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3 kD protein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32초

Nutrition of Range Goats in a Shrubland of Western India

  • Bhatta, Raghavendra;Shinde, A.K.;Sankhyan, S.K.;Verma, D.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2호
    • /
    • pp.1719-1724
    • /
    • 2002
  • An investigation was made to evaluate the native range of western India in terms of nutrient supply during different physiological stages in goats. One hundred female and 5 male Kutchi adult goats were grazed on a 35 ha plot of native range. They were maintained on sole grazing. Four experiments, one in a defined physiological stage was carried out. Stage I, when maximum number of females were bred; stage II, when bucks were used for breeding purpose; stage III, 3-months old (weaner) kids were allowed to graze on ranges and stage IV, when the goats were in early stage of lactation. During oestrous period, diet contained 15.2% crude protein (CP), 54.0% neutral detergent fibre (NDF), 31.5% acid detergent fibre (ADF) and 12.6% acid detergent lignin (ADL). Digestibility coefficient of dry matter (DM), CP, NDF and ADF was 0.586,0.531, 0.431 and 0.239, respectively. DM, digestible crude protein (DCP) and metabolizable energy (ME) intakes were $82.7,\;6.71g\;kg^{-1}\;W^{0.75}$ and $0.99MJ\;kg^{-1}\;W^{0.75}$. Diet of buck was constituted by $230g\;kg^{-1}$ DM of grasses and forb and $770g\;kg^{-1}$ DM of tree foliage. CP, NDF, ADF and ADL contents of the diet were 13.6, 57.8, 43.5 and 20.0%, respectively. DM, DCP and ME intakes were $57.9,\;4.13g\;kg^{-1}\;W^{0.75}$ and $0.82MJ\;kg^{-1}\;W^{0.75}$. Digestibility coefficient of CP, NDF and ADF were 0.496, 0.432 and 0.346, respectively. Diet of kids was constituted by Prosopis cineraria ($900g\;kg^{-1}DM$) and Zizyphus nummularia ($100g\;kg^{-1}DM$) leaves. Digestibility of CP, NDF and ADF were 0.456, 0.415 and 0.201, respectively. DM, DCP and ME intakes were $85.8,\;6.44g\;kg^{-1}\;W^{0.75}$ and $1.22MJ\;kg^{-1}\;W^{0.75}$. Lactation phase of goat fell between October-December and tree foliage formed the major portion of the diet. Diet of lactating goat contained only 6.8% CP and 16.5% ADL. Digestibility of DM, CP, NDF and ADF was 0.567, 0.221, 0.307 and 0.233, respectively. DM, DCP and ME intakes were $108.2,\;1.62g\;kg^{-1}\;W^{0.75}$ and $1.50MJ\;kg^{-1}\;W^{0.75}$, respectively. Present study establishes that goats on semiarid range with sufficient number of fodder trees were able to meet the nutrient requirement of ewes during oestrous and bucks during breeding season. However, during lactation and active growth phase, only DM requirement is met. Thus, it is recommended to supplement concentrate mixture to goats grazing on range during lactation and growth phase.

곰보버섯의 성분에 관한 연구 (On the Composition of Morchella esculenta Fruit Body)

  • 차월석;이희덕;김종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2-90
    • /
    • 2004
  • 곰보버섯을 약용과 식용으로 이용하고자 일반성분, 무기질, 총아미노산, 유리 아미노산, 비타민 등을 분석 검토한 결과 조지방이 3.8 g%, 탄수화물이 43.5 g%, 조단백질이 29.7 g%이었다. 무기물은 K가 3558.0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있고, Ca, Mg, Fe, Na, Zn의 순으로 함유되었다. 총 아미노산은 glutamic arid가 1,433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있고, leucine, alanine, arginine, valine, threonine등의 순으로 23종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필수아미노산은 3510mgmg% 함유되어 있다.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522 $\mu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asparaginine, arginine등의 순이며, 총 함유량은 2,397 $\mug%$이고, 25종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곰보버섯의 맛에 영향을 미치리아 생각되어 진다. 비타민의 경우 vitamin A가 2.23$\mug%$, vitamin $B_1$은 0.13 mg%, vitamin $B_2$는 0.07 mg%, vitamin $B_6$는 0.27 mg%, vitamin C는 0.17 mg%, vitamin $D_311$는 52.27$\mug%$, vitamin E는 5.26 mg%, vitamin$K_1$, 은 3.23 $\mug%$정도 함유하고 있었다. 특히 vitamin C와 vitamin E가 함유되어 있어 노화방지에 좋으리라 생각된다.

