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00 mH

검색결과 940건 처리시간 0.025초

TNBS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 대장염모델에서 유산균 발효 마의 항염효과 (Lactic Acid Fermentation of Dioscorea batatas and Its Anti-Inflammatory Effects on TNBS-induced Colits Model)

  • 현미선;허정무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1호
    • /
    • pp.51-55
    • /
    • 2011
  • 마(Dioscorea batatas)의 건강보조제로의 개발을 위해, 3가지 유산균,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plantarum 그리고 Bifidobacterium longum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를 하였다. 발효물은 10% 발효물 수용액으로 pH 측정결과 3.83, 총 유산균수는 $8{\times}10^6$ CFU/mL로 표준화 하였다. TNBS-로 유도된 대장염 마우스 모델에 일반 마(400 mg/kg)와 발효된 마(200, 400mg/kg)를 섭취한 결과, 조직학 및 형태학적 손상정도 그리고 MPO 활성 등이 비발효 마처리군에 비하여 발효된 마를 처리한 군에서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농도별로는 발효된 마가 200 mg/kg으로 처리된 군보다 400 mg/kg으로 처리된 마에서 설변이나 조직의 붕괴 현상을 현저하게 억제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산균 발효 마를 투여한 대장염 마우스에서는 체중감소 및 염증세포의 침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유산균 발효물이 대장염 모델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항염효과를 보였으며, 대장염 치료 및 예방에 매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Penicillium verruculosum의 원형질체 형성과 재생 (Formation and Regeneration of Penicillium verruculosum Protoplasts)

  • Chung, Ki-Chul;Park, Chang-Ryeol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6-162
    • /
    • 1988
  • 섬유소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P. verruculosum F-3 의 세포융합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균사체로부터의 원형질체 형성과 재생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세포벽 분해효소로 유효한 각종시판효소제제중 0.5%(w/v) Novozym 234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PDY 배지로 3$0^{\circ}C$ 20시간 배양한 균사체 400mg을 3$0^{\circ}C$ 1시간 반응시 가장 많은 원형질체가 형성되었다. 원형질체 형성을 위한 최적 삼투압 조절제는 0.7M sorbitol(pH5.6)이었고 원형질체 재생을 위한 최적 삼투압 조절제는 0.6M MgSO$_4$(pH 5.6)이었으며 RCM에서의 재생율은 4.6~27.8%였다. 원형질체를 RLM에 배양시 균사체로 환원되는 형태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 PDF

NaCl 처리에 따른 멀꿀과 다정큼나무의 내염성 평가 (Salt Tolerance Assessment with NaCl of Stauntonia hexaphylla (Thunb.) Decene. and R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Thunb.) Ohashi)

  • 최수민;신현철;김인혜;허근영;김대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5호
    • /
    • pp.617-625
    • /
    • 2013
  • 상록활엽 조경소재 연구개발의 일환으로써,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내한성이 우수한 남부지역 상록활엽수 중에서 멀꿀과 다정큼나무에 대하여 가시적 피해, 엽록소 형광이미지, MDA(malondialdehyde) 농도 분석으로 내염성을 평가하였다.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토양 pH는 감소하고 EC는 증가하였으며 멀꿀이 생육 중은 토양은 다정큼나무가 생육 중인 토양보다 더 강하게 영향을 받았다. 시각적 피해에서 멀꿀은 처리 후 20일에 200mM NaCl 농도 이상에서 고사하였다. 다정큼나무는 비록 400mM NaCl 농도에서 잎의 피해를 나타냈지만 실험기간 동안 모두 생존하였다. 엽록소 형광이미지에서 색상변화는 시각적 피해 결과와 강한 일관성을 보였다.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멀꿀 잎의 적색은 유의성 있게 낮은 형광 값인 청색으로 변화하였고 변화는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옮겨갔다. 다정큼나무의 형광이미지 반응은 NaCl 처리일이 증가할수록 잎의 가장자리에 변화가 나타났으나 여전히 실험기간 동안 적색을 나타냈다. 가장 높은 시각적 피해와 EC를 보였던 처리 후 5일에 멀꿀의 MDA 농도는 $4.56nmol{\cdot}g^{-1}$였다. 다정큼나무의 MDA 농도는 400mM NaCl 농도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들에서 $1.5nmol{\cdot}g^{-1}$ 이하를 나타냈다.

