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00 km/h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36초

차세대 고속철도의 안정성 및 안전성 해석 (Stability and Safety Analysis on the Next Generation High-Speed Railway Vehicle)

  • 조재익;박태원;윤지원;김지영;김영국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45-25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안정성과 안전성 해석을 통하여 차세대 고속철도(HEMU-400X)의 주행성능을 예측하였다. 차량의 설계단계에서 주행성능을 예측하는 것은 차량의 안전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안정성 해석을 통하여 차륜의 등가 답면구배에 따른 임계속도를 계산하였다. 임계속도는 UIC518에 근거하여 등가 답면구배 0.15에서 400km/h가 달성 가능함을 보였다. 또한 안전성 해석을 통하여, 동역학 모델의 횡방향과 수직방향의 가속도 값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안정성 해석은 UIC518에 근거하여 440km/h의 속도로 30km의 구간을 주행하였다. 그리고 계산된 값들은 모두 UIC518의 최대 허용 가속도 값보다 적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차세대고속열차 차상신호장치 최고속도 시험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ximum Speed Test for On-board Signalling Equipment in HEMU-400x)

  • 신덕호;이재호;이강미;김용규;박춘수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670-677
    • /
    • 2009
  • 본 논문은 최고속도 400km/h의 차세대고속열차 차상신호장치의 최고속도시험을 위한 방안을 연구한다. 차세대고속열차 차상신호장치는 열차가 고속선 자동열차제어(ATC)구간과 기존선 자동열차정지(ATS) 및 자동열차방호(ATP)구간을 운행하는 동안 기관사에게 운전정보를 제공하고 기관사실수, 신호장치고장, 천재지변 등으로부터의 열차 안전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차세대고속열차 최고속도 400km/h 시험은 차상신호장치를 포함한 열차성능 검증을 위한 필수과정으로써, 본 논문에서는 차상신호장치의 기능 및 최고속도시험의 필요성을 분석하고, 고속선 ATC구간에서 최고속도시험을 실시하기 위한 인프라의 변경사항 및 구체적인 시험방안을 연구한다.

자동차의 주행 성능에 미치는 리어 디퓨저 크기의 영향 (Effects of Rear Diffuser Size on the Driving Performance of a Passenger Car)

  • 이교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655-661
    • /
    • 2019
  • 본 연구는 차량용 리어 디퓨저의 시작 위치에 따른 주행 성능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ATIA 3D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용 SUV 차량을 참고하여 차량을 모델링하고 뒤 타이어를 기준으로 300, 400, 500 mm 떨어진 위치부터 리어 디퓨저가 시작되도록 설계했다. 그리고 유동 해석 프로그램인 Fluent를 이용해 차량 주행속도가 60km/h, 100km/h, 140km/h 일 경우를 조건으로 하여 유동해석 후 양력과 항력의 변화를 분석하고 공기의 유선 변화를 확인했다. 해석 결과, 리어 디퓨저는 시작 위치에 상관없이 디퓨저가 없는 경우에 비해 양력과 항력을 감소시켰다. 이는 리어 디퓨저가 있을 경우 공기가 차량 하면부를 지나 후면부로 빠져나올 때 발생하는 박리 현상을 억제하여 와류 현상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SP 400의 조건일 때 양력이 가장 작았고 양력 감소 효과도 가장 좋았기 때문에 주행 중 타이어의 접지력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어서 이 경우를 최적의 조건으로 결정하였다.

고속철도 열차 증속에 따른 접속부 거동특성 분석 (Transition Zone Behavioral Characteristics with Increase the Speed of High Speed railroad)

  • 박효성;김낙석;강윤석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83-1593
    • /
    • 2011
  • As we see the continuation of the increase in the speed of the High Speed railroad worldwide, there is a concern for a possible problem in the connecting transition zone in the railway infrastructure. Honam High Speed railroad's transition zone in the hub for the rotation structures and other supporting structures such as approach slab, sub slab, approach block, etc. Due to its increase in speed of the design speed, and its important role on the driving stability and credibility of the bearing ground performance, we must seek and fine a prevention plan for a cause of differential settlement, as well as the cause of the derailment. In this dissertation, domestic, as well as international design manuals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control standards are studied. Also through the study target, Honam High Speed railroad zone 4-1, we evaluated the connecting componant of the Yeon-Jeong bridge through the eigenvalue and weight transfer of the train when operated at 300km/h, 350km/h, 400km/h, 450km/h, and were able to achieve detailed assessment by checking track behaviors, looking at various components such as the rotation acceleration according to the inversion of the distance length, displace length, displacement and stress distribution. Through these studied, possibility of operating at 400km/h was evaluated based on the condition of the current design basis.

