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C Skill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6초

캡스톤디자인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 21C 핵심역량(4C Skills 및 문제해결능력) 함양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pstone Design Competency Program - Focusing on 21C Core Competencies(4C Skills & Problem Solving Ability) -)

  • 한수민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20-26
    • /
    • 2023
  • In this study, as a competency strengthening program to support learner-centered education, we developed the 'Capstone-design competency Program' for the purpose of cultivating the 4C skills and problem-solving ability required as core competencies of the 21st century. The program was based on the project method, and strategies were derived and materialized for each step through core competency analysis. Then, the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it was confirmed that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cultivating the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s showed results such as specific reflection on core competencies, changes in perspective, and action plans, so that the possibility of actual application was high.

가상현실 기반 중재가 지적장애학생의 일상생활 기술 및 수업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R based Intervention on Daily Living Skills and Class Attitud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이태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55-16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기반 중재가 지적장애 학생의 일상생활 기술과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중학교 2-3학년 지적장애학생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중재방법에 따라 세 집단으로 배치하였다. A집단은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중재, B집단은 직접 체험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중재, C집단은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직접 체험 활동을 결합한 중재에 참여하였다. 중재는 7월 4주부터 8월 3주까지 4주 동안 진행되었고, 일주일에 4회씩 총 16회기의 중재가 이루어졌다. 평가는 사전 평가와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고, 사후 분석으로는 scheffe'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C집단이 A집단과 B집단보다 일상생활 기술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고, C집단은 B집단보다 수업태도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체험활동을 결합한 중재가 일상생활 기술 및 수업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에 하나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등학생의 프로토콜 분석을 통한 과학 탐구능력과 개념 중심의 탐구능력 대범주별 과학 문제 해결 특성 (Inquiry Problem Solving Characteristics among Categories with Science Process Skills and Concepts by High School Student's Protocol Analysis)

  • 이항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55-366
    • /
    • 1999
  • 자료의 해석과 분석 능력의 범주에 속하는 과학 탐구 문제의 학습에는 관련 탐구능력 보다 과학 개념을, 탐구의 설계 및 수행 능력의 범주에 속하는 과학 탐구 문제의 학습에는 관련 탐구능력과 과학 개념을 강조하는 학습법의 적용이 유효할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 탐구 문제를 해결해 가는 사고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면 현재와 같이 성공자에게는 1점, 실패자에게는 0점을 부여하는 이분법적(dichotomous)인 평가 방법으로는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이 동일한데도 불구하고 성공자와 실패자를 완전하게 별별하고 있지 못해 과학 교육 활동의 전반적인 정치(replacement) 활동에 문제가 내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와 같이 과학 탐구 문제 해결 사고 과정 분석에 의한 제 1유형에는 1점, 제 2유형에는 0.8점, 제 3유형에는 0.6점, 제 4유형에는 0.4점, 제 5유형에는 0.2점, 제 6형에는 0점을 부여하는 대안적 다단계 평가 방법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actors Affecting Self-management Behavior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 a Border Area of Southwest China

  • Yuan, Yingmei;Jun, Sangeun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4권4호
    • /
    • pp.219-226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elf-management behavior (SMB)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2DM) in a border area of southwest China.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T2DM patients in Dali, China. The participants filled in the questionnaires including demographic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psychosocial status, resources of DM knowledge, knowledge of DM care, competency in DM care skills, the Chinese Diabetes Management Self-Efficacy Scale (C-DMSES), and the Chines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C-SDSCA). All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version 26.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examined associations between predictors and SMB. Results: A total of 470 valid questionnaires have been collected. The score for overall SMB was 50.71± 11.99; 19.6% of patients were at a good level, 48.3% were moderate, and 32.1% were poor.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d SMB included self-efficacy (β= 0.37; p< .001), competency in DM care skills (β= 0.22; p< .001) and lacked in the treatment confidence (β= -0.09; p= .023). Conclusion: The level of self-management among T2DM patients in this area was medium-low state. For future studies, our findings suggest that self-efficacy, competency in DM care skills, and treatment confidence should be considered essential factors in improving the self-management behavior of T2DM patients in the border area of southwest China.

4C 인재육성을 위한 코딩 강사 양성과정 교육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for a Coding Instructor Training Program to Foster 4C Talent)

  • 임동균;이지은;문도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777-782
    • /
    • 2020
  • 컴퓨팅 사고와 프로그래밍 능력을 갖춘 인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코딩 교육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이에 전국적으로 코딩교육 강사양성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으나 강사양성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 및 내용을 분석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4C 인재육성을 위한 코딩 강사 양성과정'의 설계, 개발 과정과 운영 전략을 제시하였다. 코딩 강사 교육과정은 입문 과정과 코딩 실무과정으로 구성하여, 입문 과정에서 코딩 강사에게 요구되는 기본 소양을 갖춘 후 실무과정으로 넘어가 유치부터 고등과정을 교육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소개한 개발사례는 앞으로 코딩 강사 양성과정을 기획·운영하는 교육 주체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 한다.