해양 미세조류 Isochrysis galbana Parke 성장에 대한 환경 및 영양 조건의 영향 (Effect of the Environmental and Nutritional Conditions on the Growth of Marine Microalga Isochrysis Galbana Parke)

  • 오유관;박성훈
    • KSBB Journal
    • /
    • 제11권3호
    • /
    • pp.303-310
    • /
    • 1996
  • 해양 미세조류인 Isochrysis galbana Parke의 성장에 미치는 여러 환경요인과 배지요인의 영향을 조사하고 최적 배양조건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 면 다음과 같다. 1. 인공바닷물은 자연바닷물보다 다소 낮은 비성 장속도와 최종 균체농도를 나타내었다. 2.. 자연바닷물이 기초배지로 사용되었을 때 2mM 이상의 충분한 질산염 농도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미량원소와 비타민의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3. 완충용액요로 Tris를 첨가한 경우 pH는 일정 하게 유지가 가능하나 비성장속도와 최종 균체농도 가 감소하였다. 4. 최적 초기 pH와 온도는 각각 pH 8, $20^{\circ}C$ 였다. 5. 벚세기를 400-21001ux의 범위에셔 변화시켰을 때 비성장속도는 18501ux까지 증가하였고 그 이 후로는 일정하였다. 6. 10mL에서 70mL로 Working volume을 증가 시켰을 때 초기 성장속도는 비슷하였으나 최종 균체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7. Working volume이 30mL일 때 최적 교반속 도는 100rpm정도이고, 더 높은 교반속도에서는 최 종 균체농도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8. 플라스크배양의 최적조건에서 최대 비성장속도 와 최종 균체농도는 각각 $O.021hr^{-1}$과 1.1g/L로 얻어졌다.

  • PDF

Benzene Biodegradation Using the Polyurethane Biofilter Immobilized with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T3-c

  • Kwon, Heock-Hoi;Lee, Eun-Young;Cho, Kyung-Suk;Ryu, Hee-Wo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1호
    • /
    • pp.70-76
    • /
    • 2003
  • The benzene removal characteritics of the polyurethane (PU) biofilter immobilized with S. maltophilia T3-c, that could efficiently degrade benzene, was investigated. Maximum capacity to eliminate benzene was maintained at $100-110g{\cdot}m^-3{\cdot}h^-1$ when space velocity (SV) ranged from 100 to $300 h^-1$ -1/, however, it decreased sharply to $55 g{\cdot}m^-3{\cdot}h^-1^$ as SV increased to $400 h^-1$. The critical elimination capacities that guaranteed $90\%$ removal of inlet loading of the PU biofilter were determined to be 70,30, and $15 g{\cdot}m^-3{\cdot}h^-1$ at SV 100,200, and $300 h^-1$,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 of a kinetic analysis of the PU biofilter, maximum benzene elimination velocity ($V_m$) was $125 g{\cdot}m^-3^\;of\;PU{\cdot}h^-1$ and saturation constant ($K_m$) was $0.22 g{\cdot}m^-3^$ of benzene ($65{\mu}{\cdot}I^-1$).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iofilter utilizing S. maltophilia T3-c and polyurethane is a very promising technology for effectively degrading benzene.

Analysis of Changes in Stride Length, Time, and Electromyography Finding Depending on Athletic Crouch Start Method

  • Lee, Kyungill;Hong, Wanki;Kim, Eung Gyu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5-81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kinematic variables and electromyography (EMG) findings that change with varying characteristics of crouch start and feedback provision, and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record improvement in 400 mH. Method: Four short-distance runn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analyzed variables were elapsed time per interval, stride length, and muscle activities in three lower limb muscles. These variables were analyzed by using Kwon3d XP and Noraxon Myoresearch. The participants were subjected to three conditions, including two conditions that relate to the thrusting foot on the rear block and another condition pertinent to feedback provision. Results: In terms of a one-step interval, the elapsed time in condition A was longer than that in condition B, and the one after the feedback was the longest. The stride length of a one-step interval was the longest in condition A. The stride length of a two-step interval was the shortest in condition A. The muscle activity during a one-step interval showed differences in vastus medialis and medial gastrocnemius, with condition A being the highest. Conclusion: When the non-dominant left foot was located at the back, negative results were observed in terms of elapsed time and stride length. Moreover, an imbalance in muscle activity was observ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feet when the left foot was placed at the back.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in elapsed time, stride length, and muscle activity were observed depending on the foot placed on the rear block. In conclusion, w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crouch start in 400 mH, and a specialized program must be suggested.

