란 수준을 더 높게 지각한 집단'이 '어머니보다 담임교사가 집행기능곤란 수준을 더 높게 지각한 집단'보다 평균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및 학업수행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집행기능곤란 수준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부모와 담임교사의 중다 평정 결과에 기초한 프로파일적 접근이 필요하며, 이에 기초한 교육적 처치를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진하-일광 지역의 해안 단구 (Marine Terrace of the Jinha-Ilgwang Area, Southeast Korea)

  • 최성자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3호
    • /
    • pp.233-242
    • /
    • 2003
  • 우리나라 남동해안의 최남단 지역에서는 지금까지 안정된 지괴로 알려져 왔으며 4기단층이나 지진 발생 보고가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로 시행된 디지털(digital) 기법에 의한 단구조사와 단열조사를 통하여 이 지역에 대한 제 4기 지구조운동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지역의 기반암은 백악기의 퇴적암류와 화산암류 및 불국사 화강암류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역에는 매우 협소하고 간헐적인 분포를 하는 해안단구가 발달하고 있으며 타지역과는 달리 단구 퇴적물이 거의 발달하지 않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 지역에는 최하위의 홀로세 단구를 포함하여 4개의 단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최하위의 것부터 1, 2, 3, 4 단구로 분류된다. 1단구의 구정선은 1m 이하, 2단구의 구정선은 8∼11m, 3단구의 구정선은 17∼22m, 4단구의 구정선은 약 44m이다. 2단구의 형성시기는 MIS 5a이고 이 곳의 3단구 형성시기는 MIS 5c이다. 단구 형성시기와 융기된 단구 고도간의 상관관계 그래프와 고해 수면 변동곡선과 단구고도간의 대비에 의하여 산출된 융기율은 0.19m/ky이다. 이와 같은 값은 판 경계부보다 활동성이 적은 판 내부에서 나타나는 값으로 우리나라의 남동해안의 지각은 대체로 안정된 지괴로 판명된다. 그러나, 각 단구의 구정선 고도는 매우 미약하지만 점이적으로 남쪽으로 가면서 감소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어 우리나라의 남동해안의 남단부에는 침강운동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시뮬레이션 기반 5G 통신 환경에서 성능향상을 위한 스몰셀 기술 적용 분석 (Analysis of Small Cell Technology Application for Performance Improvement in Simulation-based 5G Communication Environment)

  • 김윤환;김태연;이대영;배상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9권2호
    • /
    • pp.16-21
    • /
    • 2020
  • 최근 스마트 폰의 보급과 컨텐츠 이용에 있어서 주요 트래픽이 IoT 데이터 및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로 옮겨감에 따라 모바일 트래픽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중이다. 기존 LTE 시스템에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5세대 이동통신기술(5G)은 4G LTE 시스템 대비 1000배의 데이터 트래픽 수용률, 연결 디바이스의 수용, 저지연, 고 에너지 효율, 비용을 충족하는 기술이나 높은 주파수 영역의 사용에 따른 경로손실이 매우 높아 기존 4G LTE 시스템에 비하여 서비스 제공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스몰셀이나 단말간통신(D2D)등 여러 가지 기술들이 연구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5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성능향상을 위한 기술로 스몰셀 기술을 소개한다. 이후 스몰셀 기술 적용 분석과 매크로 통신과 스몰셀 통신에 대한 결정, 전력제어에 대한 제안하는 알고리즘 적용의 결과의 비교로 성능을 분석한다. 분석결과를 통하여 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몰셀 기술을 이용하면 음영지역 개선 및 밀리미터파의 경로손실 문제를 크게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성인 장애인의 자기효능감 변화 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도, 대인관계역량 차이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Trajectories in Self-Efficacy with their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Adults with Disabilities)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73-28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만 25세 이상 성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4년 동안의 자기효능감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삶의 만족도, 대인관계역량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의 1차(2016년)~4차(2019년) 조사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ing)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성인장애인의 자기효능감 변화 궤적에 따라 3개 잠재계층(상수준 증가형, 중수준 증가형, 하수준 무변화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3개 잠재계층에 따라 삶의 만족도 수준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수준 증가형 집단, 중수준 증가형 집단, 하수준 무변화형 집단 순으로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3개 잠재계층에 따라 4년 동안의 대인관계역량 변화 패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수준 증가형 집단, 중수준 증가형 집단은 대인관계역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하수준 무변화형 집단은 대인관계역량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킴으로써 성인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대인관계역량을 향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mode 식 초음파기를 이용한 한국인의 피하지방 측정 (Measurement of Subcutaneous Fat Thickness of the Korean by A-Mode Type Ultrasonic Instrument)

  • 황은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4호
    • /
    • pp.308-313
    • /
    • 1991
  • 초음파기(A-mode type, TATT, TH-500, Datoherutsu Co, Japan)를 이용하여 20-39세의 한국 사람들의 삼두박근, 견갑골하부, 장골위, 대퇴부의 피하지방을 측정하고, 이 피하지방 두께와 표준체중, 상대체중(relative body weight, RBW), body mass index(BMI), $R\ddot{o}hrer$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았다. 남성에서는 장골위의 피하지방 두께가 $9.04{\sim}9.51mm$로 가장 크고, 견갑골 아래가 $9.04{\sim}9.51mm$, 대퇴부가 $6.48{\sim}7.04mm$, 삼두박근이 3.48${\sim}$3.69mm이었다. 피하지방 두께와 여러 신체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삼두박근의 피하지방 두께와 BMI(r=0.618), $R\ddot{o}hrer$지수(r= 0.622)가, 장골위의 피하지방 두께와 체중(r=0.551). RBW(r=0.457), BMI(.= 0.478), $R\ddot{o}hrer$ 지수(r=0.418), 견갑골 하부의 피하지방 두께(r=0.433)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여성에서는 대퇴부의 피하지방 두께가 $11.85{\sim}12.15mm$로 가장 크고 장골위가 $8.79{\sim}9.87mm$9.87mm, 견갑골하부 $6.21{\sim}6.91mm$, 삼두박근이 $4.80{\sim}4.93mm$이며, 대퇴부의 피하지방 두께가 RBW(r=0.339), BMI(r=0.347), $R\ddot{o}hrer$ 지수(r=0.330)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남성의 경우 삼두박근의 피하지방 두께가 RBW, BMI, $R\ddot{o}hrer$지수와 상관관계가 있었고, 장골위의 피하지방 두께는 RBW, BMI, $R\ddot{o}hrer$ 지수외에 체중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으므로 초음파를 이용한 피하지방측정은, 남성은 장골위가 가장 유용함을 알 수 있었고, 여성의 경우는 대퇴부의 피하지방 두께가 RBW, BMI, $R\ddot{o}hrer$ 지수와 상관관계가 있었으므로 대퇴부의 피하지방 측정이 가장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비만 측정에서 초음파 장치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으므로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