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4-Triazole

Search Result 13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새로운 1,2,4-Triazole 유도체의 합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of Novel 1,2,4-Triazole Derivative)

  • 김호식;박태주;도이향;이만길;창택가구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38-743
    • /
    • 1992
  • ${\circo}-페닐렌디아민(3)을 출발물질로 하여 4단계를 거쳐 {\alpha}-arylhydrazonoacylazide(7)를 합성하였다. 얻어진 {\alpha}-arylhydrazonoacylazide(7)는 디메틸슬폭시드 용액에서 hydrazone imine형과 diazenyl enamine형으로 존재하는데 이들 사이의 토오토메리 현상을 ^1H-NMR 스펙트럼 데이타에 의하여 측정된 토오토머 비로서 고찰하였다. {\alpha}-arylhydrazonoacylazide(7)를 벤젠용매에서 환류시켜 1-aryl-3-quinoxalinyl-1,2,4-triazol(8)을 합성하였다.$

  • PDF

6-트리아졸 엑소메칠렌펜남 유도체의 베타락타마제 효소억제력과 베타락탐항생제 병용시 활성비교 ([ ${\beta}$ ]-Lactamase Inhibitory Activity and Comparative Activity of 6-Triazole Exomethylenepenam Derivatives Combined with ${\beta}$-Lactam Antibiotics)

  • 임채욱;오정석;이선혜;김경원;임철부
    • 약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51-55
    • /
    • 2005
  • In vitro ${\beta}$-lactamase inhibitory activity of 6-triazole exomethylenepenam compounds (1, 2, 3, 4, 5 and 6) was compared with clavulanic acid, sulbactam and tazobactam. The inhibitory activity of 3, 4 and 5 was stronger than those of sulbactam, clavulanic acid and tazobactam against Type IV enzymes. And, inhibitory activity of 3 and 4 was stronger than those of sulbactam, clavulanic acid and tazobactam against Type III enzymes. The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3, 4 and 5 combined with ampicillin was better than those with sulbactam and with cefoperazone was compared with the sulbactam against ${\beta}$-lactamase producing 27 strains. The synergistic activity of (Z)-form compounds (3 and 5) was better than that of (E)-form compound (4) and sulfone compound (5) was better than sulfide compound (3).

Anhydrous Proton Conducting Polymer Electrolytes Based on Poly(phosphonic acid)s and Oligomeric Triazole Compounds

  • Song, Myeong-Soo;Lee, Sung-Il;Bingoel Bahar;Meyer Wolfgang H.;Yoon, Do-Y.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272-272
    • /
    • 2006
  • In recent years, water-fre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are attracting serious attention due to the possibility of the fuel cell operation at intermediate temperatures ($100{\sim}200^{\circ}C$). It was reported that phosphonic acids have proton conductivity under anhydrous conditions and in particular, relatively high proton conductivity could be obtained from the composite materials with heterocycles such as imidazole, pyrazole, etc. In this work, styrene based polymers, poly((4-vinylbenzyloxy)alkylphosphonic acid), which have phophonic acid group at the end of alkyl chain was synthesized. These polym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rmal stability and proton conductivity. Additionally, cyclic oligosiloxanes tethered with triazole were prepared and analyzed.

  • PDF

Triazole계 살균제의 살포 및 훈증처리에 의한 포도 흰가루병(Uncinula nectator)의 방제 (Control of Powdery Mildew (Uncinula necator) in Vineyards by Spraying and Vapor-Action Treatments of Triazole Fungicides)

  • 오정행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16-323
    • /
    • 1996
  • 비가림재배 포도원에서 발생하는 흰가루병에 대하여 triazole계 살균제 flusilazole, myclobutanil, difenoconazole, penconazole, triflumizole, triadimefon의 방제 효과를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살균제 처리구의 이병과방율과 이병엽율은 무처리구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고, 이들의 방제가는 과방에서 약제에 따라 94.7∼97.9%, 잎에서 85.5%∼90.9%였으며 대조약제인 polyoxin B의 방제가와 유사한 정도를 보였다. 공시살균제의 보호효과는 살균제를 병발생 1주일전에 살포하는 경우, 살포 3주 후에 방제가는 약제에 따라 72.2∼90.5%였으나 4주 후에는 21.2∼41.6%로 감소하여 대조약제 polyoxin B의 52.5%보다 감소시켰으나 myclobutanil의 발아억제 효과는 약제 농도증가에 크게 영향받지 않았다. 살균제에 침지한 cheesecloth를 포도원 선반에 매달아 조사한 공시살균제의 훈증효과는 살포농도의 2배로 처리했을 때 처리점으로부터 반경 30cm이내의 포도송이에서는 약제에 따라 57.2∼71.1%의 방제가를 보였으나 전체 식물체에서는 49.1∼65.8%로서 10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한 것 보다 낮은 방제가를 보였다.

  • PDF

들깻잎에서 Triazole계 살균제의 생물학적 반감기와 물리화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half-life of triazole fungicides in perilla leaf)

  • 이상협;곽세연;황정인;김효정;김태화;김장억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4호
    • /
    • pp.407-415
    • /
    • 2019
  • 들깻잎에 살포된 triazole계 살균제 6종에 대하여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고 분해 및 소실 속도를 확인하였으며, 통계분석으로 생물학적 반감기와 농약의 물리화학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확립된 분석법으로 6종 농약의 회수율 시험 결과 84.8-104.9%로 잔류농약분석법 기준을 만족하였다. 들깻잎에 살포한 농약 6종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first-order kinetics model으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 6.4-15.1일로 나타났다. 산출된 생물학적 반감기와 6종의 농약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주성분 분석으로 상관성을 확인하였을 때, pKa, Log P 및 생물학적 반감기가 PC1에 영향을 받아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으로 생물학적 반감기와 물리화학적 특성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을 때, 생물학적 반감기와 pKa는 R2 = -0.928, p <0.01로 나타나, 생물학적 반감기는 pKa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