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H

검색결과 52,476건 처리시간 0.068초

들깨종실단백질 중의 phytate 제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moval of Phytate from Korean Perilla (Perilla ocimoides, L.) Protein)

  • 박진희;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43-349
    • /
    • 1990
  • pH를 달리한 수용액 및 농도를 달리한 염류수용액에서 들깨종실의 단백질과 phytate의 용해도를 측정하여 단백질로부터 phytate를 제거할 수 있는 조건을 검토하였다. 들깨종실단백질의 용해도는 pH4.0에서 가장 낮은 9.5%로 등전점을 보였고, 그보다 산성 또는 알칼리성쪽으로 갈수록 증가되었다. 반면에 phytate의 용해도는 pH5.0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보다 산성 또는 알칼리성쪽으로 갈수록 감소되었다. NaCl 수용액을 처리하였을 때 단백질의 용해도는 pH $3.0{\sim}4.0$ 범위에서 가장 낮았고 pH 6.0 이상에서는 현저히 증가되었다. Phytate의 용해도는 pH$2.0{\sim}5.0$ 범위에서는 약 90%내외로 높았으나 pH6.0 이상에서는 급격히 감소되었다. $Na_2SO_3$ 수용액처리에서는 단백질 용해도가 $pH2.0{\sim}3.0$ 범위에서 가장 낮았고 phytate의 용해도는 $pH5.0{\sim}6.0$에서 최대치를 보였고, 3%의 경우는 전 pH 구간에 걸쳐서 낮았으나 5%와 7%에서는 전 구간에서 높았다. $CaCl_2$ 수용액처리에서는 단백질 용해도가 3% 수용액에서는 전 pH 구간에서 낮았으나 5%와 7%에서는 $pH5.0{\sim}10.0$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며 phytate의 용해도는 $pH2.0{\sim}3.0$ 사이에서 최대값을 나타내고 pH4.0이상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3% NaCl 용액을 사용하여 pH9.0에서 단백질을 추출하고 pH4.0에서 침전시켰을 때 단백질 수율이 좋고 phytate 잔존량이 가장 적어, 저(低)phytate 분리단백질을 만드는 가장 좋은 조건이었다..

  • PDF

다중텅그스텐산 이온평형에 대한 이온세기의 영향. 염화칼륨용액에서 (The Effects of Ionic Strength on Polytungstate Ions Equilibrium in KCl Solution)

  • 안상운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57-170
    • /
    • 1974
  • 텅그스텐산이온 용액의 다핵화반응과 다중음이온의 양성자화반응에 대한 이온세기의 영향을 1∼4M KCl 용액에서 헥사텅그스텐산이온과 헥사텅그스텐산 이온의 양성자화된 형태가 생성되었다. 20∼50 C 및 1∼4M KCl 용액에서 헥사텅그스텐산이온 및 헥사텅그스텐이온의 양성화된 형태가 생성되는 반응에 대한 평행상수를 계산하였다. Van`t Hoff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헥사텅그스텐산이온의 양성자화된 형태가 생성되는 반응의 엔탈피변화는 이온세기에 관계없었다. $7H^++{6WO_4}^{2-}={HW_6O_{21}}^{5-}+3H_2O\;\;{\Delta}H^{\circ}=-62.4{\pm}0.6$$H^++{HW_6O_{21}}^{5-}={H_2W_6O_{21}}^{4-}\;\;{\Delta}H+_1^{\circ}=-4.12{\pm}0.10$$H^++{H_2W_6O_{21}}^{4-}={ H_3W_6O_{21}}^{3-}\;\;{\Delta}H_2^{\circ}=-4.36{\pm}0.30$위에 기술한 각 반응에 대한 자유에너지 변화 및 엔탈피변화를 계산하였고 이온세기의 영향을 고찰해보았다. 이온세기와 $log k_{6,7}$ 사이에 직선함수식이 성립하였다.$log k_{6,7}\;=\;D{\mu}+I,\;D\;=\;1.66{\pm}0.02$$logk_1$$logk_2$${\mu}$ 사이에도 전체 이온세기 범위내에서 직선함수식이 성립하였다.$logk_1=D_1{\mu}+I_1,\;logk_2\;=\;D_2{\mu}+I_2$ 여기에서 $D_1=-0.065{\pm}0.001이었고\;D_2=-0.367{\pm}0.0006$이었다.