Klebsiella sp. L-10에 의한 고점성 히아루론산 복합체의 생산 (Production of High Viscous Hyaluronic Acid Complex from Klebsiella sp. L-10)

  • 이향숙;최영준;이종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7권
    • /
    • pp.59-65
    • /
    • 1995
  • 토양으로부터 고점성의 히아루론산 복합체를 생산하는 균주를 분리하여 Klebsiella sp.L-10으로 동정하였다. Klebsiella sp. L-10의 히아루론산 복합체 생산 최적 배지 조성은 yeast ext. 0.1%, tryptone 3%, glucose 5%, $K_2HPO_4$$KH_2PO_4$ 각각 10mM이었고 배양조건은 배지의 초기 pH6.5, 배양온도 $37^{\circ}C$, 배양시간 18시간 이었으며 이 조건에서 배양액 리터당 약 1,400mg의 점성이 매우 강한 히아루론산 복합체가 생산되었다.

  • PDF

10 mH 인덕턴스 표준기 정밀측정용 Maxwell-Wein Bridge 개발 (Development of a Maxwell-Wein Bridge for Precise Measurement of a 10 mH Inductance Standard)

  • 김한준;이래덕;강전홍;유광민;;한상옥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769-771
    • /
    • 2000
  • 저 주파수에서 인덕턴스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방법은 RLC를 이용한 resonance 방법과 교류브리지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현재 선진 국가표준기관에서의 인덕턴스 표준유지는 약 5 ppm정도이고, 인덕턴스 측정브리지는 국가에 따라 자체 개발하여 사용하며 평균적으로 약 20 ppm의 불확도로 보급을 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 수준으로 인덕턴스 표준을 유지, 보급하기 위하여 10nF의 전기용량 표준으로부터 10 mH의 인덕턴스를 유도할 수 있는 Maxwell-wein bridge가 개발이 되었다. 이 브리지가 개발됨으로서 10 mH의 경우 400 Hz$\sim$5 kHz의 주파수 범위내에서 약 8 ppm($2{\sigma}$)의 불화도로서 인덕턴스 표준을 유지할 수가 있게 되었다.

  • PDF

Pig Skin Gelatin Hydrolysates Attenuate Acetylcholine Esterase Activity and Scopolamine-induced Impairment of Memory and Learning Ability of Mice

  • Kim, Dongwook;Kim, Yuan H. Brad;Ham, Jun-Sang;Lee, Sung Ki;Jang, Aer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83-196
    • /
    • 2020
  • The protective effect of pig skin gelatin water extracts (PSW) and the low molecular weight hydrolysates of PSW generated via enzymatic hydrolysis with Flavourzyme® 1000L (LPSW) against scopolamine-induced impairment of cognitive function in mice was determined. Seventy male ICR mice weighing 20-25 g were randomly assigned to seven groups: Control (CON); scopolamine (SCO, 1 mg/kg B.W., intraperitoneally (i.p.); tetrahydroaminoacridine 10 [THA 10, tacrine; 10 mg/kg B.W. per oral (p.o.) with SCO (i.p.)]; PSW 10 (10 mg/kg B.W. (p.o.) with SCO (i.p.); PSW 40 (40 mg/kg B.W. (p.o.) with SCO (i.p.); LPSW 100 (100 mg/kg B.W. (p.o.) with SCO (i.p.); LPSW 400 (400 mg/kg B.W. (p.o.) with SCO (i.p.). All treatment groups, except CON, received scopolamine on the day of the experiment. The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f LPSW 400 at 1 mg/mL was 154.14 μM Trolox equivalent. Administration of PSW and LPSW for 15 week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n physical performance of mice. LPSW 400 significantly increased spontaneous alternation, reaching the level observed for THA and CON. The latency time of animals receiving LPSW 400 was higher than that of mice treated with SCO alone in the passive avoidance test, whereas it was shorter in the water maze test. LPSW 400 increased acetylcholine (ACh) content and decreased ACh esterase activity (p<0.05). LPSW 100 and LPSW 400 reduced monoamine oxidase-B activit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LPSW at 400 mg/kg B.W. is a potentially strong antioxidant and contains novel components for the functional food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