  • PDF

열차 증속에 따른 콘크리트 궤도 노반의 동적 응력 변화 (Dynamic Change of Stresses in Subsoil under Concrete Slab Track Subjected to Increasing Train Speeds)

  • 이태희;최찬용;;정영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10호
    • /
    • pp.57-66
    • /
    • 2013
  • 보다 빠른 교통 수단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현재 운영 중인 KTX의 운행속도인 350km/h을 넘어서는 고속 열차의 운행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궤도 구조물에서 열차 속도 변화에 따른 노반 변위의 변화양상을 추적하고 비선형적인 노반 응력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궤도-차량 상호작용을 간단한 형태로 고려하기 위해 이동 하중의 질점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열차 하중의 이동 속도를 100km/h에서 700km/h까지 변화시켜 결과를 얻었다. 열차 속도 증가에 따라 레일과 노반 변위는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뚜렷한 임계 속도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낮은 열차 속도 대역에서는 열차 속도보다 노반에서 에너지를 전달하는 탄성파 속도가 빠르다. 하지만 400km/h 이상의 열차 속도 대역에서는 열차 속도와 에너지 전달 속도가 거의 일치하였다. 열차 속도 증가에 따라 노반 응력 이력이 크게 변하며 경로 의존적인 토질 재료에서 상당한 크기의 소성 변형률이 예상된다.

차세대 고속열차를 위한 시스템엔지니어링 관리계획 개발 (A study on the Systems Engineering Management Plan for the High-speed Electric Multiple Unit 400km/h eXperiment)

  • 이태형;박춘수;김기환;한영재;최성훈;김상수;한인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187-189
    • /
    • 2008
  • The HEMU-400X(High-speed Electric Multiple Unit 400km/h experiment) project starts last fear. It is required to control and balance the systems engineering activities throughout the project life cycle for a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project. This paper proposes the systems engineering management plan for the HEMU-400X project.

  • PDF

A model for investigating vehicle-bridge interaction under high moving speed

  • Liu, Hanyun;Yu, Zhiwu;Guo, Wei;Han, Yan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7권5호
    • /
    • pp.627-635
    • /
    • 2021
  • The speed of rail vehicles become higher and higher over two decades, and China has unveiled a prototype high-speed train in October 2020 that has been able to reach 400 km/h. At such high speeds, wheel-rail force items that had previously been ignored in common computational model should be reevaluated and reconsidered. Aiming at this problem, a new model for investigating the vehicle-bridge interaction at high moving speed is proposed. Comparing with the common model, the new model was more accurate and applicable, because it additionally considers the second-order pseudo-inertia forces effect and its modeling equilibrium position was based on the initial deformed curve of bridge, which could include the influences of temperature, pre-camber, shrinkage and creep deformation, and pier uneven settlement, etc. Taking 5 km/h as the speed interval, the dynamic responses of the classical vehicle-bridge system in the speed range of 5 km/h to 400 km/h are studied. The results show that ignoring the second-order pseudo-inertia force will underestimate the dynamic response of vehicle-bridge system and make the high-speed railway bridge structure design unsafe.

실차시험을 이용한 팬터그래프의 소음기여도 분석 (Noise Contribution Analysis of Pantograph Using Real Train Experiment)

  • 오혁근;노희민;김준곤;박춘수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71-279
    • /
    • 2016
  • 팬터그래프의 공력소음은 열차가 고속으로 주행할 때 발생하는 소음의 주요한 원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팬터그래프에 의한 공력소음 기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차세대고속열차(HEMU-430X)를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제차량에서의 팬터그래프에 의한 소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350km/h와 400km/h 주행 시 전체차량의 음장가시화를 144채널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음장가시화 분석결과 팬터그래프의 소음은 250~400Hz 대역의 저주파 소음이 주로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팬터그래프의 소음 기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팬터그래프의 올림 및 내림 시 소음도 차이를 단일 마이크로폰 시험을 통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단일 마이크로폰 시험을 통한 팬터그래프 소음의 주요 주파수 특성은 315~400Hz와 1000~1250Hz 대역임을 확인 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연구 결과 및 음장가시화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철도교통용 고속 트랜스폰더시스템 고속선 실차 성능평가 (Performance Assessment of High-Speed Transponder System for Rail Transport on High-Speed Line)

  • 박성수;이재호;김성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304-313
    • /
    • 2016
  • 고속열차의 정확한 위치를 검지하기 위해서는 차상에 설치된 트랜스폰더 리더가 지상에 설치된 트랜스폰더 태그로부터 텔레그램을 오류없이 정확하게 수신하여야 한다. 고속철도 환경에서 텔레그램 수신 성능은 선로 변에 설치된 전기/신호 설비 및 열차에 설치된 전장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 간섭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열차 위치검지시스템에 절대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철도교통용 고속 트랜스폰더시스템 시작품의 철도환경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호남고속선에 트랜스폰더 태그를 설치하고 HEMU-430X가 268km/h~334km/h로 운행할 때 트랜스 폰더 리더가 각 태그로부터 텔레그램을 오류없이 몇 회 수신하는지 측정하는 방식으로 실차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트랜스폰더 리더와 태그 사이에 형성된 컨택 존의 길이를 추정하고, 400km/h의 고속주행환경에서 태그로부터 오류없이 수신가능한 텔레그램 개수를 예측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