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Point Bending Test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32초

Numerical simulation of fracture and damage behaviour of concrete at different ages

  • Jin, Nanguo;Tian, Ye;Jin, Xianyu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4권3호
    • /
    • pp.221-241
    • /
    • 2007
  • Based on the experiment results, the damage and fracture behavior of concrete at the ages of 1d, 2d, 7d and 28d, in three-point bending and uniaxial tensile tests, were simulated with a finite element program, ABAQUS. The critical stress intensity factor $K_{IC}^s$ and the critical crack tip opening displacement ($CTOD_C$) of concrete were calculated with effective-elastic crack approach for the three-point bending test of grade C30 concrete. Based on the crack band model, a bilinear strain-softening curve was derived to simulate the LOAD-CMOD curves and LOAD-Displacement curves. In numerical analysis of the uniaxial tension test of concrete of grade C40, the damage and fracture mechanics were combined. The smeared cracking model coupling with damaged variable was adopted to evaluate the onset and development of microcracking of uniaxial tensile specimen. The uniaxial tension test was simulated by invoking the damage plastic model which took both damage and plasticity as inner variables with user subroutines. All the numerical simulated results show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플라스틱 온실의 강관 이음부 휨성능 분석 (Evaluation of Steel-Pipe Connections in Plastic Greenhouse Using Bending Test)

  • 최만권;류희룡;조명환;유인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1-39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온실 강관의 이음 방법에 대해 휨성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휨성능이 우수한 이음 방법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모든 실험체는 이음이 없는 실험체 보다 휨성능이 작았다. 그러나 모든 실험체의 최대 휨모멘트는 이음이 없는 실험체 소성모멘트의 1.07~1.3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연결방법에 따른 결과는 연결핀 보다 인발 실험체가 상대적으로 큰 휨성능을 보였다. 현장 이음 방법의 파괴 모드는 연결핀과 강관 끝부분의 응력집중에 의한 국부좌굴이 지배적이었다. 현장시공 시 강관을 절단 후 연결할 경우, 이음 없이 사용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휨성능을 발휘하지만 부득이 강관을 절단할 경우는 연결핀보다는 인발 강관에 직결나사로 고정한 이음 방법(SPJ-F)으로 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4점 휨 시험에서 지간 거리에 따른 2×4 낙엽송 제재목의 휨 성능 변화 (Change of Bending Properties of 2×4 Larch Lumber According to Span Length in the Four Point Bending Test)

  • Kim, Chul-Ki;Kim, Kwang-Mo;Lee, Sang-Joon;Park, Moon-Ja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486-496
    • /
    • 2018
  • 4점 휨 시험에서 지간 길이에 따른 낙엽송 제재목의 휨 성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시험편의 크기는 38(너비) ${\times}$ 89(깊이) ${\times}$ 3,600(길이) $mm^3$이며, 평균 기건 밀도와 함수율은 각각 $543.5kg/m^3$, 10.5%이었다. 낙엽송 육안 등급 1등급 248본을 두 그룹으로 나눠, 지간 거리 1,650 mm와 3,000 mm에서 휨 실험을 진행하여 휨 강도와 휨 탄성계수를 도출하였다. 휨 탄성계수는 유의 수준 5%에서 지간 거리에 따라 차이가 없다고 판단된 반면 휨 강도는 차이가 있었으며, 지간에 반비례하였다. 지간 거리 1,650와 3,000 mm에서 휨 강도의 5% 하한치는 각각 28.65와 25.70 MPa로 확인되었다. 지간 거리에 따른 휨 강도 차이는 백분위 수가 증가함에 따라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와이블 최약 링크 파손 이론에 의한 치수 효과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지간 대 깊이 비가 15 이상으로만 제한되어 있는 목구조용 실대재 휨 시험법(KS F 2150)에 치수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치수의 제재목에서 얻어지는 강도를 설계 값에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표면거칠기에 따른 글래스 웨이퍼와 UV 경화 폴리머사이의 계면접착 에너지 평가 (Effect of surface toughness on the interfacial adhesion energy between glass wafer and UV curable polymer for different surface roughness)

  • 장은정;현승민;최대근;이학주;박영배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A
    • /
    • pp.40-44
    • /
    • 2008
  • The interfacial adhesion energy between resist and a substrate is very important due to resist pull-off problems during separation of mold from a substrate in nanoimprint process. And effect of substrate surface roughness on interfacial adhesion energy is very important. In this paper, we have treated glass wafer surface using $CF_4$ gas for increase surface roughness and it has tested interfacial adhesion properties of UV resin/glass substrate interfaces by 4 point bending test. The interfacial adhesion energies by bare, 30, 60 and 90 sec surface treatments are 0.62, 1.4, 1.36 and 2 $J/m^2$, respectively. The test results showed quantitative comparisons of interfacial fracture energy (G) effect of glass wafer surface roughness.

