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T3-L1 Adipocyte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21초

Neuronatin Is Associated with an Anti-Inflammatory Role in the White Adipose Tissue

  • Ka, Hye In;Han, Sora;Jeong, Ae Lee;Lee, Sunyi;Yong, Hyo Jeong;Boldbaatar, Ariundavaa;Joo, Hyun Jeong;Soh, Su Jung;Park, Ji Young;Lim, Jong-Seok;Lee, Myung Sok;Yang, Yo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6호
    • /
    • pp.1180-1188
    • /
    • 2017
  • Neuronatin (NNAT) is known to regulate ion channels during brain development and plays a role in maintaining the structure of the nervous system. A previous in silico analysis showed that Nnat was overexpressed in the adipose tissue of an obese rodent model relative to the wild type. Therefor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Nnat in the adipose tissue. Because obesity is known to systemically induce low-grade inflammation, the Nnat expression level was examined in the adipose tissue obtained from C57BL/6 mice administered lipopolysaccharide (LPS). Unexpectedly, the Nnat expression level decreased in the white adipose tissue after LPS administration. To determine the role of NNAT in inflammation, 3T3-L1 cells overexpressing Nnat were treated with LPS. The level of the p65 subunit of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and the activity of $NF-{\kappa}B$ luciferase decreased following LPS treat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NAT plays an anti-inflammatory role in the adipose tissue.

약용작물 추출물을 첨가한 다진양념의 비만 억제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Chopped Sauce with Medicinal Plant Extracts)

  • 진종식;전용덕;소주련;;송영재;정흠공;서재빈;손효준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96-96
    • /
    • 2018
  • 본 연구는 항비만 기능성을 가지면서 맛과 향이 증진된 분말형 다진양념(다데기)을 개발하기 위해 첨가할 수 있는 약용작물들의 선정 및 그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오미자, 진피, 감초, 녹차엽 등을 첨가군으로 선정하여 각각의 시료들을 8시간, $80^{\circ}C$ 증류수에서 추출 후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뒤 마우스 유래 adipocyte (3T3-L1)에 처리하여 세포내 지방 축적 억제 정도를 실험하였다. 시료 처리 배양 5일 후 오미자, 진피, 감초, 녹차엽 추출물을 처리한 모든 군에서 대조군과 비교시 20% 이상 세포내 중성지방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오미자 군에서는 30% 이상 감소를 보였다. C57BL/6 생쥐를 이용하여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하면서 분말형 다진양념, 오미자, 진피, 감초, 녹차엽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뒤 체중증가를 조사한 결과 8주 후 고지방식이와 다데기만을 경구투여한 군은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여 체중감소경향만을 보였으나 분말형 다진양념과 추출물을 함께 경구투여한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체중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들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분말형 다진양념은 관능검사에서도 고춧가루 특유의 풋내를 감소시켜 향미가 증진되는 것으로 평가되어 오미자, 진피, 감초, 녹차엽을 첨가한 다양한 항비만 기능성 양념 개발이 기대된다.

  • PDF

Phosphatidylcholine과 Sodium Deoxycholate가 지방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Effect of Isolated Phosphatidylcholine and Sodium Deoxycholate for the Viability of Adipocyte)