  • PDF

$O_3/H_2O_2$ 고급산화공정에서 초기 pH 변화에 따른 1,4-dioxane의 제거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1,4-dioxane at Different Initial pHs with Advanced Oxidation Process Using $O_3/H_2O_2$)

  • 박진도;서정호;이학성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04-410
    • /
    • 2005
  • The pH efforts on the removal of 1,4-dioxane and the biodegradobility enhancement of dioxane contaminated water were investigated using $O_3/H_2O_2$ baled advanced oxidation process.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a bubble column reactor under different initial pH. The $O_3/H_2O_2$ process effectively converted 1,4-dioxane to more biodegradable intermediates which had a maximum $BOD_5$ enhancement at pH 11 within the experimental range, precisely, when the initial pH increased, $BOD_5$ enhanced. However, in case of removal efficiencies of 1,4-dioxane during $O_3/H_2O_2$ oxidation the optimum condition was shown at pH 9 compared with pH 6 and 11. TOC and COD values were not largely changed for all reaction time. From the results of 1,4-dioxane removal efficiency, TOC, COD, and $BOD_5$ enhancement with reaction time, it was surely observed that 1,4-dioxane was just converted to biodegradable materials, not completely oxidized to carbon dioxide.

Syntheses of Alternating Head-to-Head Copolymers of Vinyl Ketones and Vinyl Ethers, and Their Properties. Ring-Opening Polymerization of 2,3,6-Trisubstituted-3,4-dihydro-2H-pyrans

  • Lee, Ju-Yeon;Cho, I-Wha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8권2호
    • /
    • pp.102-105
    • /
    • 1987
  • 2-Methoxy-6-methyl-3,4-dihydro-2H-pyran ($1_a$), 2-ethoxy-3,6-dimethyl-3,4-dihydro-2H-pyran ($1_b$), and 2-ethoxy-3-methyl-6-ethyl-3,4-dihydro-2H-pyran ($1_c$) were prepared by (4 + 2) cycloaddition reaction from the corresponding vinyl ketones and alkyl vinyl ethers. Compounds $1_{a-c}$ were ring-open polymerized by cationic catalyst to obtain alternating head-to-head (H-H) copolymers. For comparison, copolymer of head-to-tail (H-T) was also prepared by free radical copolymerization of the mixture of the corresponding monomers. The H-H copolymer exhibited some differences in its $^1H$ NMR and IR spectra.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ed between the H-H and H-T copolymers in the $^{13}C$ NMR spectra. Also noteworthy was that$T_g$ value of H-H copolym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rresponding H-T structure.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the H-H copolymer was lower than that of the H-T copolymer. All the H-H and H-T copolymers were soluble in common solvents.

$^{207}Pb-NMR$ 분광법에 의한 $Pb(II)-N_2O_m$계 거대고리 리간드 착물형성 반응의 교환 메카니즘 (Exchange Reaction Mechanism of $Pb(II)-N_2O_m$ Macrocyclic Complexes by $^{207}Pb-NMR$ Spectroscopy)

  • 김정;윤창주;유한준;김건;김시중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1-49
    • /
    • 1994
  • Pb(II)이온과 질소-산소 주개 거대고리 리간드인 1,13-diaza-3,4 : $1011-dibenzo-59-dioxacyclohexa-decane(NtnOtnH_4)$, 1,15-diaza-3,4 : $1213-dibenzo-5811-trioxacycloheptadecane(NenOdienH_4)$, 및 1,15-diaza-3,4 : $1213-dibenzo-5811-trioxacyclooctadecane(NtnOdienH_4)$간의, 착물 형성 반응에서 Pb(II)이온에 대한 교환 반응 메카니즘을 $^{207}Pb-NMR$분광법을 사용하여 N,N'-dimethylformamide(DMF)용액에서 조사하였다. $Pb(II)-NtnOtnH_4$계에서는 주로 회합-해리 메카니즘에 의해 교환 반응이 진행되고 있었으며 $Pb(II)-NtnOdienH_4계$의 경우, $-5^{\circ}C$ 이하의 온도 영역에서는 이분자 교환 메카니즘으로, $+5^{\circ}C$ 이상의 온도영역에서는 회합-해리 메카니즘과 이분자 교환 메카니즘이 동시에 교환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해리 반응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는 $NtnOdienH_4\;<\;NtnOtnH_4\;<\;NenOdienH_4$의 순으로 착물의 안정도 상수와는 반대의 순이었다.