  • PDF

카본/에폭시 면재 및 허니컴 코어 샌드위치 복합재 구조의 구멍 손상에 의한 4점 굽힘 강도 연구 (A Study on 4 Point Bending Strength of Carbon/epoxy Face Sheet and Honeycomb Core Sandwich Composite Structure after Open Hole Damage)

  • 박현범
    • Composites Research
    • /
    • 제27권2호
    • /
    • pp.77-8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전기체 복합재가 적용되어 설계된 소형 항공기의 손상 평가 및 유지 보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 중인 항공기의 스킨 부위는 샌드위치 구조가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멕스 허니컴코어와 카본 면재가 적용된 샌드위치 복합재 구조에 대해 구멍 손상 이후의 잔류 강도 평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4점 굽힘 시험을 통해 시편의 굽힘 강도를 확인하고, 시편에 손상을 모사하기 위하여 시편의 중앙 부위에 구멍 손상을 가하였다. 손상된 시편을 손상 전 시편과 동일한 시험을 통해 손상 전의 강도와 비교하였다. 또한 손상된 복합재 구조는 손상 부위 제거 후 패치 수리 기법을 적용하고 손상된 시편과 보수된 시편의 굽힘 강도 시험결과를 비교하였다. 샌드위치 복합재 구조 시편의 유지 보수 후 굽힘 강도 시험 결과 손상 전 시편의 강도와 비교하여 강도의 95%까지 회복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l5052/CFRP 복합소재의 표면특성이 접착성과 기계적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e Roughness of Al5052/CFRP Composites on the Adhes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 이민식;김현호;강충길
    • Composites Research
    • /
    • 제26권5호
    • /
    • pp.295-30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차량용 Al5052/CFRP 복합재를 U-채널 몰드에서 컴프레션 몰딩 공정을 통해 제작하였다. Al5052는 샌드블라스팅을 통해 표면처리를 하였다.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판재와 표면거칠기(Ra)가 $1.85{\mu}m$ 및, $4.25{\mu}m$인 Al5052판재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면거칠기가 Al5052/CFRP 복합재의 접착성과 기계적 특성에 대한 영향을 전단시험과 굽힘실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전단 시험에서는 표면거칠기가 $1.85{\mu}m$$4.25{\mu}m$ 시험편이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시험편보다 각각 3, 5배의 전단강도의 증가를 보였다. 굽힘시험에서는 표면처리를 하지 않았을 때 굽힘강도가 200 MPa에서 표면처리 후 400 MPa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실배관 파괴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I)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Pipe Fracture Characteristic (I))

  • 박재실;석창성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A
    • /
    • pp.345-350
    • /
    • 2001
  • In order to perform elastic-plastic fracture mechanical analyses, fracture resistance curves for concerned materials are required. 1T-CT specimen was used to obtain fracture resistance curves. But the fracture resistance curve by the 1T-CT specimen was very conservative to evaluate the integrity of the structure. And fracture resistance curve was affected by the specimen geometry and crack plane orientatio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be certain the conservativeness of the fracture resistance curve by the 1T-CT specimen and to provide the additional safety margin. For these, the fracture tests using the real pipe specimen and standard 1T-CT specimen test were performed. 4-point bending jig was manufactured for pipe test and direct current potential drop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crack extension and length for pipe test. From the pipe and the 1T-CT specimen test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the J-integral of the 1T-CT specimen test at the crack initiation point was very small compare to that of the pipe specimen test.