영아 요로 감염에서 농뇨의 지속기간에 따른 임상적 비교 (A Comparison of Clinical Finding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Pyuria in Infants with Urinary Tract Infections)

  • 이정은;이승우;박소현;김종현;고대균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7권1호
    • /
    • pp.23-29
    • /
    • 2010
  • 목 적:요로감염은 1세 미만의 영아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며, 신장의 장기 예후를 위해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 농뇨는 요로 감염의 초기진단에 있어 임상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항균제 치료 후 농뇨의 지속기간과 관련된 요인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의 입원 환자 중 처음 요로 감염을 진단받은 1개월부터 12개월 미만의 영아 3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치료 후 농뇨가 3일 미만에 소실되는 군(1군)과, 3일 이상 지속되는 군(2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 과:성별 및 평균 연령, 총 발열기간, 소변 배양으로부터 동정된 균에 있어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반면 입원 당시 측정한 말초 혈액 백혈구 수($14,360.86{\pm}5,526.16cells/mm^3$ vs $11,822.55{\pm}5,687.26cells/mm^3$, P <0.001)와 적혈구 침강속도($32.81{\pm}19.34mm/hr$ vs $23.74{\pm}20.43mm/hr$, P <0.001), C-반응단백의 상승 정도($6.84{\pm}5.68mg/dL$ vs $3.78{\pm}3.99mg/dL$, P <0.001)는 2군에서 더 의미있게 높았다. 또한 수신증과 중증 방광 요관 역류도 2군에서 더 자주 동반되었다. 결 론 : 농뇨가 더 오래 지속되는 소아 요로 감염 환자는 중증의 요로 감염증을 시사하며, 중증의 방광 요관 역류를 자주 동반하므로 집중적인 치료와 배뇨 중 방광 요도 조영술을 포함한 적극적인 영상 검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고혈압 전단계 및 고혈압 환자에서 의학영양치료와 병행한 생리활성 펩티드 함유 유산균 발효유 섭취가 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Milk Containing Active Peptides(IPP, VPP) in Accordance with Medical Nutrition Therapy in Pre- and Hypertension Subjects)

  • 김지영;김윤영;김혜랑;윤숭섭;김완식;예현수;정진영;이인회;조여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18-926
    • /
    • 2008
  • 본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수축기/이완기 혈압이 120/80 mmHg이상인 고혈압 전단계 및 본태성 고혈압 환자 43명 (대조군 21명, 시험군 23명)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의학 영양 치료와 병행하여 생리활성 펩타이드가 함유된 유산균 발효유 섭취가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대조군이 $47.8{\pm}12.9$세, 시험군은 $49.9{\pm}11.9$세였으며, 연구 시작 시 혈압은 각 군에서 수축기/이완기 혈압이 $135.4{\pm}8.8/85.0{\pm}6.9$, $135.7{\pm}7.4/88.0{\pm}5.5\;mmHg$로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2. 식이 섭취 조사 결과, 연구 12주 후 대조군, 시험군 모두 열량, 단백질, 지질, 콜레스테롤, 나트륨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칼슘과 칼륨의 섭취는 시험군에서만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다른 영양소의 섭취는 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연구 기간 동안 수축기 혈압은 대조군과 시험군 모두 연구 4주 후부터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연구 12주까지 두 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완기 혈압은 시험군에서만 연구 4주 후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고혈압 전단계 및 고혈압 환자에게 12주간의 의학 영양 치료와 함께 유산균 발효유의 섭취는 총열량, 지방, 콜레스테롤, 나트륨의 섭취를 감소시켰고 칼슘 및 칼륨의 섭취를 증가시켰으며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따라서 생리활성 펩타이드가 함유된 유산균 발효유를 의학영양치료와 병행하여 섭취할 경우, 수축기 혈압감소뿐만 아니라 이완기 혈압 감소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stimation of methane emissions from local and crossbreed beef cattle in Daklak province of Vietnam

