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4세대 이동 통신

Search Result 32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Review on the LTE Service Regulatory Issues (LTE 이동통신서비스의 규제이슈 검토)

  • MIn, Dae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10a
    • /
    • pp.505-508
    • /
    • 2012
  • LTE 이동통신서비스는 네트워크의 속도와 용량을 증가시킨 4세대 이동통신기술을 향항 3G 이동통신기술의 진화형 서비스로, 유럽주도로 개발된 GSM-WCDMA 기반기술로 발전된 서비스이다. 다만, 현재 국내에서 제공되고 있는 LTE는 3GPP에서 정하고 있는 4G 이동통신기술의 기술규격을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본격적인 4세대 이동통신(LTE-Advanced)과의 구별을 위해 3.9G 서비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LTE는 VoIP, 비디오 스트리밍, 음악 다운로드, mobile TV 등 다양한 응용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국내에서 제공되는 LTE는 음성서비스는 3G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성채널을 구성하고, 데이터 서비스만 LTE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지만, 향후에는 VoLTE 기술을 통해 음성서비스 제공하면서 LTE가 이동통신서비스의 주요 트랜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only LTE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현재의 법체계 하에서 몇몇 이슈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VoLTE 서비스의 역무 및 해당 통신사업자 지위문제이다. 현행 전기통신사업법에서는 VoIP인 인터넷전화에 대해서 PC를 이용하지 않고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기간통신역무로, PC를 통한 소프트폰 형식의 서비스에 대해서는 부가통신역무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기존 3G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인증 모듈(USIM)의 이동성 보장 여부로서, 현재의 법체계는 USIM 잠금장치 해제(USIM unlock)를 3G 이동통신에 대해서 적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LTE서비스에도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LTE 서비스의 기술적 특징과 다양한 법제도적 이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 PDF

차세대 이동통신에서의 스마트 안테나 기술

  • 홍준표;염재흥;이효진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3 no.4
    • /
    • pp.3-12
    • /
    • 2002
  • 차세대 이동 통신은 기존의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훨씬 높은 용량을 필요로 하는 고품질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므로 기지국의 용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스마트 안테나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스마트 안테나에 대한 논의가 IMT-2000 표준화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시간 적응 알고리즘을 장착한 스마트 안테나 제품들이 상용화되어 출시되고 있는 시점이다. 본고에서는 차세대 이동 통신 기술로 각광 받고 있는 스마트 안테나 기술의 개념, 스마트 안테나의 종류, 적응 신호 처리 알고리즘, 스마트 안테나의 IMT-2000 표준화 동향 그리고 적용 사례들을 기술하고자 한다.

4G 포럼-무선에서 1Gbps 꿈의 통신, 2010~2012년 상용서비스 예상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188
    • /
    • pp.18-25
    • /
    • 2007
  • 삼성전자가 주최하는'삼성 4G포럼'이 지난 8월 27일과 28일 이틀 간 서울 신라호텔에서 개최됐다. 삼성 4G포럼은 2005년 모바일 와이맥스(와이브로) 기술을 세계 최초로 선보였고, 지난해에는 세계 유수의 경쟁업체들을 크게 앞서는 4G 기술을 선보임으로써 차세대 통신기술의 발전상을 꿰뚫어볼 수 있는 행사로 자리를 잡고 있다. 올해 행사에서는 삼성전자가 주도하는 모바일 와이맥스뿐만 아니라, 3GPP LTE(Long Term Evolution), 3GPP2 UMB(Ultra Mobile Broadband) 등 ITU가 4G의 유력 후보 기술로 꼽은 3대 통신기술이 한자리에서 소개되고 기술개발 및 표준화 동향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돼 더욱 눈길을 끌었다. 4세대 이동통신, 즉'4G'란 이동 중 100Mbps, 정지 상태에서는 1Gbps급 속도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기술로, 지난 2005년 10월 ITU(국제전기통신연합)이'IMT-어드밴스트(advanced)'를 공식 명칭으로 결정한 바 있다. 하지만 현재의 3G와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세대의 통신 기술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여전히 4G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고 있다.