  • PDF

FOWLP 적용을 위한 Cu 재배선과 WPR 절연층 계면의 정량적 계면접착에너지 측정방법 비교 평가 (Comparison of Quantitative Interfacial Adhesion Energy Measurement Method between Copper RDL and WPR Dielectric Interface for FOWLP Applications)

  • 김가희;이진아;박세훈;강수민;김택수;박영배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1-48
    • /
    • 2018
  • Fan-out wafer level packaging (FOWLP) 적용을 위한 최적의 Cu 재배선 계면접착에너지 측정방법을 도출하기 위해, 전기도금 Cu 박막과 WPR 절연층 계면의 정량적 계면접착에너지를 $90^{\circ}$ 필 테스트, 4점 굽힘 시험법, double cantilever beam (DCB) 측정법을 통해 비교 평가 하였다. 측정 결과, 세 가지 측정법 모두 배선 및 패키징 공정 후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 산업체 통용 기준인 $5J/m^2$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DCB, 4점 굽힘 시험법, $90^{\circ}$ 필 테스트 순으로 계면접착에너지가 증가하는 거동을 보였는데, 이는 계면파괴역학 이론에 의해 위상각 증가에 따라 이종재료 계면균열 선단의 전단응력성분 증가에 따른 소성변형에너지 및 계면 거칠기 증가 효과에 의한 것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FOWLP 재배선에 대한 최적의 계면접착에너지 도출을 위해서는 시편제작 공정, 위상각 차이, 정량적 측정 정확도 및 결합력 크기 등을 고려하여 4점 굽힘 시험법 또는 DCB 측정법을 적절히 혼용 사용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Influence of different surface treatments on bond strength of novel CAD/CAM restorative materials to resin cement

  • Komurcuoglu, Meltem Bektas;Sagirkaya, Elcin;Tulga, Ayca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9권6호
    • /
    • pp.439-446
    • /
    • 2017
  •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surface treatments on the bond strength of novel CAD/CAM restorative materials to resin cement by four point bending test. MATERIALS AND METHODS. The CAD/CAM materials under investigation were e.max CAD, Mark II, Lava Ultimate, and Enamic. A total of 400 bar specimens ($4{\times}1.2{\times}12mm$) (n=10) milled from the CAD/CAM blocks underwent various pretreatments (no pretreatment (C), hydrofluoric acid (A), hydrofluoric acid + universal adhesive (Scotchbond) (AS), sandblasting (Sb), and sandblasting + universal adhesive (SbS)). The bars were luted end-to-end on the prepared surfaces with a dual curing adhesive resin cement (Variolink N, Ivoclar Vivadent) on the custom-made stainless steel mold. Ten test specimens for each treatment and material combination were performed with four point bending test method.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and Tukey's test. RESULTS. The surface treatment and type of CAD/CAM restorative material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our point bending strength (FPBS) (P<.001). For LDC, AS surface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FPBS results ($100.31{\pm}10.7MPa$) and the lowest values were obtained in RNC ($23.63{\pm}9.0MPa$) for control group. SEM analyses showed that the surface topography of CAD/CAM restorative materials was modified after treatments. CONCLUSION. The surface treatment of sandblasting or HF acid etching in combination with a universal adhesive containing MDP can be suggested for the adhesive cementation of the novel CAD/CAM restorative materials.

BGA Type 유.무연 솔더의 기계적 충격에 대한 보드레벨 신뢰성 평가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n Board Level Impact Test of SnPb and SnAgCu BGA Assembly Packaging)

  • 임지연;장동영;안효석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77-8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유연솔더인 63Sn37Pb와 무연 솔더인 95.5Sn4.0Ag0.5Cu와 97Sn2.5Ag0.5Cu BGA(Ball Grid Array) 패키지를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에 위치에 따라 장착하고 보드레벨의 낙하시험(Board Level Drop Test)을 실시하여 충격에 대한 유 무연 솔더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4점굽힘시험(board Level 4-point Bending Test)을 실시하여 굽힘에 대한 솔더볼의 기계적 저항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odeling, FEM)을 이용해 낙하시험과 4점굽힘시험에서 솔더 조인트에 미치는 응력과 변형률을 해석하였으며, 시험 설계 시에 솔더 조인트의 응력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를 고려하여 해석하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낙하시험과 4점굽힘시험에서 모두 무연솔더는 유연솔더보다 2배 이상 높은 신뢰성을 보였으며, PCB의 중앙에 위치한 패키지는 외각에 위치한 패키지 보다 매우 낮은 신뢰성을 보였다. 유한요소법을 통해 해석한 결과 최외각 솔더에서 가장 큰 응력이 발생하였고, 솔더의 조성과, 시험설계변수에 의해 응력의 발생 정도가 다름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