  • Ramirez-Restrepo, Carlos Alberto;Van Tien, Dung;Le Duc, Ngoan;Herrero, Mario;Le Dinh, Phung;Van, Dung Dinh;Le Thi Hoa, Sen;Chi, Cuong Vu;Solano-Patino, Cesar;Lerner, Amy M.;Searchinger, Timothy 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1054-1060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was aimed at evaluating effects of cattle breed resources and alternative mixed-feeding practices on meat productivity and emission intensities from household farming systems (HFS) in Daklak Province, Vietnam. Methods: Records from Local $Yellow{\time}Red$ Sindhi (Bos indicus; Lai Sind) and 1/2 Limousin, 1/2 Drought Master, and 1/2 Red Angus cattle during the growth (0 to 21 months) and fattening (22 to 25 months) periods were used to better understand variations on meat productivity and enteric methane emissions. Parameters were determined by the ruminant model. Four scenarios were developed: (HFS1) grazing from birth to slaughter on native grasses for approximately 10 h plus 1.5 kg dry matter/d (0.8% live weight [LW]) of a mixture of guinea grass (19%), cassava (43%) powder, cotton (23%) seed, and rice (15%) straw; (HFS2) growth period fed with elephant grass (1% of LW) plus supplementation (1.5% of LW) of rice bran (36%), maize (33%), and cassava (31%) meals; and HFS3 and HFS4 computed elephant grass, but concentrate supplementation reaching 2% and 1% of LW, respectively. Results: Results show that compared to HFS1, emissions ($72.3{\pm}0.96kg\;CH_4/animal/life$; least squares $means{\pm}standard$ error of the mean) were 15%, 6%, and 23% lower (p<0.01) for the HFS2, HFS3, and HFS4, respectively. The predicted methane efficiencies ($CO_2eq$) per kg of LW at slaughter ($4.3{\pm}0.15$), carcass weight ($8.8{\pm}0.25kg$) and kg of edible protein ($44.1{\pm}1.29$) were also lower (p<0.05) in the HFS4. In particular, irrespective of the HSF, feed supply and ratio changes had a more positive impact on emission intensities when crossbred 1/2 Red Angus cattle were fed than in their crossbred counterparts. Conclusion: Modest improvements on feeding practices and integrated modelling frameworks may offer potential trade-off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Vietnam.

체형에 따른 일부 초등학교 아동의 영양소 섭취상태 및 식행동에 관한 조사 (A Study on Nutrient Intake Status and Dietary Behavior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by Body Shape)

  • 한지형;김경업;김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385-1393
    • /
    • 2006
  • 본 연구는 학동기 아동의 정상적인 성장과 건강증진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경남 사천시에 위치한 D 초등학교 $4\sim6$학년 98명을 대상으로 저체중군, 정상체중군, 과체중군으로 분류하여 영양섭취 상태 및 식행동을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열량 및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은 체중이 높은 군일수록 많았다. 단백질의 섭취는 남녀아동 모두 권장섭취량의 150% 이상이었고 특히 남자아동 과체중군은 216.0%를 나타내었다. 칼슘, 철분, 비타민 A및 비타민 C의 섭취는 전군에 걸쳐 권장섭취량에 못 미치는 수준이었고 비타민 C의 섭취는 남자아동 저체중군인 경우 권장섭취랑의 43.2%에 불과하였다. 남녀아동 전군에 걸쳐 열량 및 단백질의 섭취 비율이 가장 높은 식품군은 곡류 및 전분류군이었는데, 여자아동 과체중군이 각각 63.7%, 55.9%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지질 섭취에 대한 각 식품군이 차지하는 비율은 성별 및 체형별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볼 수 있었는데 육류, 생선, 달걀 및 콩류로부터의 섭취 비율이 가장 높은 군은 남자아동 과체중군(40.6%)이었고 우유 및 유제품으로부터의 섭취 비율이 가장 높은 군은 여자아동 저 체중군(42.6%)으로 나타났다. 칼슘의 섭취 비율이 가장 높은 식품군은 우유 및 유제품군으로 나틴났는데 성별에 관계없이 체중이 높은 군일수록 섭취 비율이 낮았으며 특히 여자 아동인 경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철분 섭취에 대해 식품군이 차지하는 비율은 곡류 및 전분류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남자아동 과체중군이 43.8%로 제익 높았고 여자아동 정상체중군이 31.9%로 제일 낮았다. 식행동에 있어서 식사량은 남녀아동 전군에 걸쳐 '보통이다'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는데 여자아동 정상체중군이 82.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식사속도 역시 '보통이다'가 가장 많았고, '느리다'는 남자아동 정상체중군(42.9%), '빠르다'는 남자아동 과체중군(28.6%)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아침식사의 결식률은 체중이 높은 군일수록 높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단백질의 과잉 섭취와 칼슘, 철분, 비타민 A및 비타민 C의 부족한 섭취 실태 그리고 철분의 흡수율이 낮은 곡류 및 전분류로부터의 철분의 섭취 비율이 가장 높았고 과체중군에서 아침결식률이 가장 높았던 점 등은 문제점으로 인식되며 특히 과체중군 및 저체중군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과체중군에 있어서 단백질 섭취량을 줄이고 저체중군에서 미량 영양소의 철분, 칼슘, 비타민 A 및 비타민 C 등의 섭취량을 대폭 늘이는 균형잡힌 식생활을 위한 영양교육이 매우 절실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형 Koumiss제조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perties of Korean-type Koumiss)

