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차 산업

검색결과 3,308건 처리시간 0.029초

4차 산업혁명시대의 산업안전혁신시스템 (Innovation Systems for Industrial Safety in 4th Industrial Evolution)

  • 서용윤;이상훈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71-1276
    • /
    • 2017
  • 산업이 고도화되고 기술발전이 가속화되고 있지만, 생산현장에서의 사고와 재해는 아직까지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는 시스템의 대규모화, 복잡화, 다양화 등에 따라 나타나는 불안전한 상태(unsafe condition)와 근로자의 안전불감증, 낮은 학습효과, 안전문화 비활성화 등을 포함하는 불안전한 행동(unsafe behavior)에 기인한다. 최근 4차 산업혁명이 대두되면서, 인간과 기계 시스템 사이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지고, 데이터 가용성과 알고리즘 우수성이 확보되면서, 산업현장에서도 시스템과 공정안전을 위해 최신 기술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시작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품질 관리, 고장분석, 작업환경관리, 보건관리 등 생산관리의 다양한 범위에 새로운 산업안전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드론,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의 사례를 통해 안전한 생산현장은 물론 신뢰성할 수 있는 공공 및 사회를 위한 지능형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4차 산업혁명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e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rporations on management Performance)

  • 윤선중;서종현
    • 중소기업연구
    • /
    • 제43권1호
    • /
    • pp.51-83
    • /
    • 2021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이 경영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또한, 4차 산업혁명기업과 비 4차 산업혁명기업 간의 경영성과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표본은 기술보증기금이 자체적으로 기술평가를 거쳐 기술혁신기업 및 4차 산업혁명기업으로 분류한 2,543개 기업의 현장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술혁신역량 변수에는 연구개발 인력 규모, 연구개발 조직 수준, 지식 재산권수, 무형자산 비율, 지식자산 금액, 연구개발 투자금액, 연구개발 집약도 라는 변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4차 산업혁명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는 연구개발 조직 수준 요인을 제외한 요인들 모두가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어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특히, 지식자산 금액이 경영성과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4차 산업혁명기업과 비 4차 산업혁명기업 간 평균 비교 분석에서는 4차 산업혁명기업이 보다 경영성과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4차 산업혁명 관련 규제수단 분석 및 발전방향에 관한 정책적 검토 (Policy review on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regulatory measur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강선준;원유형;박한준;박성욱;정석호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23-1342
    • /
    • 2017
  •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산업간 경계를 뛰어넘는 혁신적 융합기술 기반 신산업 창출 및 성장동력 확보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관련 규제 개혁을 통한 창의적 기업활동 생태계 조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동안 규제 개선을 위해 다양한 시책들이 추진되었으나 기술 발전의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타 국가에 비해 과도한 규제로 인해 4차 산업혁명 대응에 있어 보다 혁신적인 변화가 요구된다. 이에 네거티브 규제 방식, 규제 샌드박스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규제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 PDF

4차 산업혁명 관련 유인수단 및 발전방향에 관한 정책적 검토 (Policy review on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induction measur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강선준;오정미;안성진;김태민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43-1358
    • /
    • 2017
  • 4차 산업혁명이 예견하는 변화가 머지않아 보편적으로 확산되고 우리의 삶을 유의미하게 변화시킬 것이라는 점은 부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일부 선도적인 개인이나 기업의 노력에만 의존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고. 국가 차원의 정책적 제도적 대응이 필요하다. 특히 UBS(2016)의 4차 산업혁명 준비수준 평가에서 세계 25위라는 기대 이하의 결과를 차지한 한국은 더욱 정확한 방향과 전략적인 수단으로 미래의 변화를 준비해야 한다. 따라서 정부와 기업의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무엇보다 과감한 선제적 규제 개혁과 유인제도 도입으로 한국 경제 시스템 유연성을 강화하여 민간 부분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시장여건 조성에 힘써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을 효율적으로 견인할 수 있는 유인수단 중 기업투자관련 세제혜택, 입법방안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PDF

4차 산업혁명 관련 5대 플랫폼 기술의 연구 수준 분석 (A Study on 5 Platform Technology Trends for 4th Industrial Revolution)

  • 천기우;김해도;박귀순;이건수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05-1319
    • /
    • 2017
  • 정보통신(ICT)혁명에 이어 사람이 기존에 수행하던 일을 사람의 도움 없이 자동화시킬 수 있는 기술들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등장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현재 산업의 지형도와 경제 사회 패러다임의 변화를 촉진하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며, 이에 따라 4차 산업혁명에 주요 추동력(driving force)을 제공하고 있는 핵심 플랫폼 기술 5개(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3D 프린팅)를 선별하여 글로벌 연구동향과 한국의 연구 수준을 파악하였다. 5개 기술에 대해 Elsevier사의 SCOPUS DB를 기반으로 최근 5년 간의 학술연구논문의 출판 현황을 분석하는 한편,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된 과제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5개 기술별로 국제적 연구 수준과 주요 리딩 연구기관을 파악하였으며,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연구개발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5개 기술에 대해 미국과 중국이 선도하고 있으며,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의 유럽 국가와 일본, 인도, 한국 등이 추격 그룹을 형성하고 있었다. 한국은 HW 대비 SW분야의 연구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연구 수준의 질적 향상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PDF