  • PDF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Cross-layer ARQ Mechanism Using Local Re-transmission Agent in Next Generation Mobile Networks (차세대 이동 망에서 지역 재전송 에이전트를 이용한 Cross-layer ARQ 메커니즘 설계 및 성능 평가)

  • So, Sang-Gp;Park, Man-Kyu;Lee, Jae-Yong;Kim, Byung-Chul;Kim, Dae-You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6 no.8
    • /
    • pp.50-58
    • /
    • 2009
  •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ave the technology of extensive form include basic service technology and it has been developed from the radio access technology and network topology. Not only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ave basically done new highspeed radio access technology which is suitable to high and low speed environment of transfer, but also it is possible that they have been made for freely vertical handover. ETRI also has made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WiNGS(Wireless Initiative for Next Generation Service) satisfied that demand. This paper is made by lossless handover method through the local retransmission ARQ agent that is one of the main technology of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Lossless handover method through local retransmission ARQ agent has been basically made by WiNGS and it was better than original local retransmission of layer by simulation.

Trends on 5G Communications (5G 통신 동향)

  • Kim, K.Y.;Lee, S.H.;Kim, Y.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1
    • /
    • pp.1-11
    • /
    • 2015
  • 10년 단위의 진화를 거듭해오던 이동통신은 2020년경 5세대 통신이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5G 통신은 4세대 이동통신에서 추구했던 서비스와 성능 목표를 넘어, 유무선의 장점을 수용하여 기존 서비스의 향상, 새로운 서비스 실현과 특수환경에서의 서비스 제공 등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5세대 통신으로 촉발된 사회 변화는 우리에게 위기이자 새로운 기회로 다가올 것이다. 세계는 5G 통신에 대한 비전, 요구사항 및 주요 요소 기술을 개발 중이다. 본고에서는 5세대 통신의 시장, 사용자, 트래픽 및 서비스 동향과 더불어 세계 각국 및 각 기관의 비전, 요구사항 및 기술동향을 소개한다. 현재 전 세계는 5세대 통신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으며, 협력과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5G 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해 세계 각국 및 각 기관의 동향 파악을 통한 대비가 필요하다.

  • PDF

IMT-2000 이후를 위한 소프트웨어 라디오 기술

  • 신요안;이원철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8 no.6
    • /
    • pp.92-110
    • /
    • 2001
  • Software Defined Radio(SDR) 기술은 첨단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과 고성능 디지털 신호처리 소자를 기반으로 하드웨어 수정 없이 모듈화된 소프트웨어 변경만으로 단일의 송수신 시스템을 통해 다수의 무선 통신 규격을 통합·수용하기 위한 무선 접속기반 기술이다. 여러 규격의 이종 복합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구성될 IMT-2000 이후의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응용 및 컨텐츠를 적절한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제공하고 네트워크들 간의 유연한 인터페이스를 보장하기 위해 재구성 가능한 SDR 개념 기반의 통신 플랫폼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근간이 될 SDR의 핵심 기술 및 주요 적용 가능 기술에 대하여 논한다.

  • PDF

Trends of Technology Developments for mmWave-based 5G Mobile Communications (밀리미터파 활용 5세대 이동통신 기술 개발 동향)

  • Hong, S.E.;Kim, I.K.;Bang, S.C.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6
    • /
    • pp.107-117
    • /
    • 2013
  • 최근 모바일 스마트 기가 및 서비스의 새로운 패러다임 진화에 따른 초연결(Hyper connection) 사회로의 진입과 빅데이터 출현으로 인해, 모바일 트래픽은 해마다 2배씩 증가하여 10년 뒤 1,000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처럼 급격히 증가하는 모바일 트래픽 증가로 인해 모바일 망 사업자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추가 주파수 확보가 제한된 기존의 4G 이동통신으로는 이러한 모바일 트래픽 폭증에 따른 1,000배 용량 증대를 수용할 수 없고, 따라서 광대역폭 확보가 가능한 밀리미터파 기반의 5세대 이동통신 기술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시작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비/저활용 되어 왔던 밀리미터파를 개척하여 5세대 이동통신 기술로 활용하는 기술 개발 동향을 살펴본다. 특히,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중추 네트워크 원전기술 개발 과제' 내용을 중점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IPv6/IPv4 Mobility Support Using DSTM Mechanism (DSTM 기술을 이용한 IPv6/IPv4 이동성 지원 메커니즘)