  • 이종익;송광영;천정환;현지연;서건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67-375
    • /
    • 2011
  • 본 연구는 효모 Kuyveromyces fragilis와 유산균 Streptococcus thermophiles, Lactobacillus bulgaricus의 starter를 유청 분말(대조구: A, 2%: B, 4%: C, 6%: D, 8%: E)이 첨가된 탈지분유에 혼합 접종하여 한국형 Koumiss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의 지방, 단백질, 유당, 적정산도, pH, 생균수, 알코올 함량, 휘발성 지방산, 휘발성 유리아미노산 및 무기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유청 분말의 농도에 따라 지방 함량은 대조구 0.74%, B는 1.14%, C는 1.57%, D는 2.00%, E는 2.30%로 증가하였고, 단백질함량은 대조구 2.95%, B는 3.66%, C는 3.87%, D는 4.22%, E는 4.39%로 증가했으며, 유당 함량은 대조구 3.10%, B는 4.74%, C는 5.78%, D는 6.59%, E는 7.43%로 증가하였다. 농도에 따라 적정산도 및 pH도 점진적인 증가를 보였다. 유산균의 경우 유청 분말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는데, 대조구는 $2.4{\times}10^9\;cfu/m{\ell}$, B는 $2.7{\times}10^9\;cfu/m{\ell}$, C는 $3.1{\times}10^9\;cfu/m{\ell}$, D는 $3.4{\times}10^9\;cfu/m{\ell}$, E는 $3.8{\times}10^9\;cfu/m{\ell}$로 검출 되었고, 효모수는 유청 분말의 농도에 따라 대조구는 $6.1{\times}10^7\;cfu/m{\ell}$, B는 $8.6{\times}10^7\;cfu/m{\ell}$, C는 $1.08{\times}10^8\;cfu/m{\ell}$, D는 $1.27{\times}10^8\;cfu/m{\ell}$, E는 $1.65{\times}10^8\;cfu/m{\ell}$로 역시 증가하였다. 알코올 함량은 대조구의 평균이 0.863%, B의 평균은 0.963%, C의 평균은 0.890%, D의 평균은 1.290%, E의 평균은 1.313%로 유청 분말의 농도가 높을수록 알코올 함량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E에서 알코올 함량 평균 1.313%는 카자흐스탄 Koumiss의 알코올 함량 평균 1.08%보다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은 모두 16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Glycine은 대조구에서 0.38 mg/$m{\ell}$로 E에서는 0.64 mg/$m{\ell}$로 유청 분말 농도에 따라 높아졌으며, histidine도 대조구가 0.42 mg/$m{\ell}$에서 E는 0.65 mg/$m{\ell}$로 높아졌다. 반면에 glutamic acid는 대조구가 4.13 mg/$m{\ell}$에서 E가 6.96 mg/$m{\ell}$로 함량이 높아졌으며, proline도 대조구가 1.71 mg/$m{\ell}$에서 E가 2.80 mg/$m{\ell}$로 높아졌다. Aspartic acid, leucine도 대조구보다 E가 더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휘발성 유리지방산의 경우에서도 대조구와 B, C, D, E의 휘발성 유리지방산의 함량이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고, 초산은 대조구의 함량이 $12,661{\mu}g/100 m{\ell}$이었고, E에서는 $37,140{\mu}g/100m{\ell}$로 증가하였다. 낙산은 대조구에서는 측정되지 않았고, E에서 $1,950{\mu}g/100m{\ell}$로 측정되었으며, 가프른산에서는 대조구가 $177{\mu}g/100m{\ell}$이었고, E에서는 $812{\mu}/100m{\ell}$로 함량이 증가하였다. 발레린산은 대조구에서 $22{\mu}g/100m{\ell}$로 미량 측정되었으나, 다른 시험구에서는 측정되지 않았다. 무기물 Ca, P, Mg, Na, K의 각각의 성분은 Ca의 경우 대조구가 1,042.38 ppm에서 E는 1,535.12 ppm으로, P의 경우 대조구가 863.61 ppm에서 E는 1,336.71 ppm으로, Mg의 경우 대조구가 101.28 ppm에서 E는 162.44 ppm으로, Na의 경우 대조구가 447.19 ppm에서 E는 1,001.57 ppm으로, K의 경우 대조구가 1,266.39 ppm에서 E는 2,613.93 ppm으로 유청 분말의 함량이 높을수록 무기물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는 유청 분말의 첨가가 많을수록 전반적으로 점수가 높음을 보여주었다. 풍미는 대조구가 6.3점으로 가장 낮았고, E는 8.2점으로 가장 높았다. 조직은 유청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가 4.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외관은 시험구들 사이에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인 남자의 흡연상태에 따른 영양섭취, 혈압, 혈액 성상 및 지질패턴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Nutrient Intakes,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 Profile of Korean Adult Men According to Smoking Status)