제4차 산업혁명의 기술 상용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성태경
    • 서비스연구
    • /
    • 제9권1호
    • /
    • pp.73-86
    • /
    • 2019
  •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과 기술 상용화에 대해 논의하고, 기술 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 요인을 문헌 연구를 통하여 도출하여, 제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산업계 경영진에게 설문을 통하여 이들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문헌연구 결과 기술 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11가지 성공 요인은'대화와 소통','경영층 지원','경영에 대한 이해','기술 상용화의 이해','관련자간의 협력','기술 상용화 장려책','공동목표 인식','정부 지원','기술 상용화 경험', '기술의 구체성','수요자 요청 기술'이었다. 404부의 설문지를 제4차 산업혁명 업계에 속하는 기업의 CEO와 CIO에게 발송하였고, 최종 응답률은 64.4%(260부)로서 상당히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응답자들은 제4차 산업혁명의 기술 상용화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관련자간의 협력'을 꼽았고, 뒤이어'경영층 지원','대화와 소통','공동 목표 인식','기술 상용화에 대한 이해'순으로 평가하였다. 기업이 제4차 산업혁명의 기술 상용화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성공 요인들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사업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과 준비 여부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and Preparedness for Social Problem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유양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66-575
    • /
    • 2019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예측되는 사회적 문제에 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준비여부를 파악하고 성별, 전공별, 학년별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대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기술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인문사회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 비해 보다 긍정적으로 4차 산업혁명을 예상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으로 예측되는 사회적 문제에 관해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인문사회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기술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보다 더 깊은 우려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명 중 3명 이상의 대학생들이 앞으로 5년 사이에 4차 산업혁명의 영향을 체감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5명 중 2명 정도의 학생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는 자신의 준비 수준은 미흡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미치는 영향이 사회 전반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새로운 기술발전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전공과 성별에 차이 없이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대비할 수 있는 기술공학과 인문사회학이 융합된 '4차 산업혁명'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

4차 산업혁명과 사회통합: OECD 회원국 종단분석(2006-2015)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ocial Cohesion: Longitudinal Analysis for OECD Countries(2006-2015))

  • 송정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98-30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적응도가 사회통합 요인 중 하나인 공공 청렴도, 정치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은 OECD 31개국 2006년에서 2015년 자료에 대해 잠재성장모형(LGM)을 적용하였다. 4차 산업혁명 적응도는 WEF(2016)를 활용하였으며 노동시장 유연성, 기술 혁신, 인프라, 법적 보호, 네 영역으로 구성된 지표를 분석에 투입하였다. 분석결과, 공공 청렴도는 4차 산업혁명 적응도 전체와 법적 보호 영역 중 사법부 독립성과 기업의 윤리적 행동의 영향을, 정치 신뢰는 법적 보호 영역 중 사법부 독립성의 영향을 유의하게 받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지금과 같은 추세로 변화해간다고 할 때는 4차 산업혁명의 추진이 사회통합에 큰 위협이 된다고 볼 수는 없으나, 다만 경제 과학기술의 영역의 촉진만이 아니라 법적 보호와 같은 사회적 영역에 대한 고려가 함께 병행될 때 가능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제 산업 과학 분야 대비 사회정책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4차 산업혁명 논의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4차 산업혁명 시대 도서관의 미래상에 대한 이용자 인식조사 - 사서와의 비교를 통해 - (A Study on the Users Perception about the Future of Librar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paring with Librarians)

  • 강주연;박태연;김건;이정민;오효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5-15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선진화된 도서관의 미래상을 정립하고 대응 전략을 모색하기 위하여 이용자 인식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4차 산업혁명 기기 및 기술의 활용 현황, 4차 산업혁명 시대 도서관의 미래상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설문 결과를 정리하면 먼저 이용자는 4차 산업혁명을 개략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어느 정도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도서관 분야에서의 4차 산업혁명 전개 수준은 미흡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이용자가 평소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IT 장비 및 스마트 디바이스는 모바일폰, QR코드, 비콘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모바일폰은 도서관 환경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IT 장비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용자들은 대체로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기기 및 기술에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용자들은 4차 산업혁명이 불러올 도서관의 미래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기회와 일자리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넷째, 이용자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서관을 위해서 신기술 도입이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하고, 신기술의 적용이 필요한 도서관 서비스 영역으로는 온라인 서비스 영역을 선택하였다. 궁극적으로 상기 연구 결과와 사서의 인식조사 결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시사점과 대응 방안을 제안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컴퓨터과학 NCS 교육과정 (NCS Curriculum for Computer Science Major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정덕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65-267
    • /
    • 2018
  • 4차 산업혁명은 2016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의 주요 이슈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요구되는 IT융합 기술에는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모든 사물이 사이버 세계를 통하여 연결되어 정보를 수집하고 축적하며, 축적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기술 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IT융합 기술과 관련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여 산업체에서 필요한 실무적인 IT융합 인력 양성이 컴퓨터 관련학과의 주요 교육 내용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하나의 접근 방법으로 대두되는 것이 NCS 기반의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IT융합 인력의 양성이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IT융합 인력 양성을 위하여 컴퓨터과학 전공을 위한 NCS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분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