교수들의 도서관 이용과 서지교육 인식도 (Library Use Patterns among Faculty Members & Awareness Toward Bibliographic Education)

  • 강혜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9-8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easure library use behaviors among faculty members and faculty awarenesses toward bibliographic education for undergraduates. Questionnaire listings offered by C university library were sent 200 faculties. 56% respond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circledS1$They used library one more times per a month and during vocations & prefered to use scholarly journals. $\circledS2$They wanted 'subscription for scholarly journals,' 'inter-library loan,' but they seldom experienced in inter-library loan. $\circledS3$They gained the library skills in experiences and they had the average level of library skills. They used secondary sources and recognized traditional reference services. $\circledS5$They intended to bibliographic education for the faculty and the wanted group of 10 less and education for the new faculty members. $\circledS6$They though the students should be able to learn needed library skills. but wasn't necessary. $\circledS7$They intended to intergrate bibliographic education and cooperate with librarians. But they hadn't been familiar with librarians and encouraged students to use library.

  • PDF

사회극화놀이에서 교사개입이 유아의 사회극화놀이 수준, 사회적 기술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eacher Intervention in Sociodramatic Play on Social Play Levels, Social Skills and Language Abilities of Young Children)

  • 이윤경;김여경
    • 아동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9-274
    • /
    • 2000
  • The subjects of this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er intervention in sociodramatic plays were 54 five-year-old children from 2 public kindergartens in C city. Socioeconomic stasus and, aside from teacher interventions, educational procedures were the same for both the experimental group(28 subjects) and the control (26 subjects) groups in both schools. Instruments were the Social Play Rating Scale(Smilansky & Shefatya, 1990), Social Situations Measure(McGinnis & Goldstein, 1990), and Language Ability Test(Chang, 1981). Procedures included pretest, 14 weeks treatments and post-test. Data were analyzed by t-test.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play level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 including differences in such general social skills as emotional control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language ability, including such subordinates as language understanding and expressive abilities.

  • PDF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linical Competency and Confidence in Essential Nursing Skills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 김연실;이윤정;박정애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9권1호
    • /
    • pp.78-85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July to August, 2022. The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266 students in the 3rd and 4th grades located in A and C citie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24.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score for clinical competency was 4.05±0.59 (out of 5), confidence in essential nursing skill was 3.52±0.64 (out of 5), and nursing professionalism was 4.11±0.52 (out of 5).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competency and confidence in essential nursing skills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Th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clinical competency and grade, which explained 30% of nursing professionalism.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al methods to improve nursing professionalism.

온라인 PBL이 학습자의 4C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about the Effects of Online PBL on Students' 4C Competencies)

  • 임다미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3-22
    • /
    • 2023
  • 본 논문의 목적은 온라인 PBL(Problem Based Learning)이 학습자의 4C 역량과 학습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온라인 PBL이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예비교사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들은 온라인 PBL 경험에 매우 만족했으며, 학습과 예비교사로서의 자신에게 매우 도움이 된다고 인식했다. 셋째, 학습자들은 실시간 화상회의 시스템과 메신저가 온라인 PBL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 PBL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중요요인에 대해 본 연구 참여자들은 의사소통과 성실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리더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팀원 간의 개인적 친밀도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학습자들은 온라인 PBL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피드백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함께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핵심역량(4C) 증진을 위한 액티브러닝과 퍼실리테이션 융합 교육프로그램 연구 (Study on Active Learning & Facilitation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Core Competency (4C))

  • 정유경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8권1호
    • /
    • pp.67-73
    • /
    • 2019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직업교육에 대응하기 위하여 핵심역량 중 직무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액티브러닝과 퍼실리테이션(Active Learning&Facilitation) 융합 교육프로그램을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제해결 능력'을 키워주는 Active Learning의 장점과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Facilitation의 장점을 융합하여 앱 디자인 교과목에 적용하고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를 통해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모바일 환경에 익숙한 학생의 특성을 반영하여 앱 콘텐츠를 기획하고,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UI 디자인을 수행하여 S/W분야의 스킬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든 수행과정은 팀 프로젝트(PBL)로 운영되었다. 연구결과 액티브러닝과 퍼실리테이션 융합 교육프로그램은 전문대학교육이 요구하는 foundation skills, competencies을 향상할 수 있었다. 더불어 산업현장과 대학 간 교육격차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