  • Lee, S.D.;Shin, M.K.;Kim, H.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0 no.5 s.95
    • /
    • pp.139-148
    • /
    • 2005
  • 본 논문은 MIPv6 망에서의 IPv6 이동 노드와 IPv4 망의 노드간의 DSTM 연동메커니즘을 이용한 이동성을 지원하는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MIPv6는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통신하는 단말이 모두 IPv6 노드인 환경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MIPv6 플랫폼을 IPv6/IPv4가 혼재된 망에서 사용할 때 바인딩 업데이트과정이 처리되지 않기 때문에 IPv6의 기본기능인 경로 최적화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삼각 라우팅 방식은 홈 에이전트 및 네트워크의 병목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DSTM의 경계 라우터의 기능을 확장하여 IPv4 망의 상대방 노드의 기능을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제안하고자 한다. 향후 새로운 차세대 망의 도입 시 기존의 망과의 이동성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IPv6 기반의 차세대 망의 도입을 고려할 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2G Switching System Maintanance and Switching System Improvement (2G 교환기 유지보수 업무와 향후 교환기 유지보수 업무 개선)

  • Kim Su-Hwan;Kim Hee-Dong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8a
    • /
    • pp.362-366
    • /
    • 2003
  • LG전자/정보통신에서는 날로 심화되고 있는 통신 경쟁 및 시장개방 환경 하에서 경쟁력 확보하고, 교환기 시스템이 운용자 및 가입자에게 다양하고 안정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교환기를 운용하기 위한 유지보수 작업을 꾸준히 추진 시행하고 있다. 향후 3세대 또는 4세대 이동통신으로 전환시 급속한 기술적 발전과 고객에 대한 마인드 변화로 인한 장비 제조업체의 보다. 경쟁력 있는 유지보수 방법이 적용 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2세대 이동통신망 교환기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수년간의 유지보수 경험을 토대로 이동통신망 교환기의 유지보수 중요성에 대하여 기술하고, 향후 이동통신망이 진화되는 과정에서 교환기 유지보수의 고려사항 및 효율적 유지보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Pv6 기본 개념 및 관련 기술의 이해

  • Kim, Pyeong-S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3
    • /
    • pp.94-104
    • /
    • 2015
  • 본 튜토리얼 논문에서는 최근 들어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기기 보급 확산으로 인한 모바일인터넷은 물론 사물인터넷 시대의 도래로 급격히 증가하는 인터넷 주소 수요로 인해 도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국내 외적으로 적용 확산을 위한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IPv6(IP version 6)의 기본 개념과 관련 기술을 표준화 및 논문연구를 중심으로 알기 쉽게 이해시키고자 한다. 첫 번째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 IPv4(IP version 4)와의 특징 비교와 주소 및 헤더를 통해 IPv6의 기본 개념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두 번째로, IPv4와 IPv6의 공존과정에서 IPv6의 연착륙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전환기술을 접근 방식과 세대별 분류를 통해 설명한다. 세번째로, 다양한 무선 환경에서의 이동단말의 연속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IPv6 이동성 기술을 중앙 집중형 및 분산형 관리 기반으로 나누어 소개한다. 네 번째로, IPv6 보안측면에서의 이슈를 다루고, 다섯 번째로로, 4세대 이동통신망(4G) 대비 10~1,000배의 연결 디바이스를 고려하고 있는 5세대 이동통신망(5G) 네트워크 환경에서 중요한 서비스로 간주되고 있는 사물인터넷 서비스에서의 IPv6의 역할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국내외에서 진행된 대표적인 IPv6 상용서비스 사례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