  • 나은영;강조아;이중호;오득영;서제원;문석호;안상태;이종원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5호
    • /
    • pp.531-534
    • /
    • 2010
  • Purpose: Lipobean$^{(R)}$s, widely used in lipodissolving techniques, contain phosphatidylcholine and sodium deoxycholate as its main substances. They have been approved only as medication for liver disease by the FDA. However, they have been used under various clinical settings without exact knowledge of its action mechanism. The authors designed an in vitro study to analyze the effect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phosphatidylcholine and sodium deoxycholate on adipocytes and other types of cells. Methods: 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 were cultured and induced to differentiate into adipocytes. Fibroblasts extracted from human inferior turbinate tissue, and MC3T3-E1 osteoblast lines were cultured. Phosphatidylcholine solution dissolved with ethanol was applied to the culture medium at differing concentrations (1, 4, 7, 10 mg/mL). The sodium deoxycholate solution dissolved in DMSO applied to the medium at differing concentrations (0.07, 0.1. 0.4. 0.7 mg/mL). Cells were dispersed at a concentration of $5{\times}10^3$ cells/well in 24 well plates, and surviving cells were calculated 1 day after the application using a CCK-8 kit. Results: The number of surviving cells of adipocytes, fibroblasts and osteoblasts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sodium deoxycholate increased. However, all types of cells that had been processed in a phosphatidylcholine showed a cell survival rate of over 70% at all concentrations.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sodium deoxycholate is the more major factor in destroying adipocytes, and it is also toxic to the other cells. Therefore, we conclude that care must be taken when using Lipobean$^{(R)}$s as a method of reducing adipose tissue, for its toxicity may destroy other nontarget cells existing in the subcutaneous tissue layer.

Compound K의 인슐린분비 및 탄수화물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ound K on Insulin Secretion and Carbohydrate Metabolism)

  • 최윤숙;한기철;한은정;박금주;성종환;정성현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2호
    • /
    • pp.79-85
    • /
    • 2007
  • 진세노사이드의 인슐린 분비 활성을 비교해 본 결과 PPD 계열 진세노사이드가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CK의 인슐린 분비 촉진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CK는 RIN-m5F cell line과 일차 배양한 췌장 소도 세포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하였고 이러한 CK의 인슐린 분비 촉진 기전은 ATP-sensitive $K^+$ 채널의 봉쇄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H4IIE cell line에서 간 세포내 당신생과 관련된 효소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CK는 dexamethasone/cAMP에 의한 PEPCK 와 G6Pase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로 미루어 볼 때, CK는 간에서 당의 신생을 억제하여 공복 시 혈당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3T3-L1 cell line에서 TG의 함량과 $PPAR-{\gamma}$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CK는 $PPAR-{\gamma}$의 발현을 억제하여 결과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였다. 결론적으로 CK는 췌장에서 ATP-sensitive $K^+$ channel을 봉쇄함으로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키고 또한 간세포에서 당 신생을 억제함으로 식후 및 공복 시 혈당을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황정 에탄올 추출물의 비만 조절 유전자에 대한 효과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Polygonatum sibiricum rhizome on obesity-related genes)

  • 전우진;이도섭;손서연;서윤지;연승우;강재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84-391
    • /
    • 2016
  • 선행연구(12,13)에 따르면 10주간 ID1216을 투여한 비만 마우스에서 체중과 체지방이 감소하였고 이는 SIRT1-$PGC1{\alpha}$의 발현을 조절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SIRT1-PGC1{\alpha}-PPAR{\alpha}$의 하위 기전인 UCPs, ACO, aP2의 발현 조절에 ID1216이 영향을 미쳐 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추가로 확인한 것에 의미가 있다. 또한 10주간 ID1216을 투여한 비만 마우스의 혈액 분석 결과에서도 혈중 중성지방, LDL, HDL total cholesterol등의 혈중 지방질 수치가 개선됨과 동시에 free fatty acid의 농도는 감소하였는데 이는 ID1216이 HSL과 같은 지방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조절하여 중성지방의 분해과정에 관여하기는 하나 에너지 대사와 지방산 산화 과정에도 복합적으로 관여하여 최종적으로 나타내는 비만 대사 조절 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ID1216은 $SIRT1-PGC1{\alpha}-PPAR{\alpha}$ pathway를 촉진시켜 세포와 조직 수준에서 열발생(thermogenesis)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UCP1, UCP2, UCP3의 발현을 증가시켰고 ${\beta}$-oxidation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ACO와 aP2의 발현도 증가시켰으며 또한 지방분해(lypolysis)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ATGL과 HSL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나타내어 체지방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Upregulation of adiponectin by Ginsenoside Rb1 contributes to amelioration of hepatic steatosis induced by high fat diet