  • PDF

Synthesis and pH-Dependent Micellization of Sulfonamide-Modified Diblock Copolymer

  • Pal Ravindra R.;Kim Min Sang;Lee Doo Su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3권6호
    • /
    • pp.467-476
    • /
    • 2005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characterize pH-sensitive biodegradable polymeric materials. For pH-sensitivity, we employed three kinds of moieties: 2-amino-3-(lH-imidazol-4-yl)-propionic acid (H), N-[4-( 4,6-dimethyl-pyrimidin-2ylsulfamoyl)-phenyl]succinamic acid (SM), and 2- {3-[ 4-( 4,6-dimethyl-pyrim­idin- 2-ylsulfamoyl)-phenylcarbamoyl]-propionylamino} -3-(3 H - imidazol-4-yl)-propionic acid (SH). The pH -sensitive diblock copolymers were synthesized by ring opening polymerization and coupling reaction from poly(ethylene glycol) (MPEG), $\varepsilon$-caprolactone (CL), D,L-lactide (LA) and pH-sensitive moieties. The pH-sensitive SH molecule was synthesized in a two-step reaction. The first step involved the synthesis of SHM, a methyl ester derivative of SH, by coupling reaction of SM and L-histidine methyl ester dihydrochloride, whereas the second step involved the hydrolysis of the same. The synthesized SM, SHM and SH molecules were characterized by FTIR, $^{1}H$-NMR and $^{13}C$-NMR spectroscopy, whereas diblock copolymers and pH-sensitive diblock copolymer were characterized by $^{1}H$-NMR and GPC analysis.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at various pH conditions by fluorescence technique using pyrene as a probe. The micellization and demicellization studies of pH-sensitive diblock copolymers were also done at different pH conditions. The pH-sensitivity was further established by acid-based titration and DLS analysis.

Ca(OH)$_2$ 현탁액과 각종 인산 수용액으로부터 인산칼슘 초미분말의 제조 (Synthesis of Ultra-fine Calcium Phosphate Powders from Ca(OH)2 Suspension and Various Phosphoric Aqueous Solutions)

  • 민경소;최상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4-82
    • /
    • 1992
  • Ultra-fine calcium phosphate powders were synthesized by the reaction of Ca(OH)2 suspension with various phosphoric aqueous solutions such as (NH4)2HPO4, H4P2O7 and H3PO4, and the characterization of powders was examined for each synthetic condition. When (NH4)2HPO4 and H3PO4 were used, hydroxyapatite powders with poor crystallinity were obtained. In the case of H4P2O7, amorphous calcium phosphate was obtained up to 0.3 mol/ι Ca(OH)2 suspension, but above the concentration, poor crystalline hydroxyapatite was produced. Crystalline phases of powders heat-treated at 80$0^{\circ}C$ were hydroxyapatite, $\beta$-tricalcium phosphate and $\beta$-tricalcium phosphate for the case of (NH4)2HPO4, H4P2O7 and H3PO4, respectively. SEM observation revealed that the shapes of synthesized powders were vigorously agglomerated spherical with the size below 100 nm, but TEM observation revealed that primary shapes of particles were rod for (NH4)2HPO4 and H3PO4 and were sphere for H4P2O7. There was no dependence of the concentration of Ca(OH)2 suspension. In the case that reaction temperature and pH of the suspension were raised, the inclination to the hydroxyapatite were remarkable. The amorphous calcium phosphate synthesized in this experiment contained water about 20% , and was crystallized to $\beta$-tricalcium phosphate at 69$0^{\circ}C$.