  • 최미경;조혜경;승정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64-17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흡연율이 높은 성인 남자에 있어 흡연상태에 따라 비흡연군(47명), 흡연군(58명), 흡연경험군(44명)으로 나눠 영양섭취와 혈압, 혈액 성상 및 지질패턴을 비교분석하였다. 전체대상자의 평균 연령,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각각 54.7세, 165.8 cm, 67.3 kg, $24.5\;kg/m^2$이었으며, 흡연 상태에 따른 세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일 평균 에너지와 단백질 섭취량은 각각 1740.9 kcal와 59.69 g이었으며, 흡연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엽산 섭취량은 비흡연군 $324.2{\mu}g$, 흡연군 $235.1{\mu}g$, 흡연경험군 $272.7{\mu}g$으로 흡연군이 유의하게 낮았으나,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비흡연군 175.6mg, 흡연군 232.5 mg, 흡연경험군 154.3 mg으로 흡연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1일 총 식품 섭취량은 비흡연군 1250.0 g, 흡연군 1180.1 g, 흡연경험군 1237.5 g으로 세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버섯류의 섭취량은 비흡연군 1.5g, 흡연군 0.4g, 흡연경험군 4.8 g으로 흡연군이 유의하게 낮은 반면, 난류의 섭취량은 세 군 각각 8.3 g, 17.8 g, 4.4 g으로 흡연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전체대상자의 적혈구수와 혈청 GOT, GPT는 각각 $4598.2\times1000/mm^2$, 27.3 U/L, 27.3 U/L이었으며 비흡연군, 흡연군, 흡연경험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백혈구수, 헤마토크릿, 헤모글로빈 농도는 흡연군이 각각 $6727.7/mm^3,\;45.9\%$, 14.7g/dL로 비흡연군($4921.5/mm^3,\;43.4\%$, 13.9 g/dL)이나 흡연경험군($5845.4/mm^3,\;44.2\%$, 13.9 g/d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전체대상자의 평균 혈압은 128.3/75.5 mmHg이었으며, 혈청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는 각각 180.2 mg/dL, 160.8 mg/dL, 41.5 mg/dL, 106.5 mg/dL, 3.5로 흡연상태에 따른 세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흡연군의 중성지질 농도는 비흡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엽산 섭취가 낮고 콜레스테롤 섭취가 높았으며, 백혈구수, 헤마토크릿과 헤모글로빈, 중성지질 함량이 높게 나타나 흡연이 일부 영양소의 섭취와 혈액성상에 변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흡연경험자는 비흡연자와 영양소 섭취와 혈액성상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흡연으로 인한 일부 영양소 섭취와 혈액성상의 변화는 금연으로 인해 비흡연 상태로 회복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금연 교육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며, 흡연으로 인한 영양섭취의 변화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 할 수 있는 직접적이고 세부적인 연구를 통해 흡연자의 영양 문제점과 그에 따른 식사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서울시내 일부 여고생의 食行動 및 家族環境과 관련된 營養攝取樣相 조사연구 (A Study on Nutrition Intake Related to Food Habit and Family Environmental Factor of High School Girls in Seoul)