  • Li, Yaru;Zhang, Shuchen;Zhu, Ziwei;Zhou, Ruonan;Xu, Pingyuan;Zhou, Lingyan;Kan, Yue;Li, Jiao;Zhao, Juan;Fang, Penghua;Yu, Xizhong;Shang, Wenb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6권4호
    • /
    • pp.561-571
    • /
    • 2022
  • Background: Ginsenoside Rb1 (GRb1) is capable of regulating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through its action on adipocytes. However, the beneficial role of GRb1-induced up-regulation of adiponectin in liver steatosis remains unelucidated. Thus, we tested whether GRb1 ameliorates liver steatosis and insulin resistance by promoting the expression of adiponectin. Methods: 3T3-L1 adipocytes and hepatocytes were used to investigate GRb1's action on adiponectin expression and triglyceride (TG) accumulation. Wild type (WT) mice and adiponectin knockout (KO) mice fed high fat diet were treated with GRb1 for 2 weeks. Hepatic fat accumulation and function as well as insulin sensitivity was measured. The activation of AMPK was also detected in the liver and hepatocytes. Results: GRb1 reversed the reduction of adiponectin secretion in adipocytes. The conditioned medium (CM) from adipocytes treated with GRb1 reduced TG accumulation in hepatocytes, which was partly attenuated by the adiponectin antibody. In the KO mice, the GRb1-induced significant decrease of TG content, ALT and AST was blocked by the deletion of adiponectin. The elevations of GRb1-induced insulin sensitivity indicated by OGTT, ITT and HOMA-IR were also weakened in the KO mice. The CM treatment significantly enhanced the phosphorylation of AMPK in hepatocytes, but not GRb1 treatment. Likewise, the phosphorylation of AMPK in liver of the WT mice was increased by GRb1, but not in the KO mice. Conclusions: The up-regulation of adiponectin by GRb1 contributes to the amelioration of liver steatosis and insulin resistance, which further elucidates a new mechanism underlying the beneficial effects of GRb1 on obesity.

Adiponectin을 암호화하는 돼지 APM1 유전자의 염색체상 위치파악과 돌연변이 탐색 (Chromosomal Localization and Mutation Detection of the Porcine APM1 Gene Encoding Adiponectin)

  • 박응우;김재환;서보영;정기철;유성란;조인철;이정규;오성종;전진태;이준헌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537-546
    • /
    • 2004
  • APM1(adipose most abundant gene transcript 1)은 지방세포에서 분비된는 단백질로서 Adiponectin을 암호화하며 GBP-28, AdipoQ, Acrp30으로 불리워졌다. 이 유전자는 쥐의 16번 염색체 및 인간의 3번 염색체 q27 부위에 존재하며 지방의 대사 및 호르몬의 여러 과정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돼지에서 APM1과 양적형질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somatic cell hybrid panel과 radiation hybrid panel을 이용하여 염색체상의 위치를 밝혀냈다. 분석결과 이 유전자는 돼지 13번 염색체의 q41이나 q46-49에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RH pnael의 분석 결과, 이 APM1과 가장 연관이 된 marker는 SIAT1(LOD score 20.29)로 밝혀졌으며 이미 보고된 지방과 관련된 양적형질 유전자 좌위와 일치하였다. 8개의 다른 품종을 이용한 SSCP 분석으로, 한국재래돼지와 한국야생돼지에서 두 개의 특이한 SSCP 타입이 발견되었으며 sequence 분석결과 두 개의 염기가 치환(T672C and C705G)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유전자는 사람, 마우스, 소의 염기서열과 약 79-87%의 상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포유동물에서 밝혀진 signal sequence, hypervariable region, collagenous region, globular domain과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