  • PDF

잎상추의 수경재배시 $\textrm{NO}_3$-N과 $\textrm{NH}_4$-N의 비율이 엽중 nitrate 함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extrm{NO}_3$:$\textrm{NH}_4$ Ratio on the $\textrm{NO}_3$ Content in Leaf Lettuce Cultured by a Deep Flow Technique)

  • 김혜진;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0-54
    • /
    • 2001
  • 잎상추 수경재배시 배양액 내 NO$_3$-N와 NH$_4$-N 비율 및 pH 조절이 엽중 nitrate 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였다. NO$_3$-/NH$_4$$^{+}$의 비율 처리는 12:1, 10:3, 8:5이었으며, 8:5 처리구에 pH를 자동적으로 조절해준 처리구조 설정하였다. pH의 변화는 12:1 처리구에서는 실험기간 동안 계속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고, NH$_4$$^{+}$의 비율이 높을수록 pH가 상당한 저하하다가 낮은 수준에서 유지되었다. NH$_4$$^{+}$의 비율이 가장 높았던 8:5에 pH를 자동적으로 조절해준 처리구에서는 5.5-6.5 사이의 안정적인 수준으로 pH를 유지하였다. 엽중 nitrate 함량은 전반적으로 12:1 처리구에서는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2:1과 8:5에 pH를 조절해준 처리구에서는 비슷한 양상으로 수확시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즉, NH$_4$$^{+}$의 비율을 높이고 배양액의 pH를 조절하는 것이 생육 및 엽중 nitrate 함량에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배가스로부터에틸렌 회수를 위한 활성탄과 CMS 흡착탑의 흡착거동 특성 (Adsorption Dynamics of Activated Carbon and Carbon Molecular Sieve Beds for Ethylene Recovery)

  • 윤기용;전필립;우은지;;이창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3호
    • /
    • pp.527-534
    • /
    • 2012
  • FCC 연료가스로부터 에틸렌 회수를 위한 흡착공정을 개발을 위하여 활성탄(AC)과 탄소분자체(CMS)로 충진된 흡착탑의 흡착 동특성을 비교하였다. FCC 연료가스로는 6성분($CH_4/C_2H_4/C_2H_6/C_3H_6/N_2/H_2$,32:15:14:2:12:25 vol.%) 혼합가스를 이용하였으며, 흡착탑의 흡착 및 탈착파과 실험을 실시하였다. 활성탄 흡착탑의 경우 파과는 $H_2$ < $N_2$ < $CH_4$ < $C_2H_4$ < $C_2H_6$ 순서로 나왔으며, CMS 흡착탑의 경우는 $H_2$< $CH_4$ < $N_2$ < $C_2H_6$ < $C_2H_4$ 순서를 보였다. CMS 흡착탑은 활성탄 흡착탑보다 성능이 나쁘나, 속도분리의 특성으로 $CH_4$$N_2$뿐만 아니라 활성탄에서 제거하기 어려운 $C_2H_6$ 이상의 성분들을 흡착단계에서 제거할 수 있다. 흡착탑의 재생은 감압과정만으로는 두 흡착제 충진탑에서 충분히 재생되기 어려우며, 진공재생이 필요하다. 따라서 CMS를 이용하는 흡착공정은 전처리 공정으로 설계하고, 활성탄을 이용하는 흡착공정을 주요 분리기로 설계하는 압력진공순환식 흡착공정(PVSA)이 에틸렌 회수에 제안될 수 있다.

플라즈마 화학증착법으로 제조된 B-doped a-SiC:H 박막의 물성 (Characterization of B-doped a-SiC:H Thin Films Grown by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 김현철;신혁재;이재신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10호
    • /
    • pp.1006-1011
    • /
    • 1999
  • $SiH_4$, $CH_4$, $B_2H_6$ 혼합기체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화학증착법으로 탄화실리콘 (a-SiC:H) 박막을 증착하였다. 증착중에 혼합기체중의$CH_4$농도 ($CH_4/CH_4+SiH_4$)를 변화시켜 얻은 박막의 물성을 SEM, XRD, Raman 분광법, FTIR, XPS, 광흡수도와 광전도도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SiH_4$기체만 이용하여 증착한 Si:H 박막은 비정질상태를 나타내었으나, $CH_4$가 첨가됨에 따라 실리콘 박막의 Si-$\textrm{H}_{n}$(n은 정수) 결합기가 Si-$\textrm{C}_{n}\textrm{H}_{m}$ (n,m은 정수) 형태의 결합기로 변화되었으며, 박막내 수소함량은 $CH_4$농도가 0~0.8의 범위에서 증가함에 따라 30~45% 범위에서 증가하였다. 반응기체중의 $CH_4$농도의 증가에 따라 박막 내의 탄소 농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막의 전기비저항과 광학적밴드갭 역시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