  • Kim, Hyong Ran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9-66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utrition intake of high school girls related to food habit, physical status, family environmental factor. The survey of 216 high school girls, aged 15 to 17 years old in Seoul area was conducted from April, 21 to 30, 1986. Food habit and family environmental factor were researched by means of questionnaires and nutrition intake was surveyed. by recording the kinds, amounts and ingredients of foods taken by the girls for two days, and height and weight were also measured during the period.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ean value of height and weight of the girls were 157.6cm and 50.9kg. 2. Number of family members per household was 5.2. Mean value of father's age was 47.1 and mean value of mother's age was 43.6. 44.9% of the girls had fathers who graduated the college, 41.6% of the girls had mothers who graduated the high school and 29.2% of the girls had mothers who had the job. 3. Breakfast missing rate was high, most of the reason for breakfast missing was 'have no time to eat' and time for breakfast was short. 64.4% of the girls had meal irregularly. 4. Mean daily intake of all nutrients except vitamin A and riboflavin was higher th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Mean caloric intake was 89.8% of R.D.A.. Breakfast intake of energy and most of nutrients was less than snack. Mean meal balance score was 47.9 and mean food diversity score was 13.4. 5. Mother's education level was related to intake of protein and calcium and height. Breakfast and lunch missing and number of snack intake were related with nutrition intake.

  • PDF

Escherichia coli 리보핵산 내부분해효소 RNase E의 돌연변이체 선별 및 특성분석 (Identific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of Escherichia coli RNase E Mutants)

  • 신은경;고하영;김영민;주세진;이강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25-330
    • /
    • 2007
  • 대장균의 필수적인 리보핵산 내부분해효소인 RNase E는세포내에서 여러 RNA의 분해와 가공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단백질의 효소활성부위를 포함하는 N-말단부위의 498 아미노산(N-Rne)만의 발현으로도 세포의 생장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RNase E의 특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표현형을 가지는 N-Rne 돌연변이체들을 분리, 동정할 수 있는 효율적인 유전학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얻어진 효소활성부위 돌연변이체들을 표현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S1 도메인의 6번째 아미노산의 치환(I6T)을 가진 변이체는 야생형 N-Rne의 기능을 대체하지 못하였고, Small 도메인의 488번째 아미노산의 치환(R488C)을 가진 변이체는 야생형 N-Rne의 발현양보다 현저히 작게 발현시켜도 세포의 생장을 정상적으로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DNase I 도메 인의 305번째 아미노산의 치환(N305D)을 가진 변이체는 야생형 N-Rne의 발현양보다 과발현시켰을 때만 세포의 생장을 가능하게 하였다. 각각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N-Rne를 한정적으로 과발현시켰을 때의 ColEl-타입 플라스미드의 복제 수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 돌연변이체 N-Rne의 세포생장에 대한 영향은 이 변이체들의 세포 내 효소활성 정도에 기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이 연구에서 개발한 유전학적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표현형을 가진 RNase E 변이체를 선별할 수 있으며, 이 변이체들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RNase E가 RNA의 안정성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세부 도메인의 역할을 규명할 수 있으리라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