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P model

검색결과 5,639건 처리시간 0.038초

활성탄에 의한 Brilliant Green과 Quinoline Yellow 염료의 흡착에 대한 등온선, 동력학, 열역학 및 경쟁흡착 (Isotherm, Kinetic, Thermodynamic and Competitive for Adsorption of Brilliant Green and Quinoline Yellow Dyes by Activated Carbon)

  • 이종집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9권4호
    • /
    • pp.565-573
    • /
    • 2021
  • 활성탄에 의한 Brilliant Green(BG), Quinoline Yellow(QY) 염료의 흡착에 대한 등온선, 동력학, 열역학적 특성치와 경쟁흡착을 흡착제의 양, pH, 초기농도, 접촉시간 및 온도를 변수로 하여 수행하였다. BG와 QY는 가지고 있는 atomic nitrogen 이온(N+)의 영향으로 pH 11에서 92.4%의 최고 흡착율을 나타내었고, QY는 sulfite 이온(SO3-)의 영향으로 pH3에서 90.9%의 최고 흡착률을 나타냈다. 등온흡착 데이터로부터, BG의 경우는 Freundlich 등온식에 잘 맞아서 다분자층 흡착이었고, QY는 Langmuir 등온식이 가장 높은 일치도를 나타내어 주로 단분자층흡착이었다. Freundlich 식과 Langmuir 식의 분리계수는 활성탄에 의해 이들 염료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공정임을 나타냈다. Temkin 등온식에 의해 평가된 흡착 에너지는 활성탄에 의한 BG와 QY의 흡착이 물리 흡착임을 확인시켰다. 동력학적 실험결과는 유사 이차 반응속도식이 유사일차 반응속도식보다 일치도가 높았고 평형흡착량에 대한 오차도 더 작았다. 입자내 확산식을 이용하여 도시한 그래프는 2단계의 직선으로 나타났는데 기울기가 낮은 입자내 확산이 율속단계임을 확인하였다. 흡착공정의 활성화 에너지와 엔탈피 변화는 흡착과정이 비교적 수월하게 일어나며 흡열반응임을 나타냈다. 엔트로피 변화는 활성탄에 대한 BG와 QY 염료의 흡착이 진행됨에 따라 흡착시스템의 무질서도가 증가함을 나타냈고, Gibbs 자유 에너지 변화로 부터 흡착반응이 온도가 높아질수록 자발성이 더 커진다는 것을 알았다. 혼합용액의 경쟁흡착 결과는 상대적으로 흡착률이 높은 QY가 BG에 의해 큰 방해를 받아 흡착률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격자기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 KIMSTORM의 개선(II) - 적용 및 분석 - (A Modified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ModKIMSTORM) (II) - Application and Analysis -)

  • 정인균;신형진;박진혁;김성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6B호
    • /
    • pp.709-72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격자기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 KIMSTORM을 개선한 ModKIMSTORM을 유역면적 $2,293km^2$의 남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공간해상도 500 m의 GIS 입력자료(DEM, 토지피복도, 유효토심도, 토양종류도 등)를 구축하였으며, 5개 태풍(2000년 사오마이, 2002년 루사, 2003년 매미, 2004년 메기, 2006년 에위니아) 및 2개 강우사상 (2003년 5월, 2004년 7월)을 적용하여 모형을 검보정하였다. 모형의 자동평가 기능을 이용하여 모의유량을 실측유량과 비교하였으며, 유역의 출구지점에 대한 매개변수 보정결과 결정계수($R^2$), 모형효율(E), 유출용적편차($D_v$), 첨두유량의 상대오차 ($EQ_p$), 첨두시간의 절대오차($ET_p$)의 평균은 각각 0.984, 0.981, 3.63%, 0.003, 0.48 hr로, 검정에서는 $R^2$, E, $D_v$, $EQ_p$, $ET_p$의 평균이 각각 0.937, 0.895, 8.08%, 0.138, 0.73 hr로 분석되었다. 매개변수와 관련하여 초기토양수분함량이 유출용적에 민감하였고, 하천조도계수가 첨두유량에 가장 민감한 변수로 나타났다. 호우기간동안의 공간적인 결과로부터 수문학적 요소의 작용을 살펴봄으로써 호우시 유역관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접착 보강된 노치 균열판의 응력확대계수 산정을 위한 비등매개변수 모델 기반의 3차원 가상균열닫힘법 (Three-Dimensional Virtual Crack Closure Technique Based on Anisoparametric Model for Stress Intensity Factors of Patch Repaired Plates with Cracks at Notches)

  • 안재석;우광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1A호
    • /
    • pp.39-4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V형 노치 및 반원형 노치 균열을 갖는 패치보강 적층판의 응력확대계수 산정을 위하여 수치해석적 방법을 사용한다. p-수렴 비등매개변수 모델이 고려되고, 이와 같은 비등매개변수 모델의 결과를 활용한 3차원 가상균열닫힘법에 대한 식이 표현된다. 1차원 로바토 함수로부터 확장된 3차원 계층적 형상함수를 가지고서, 임의의 요소에서의 변위장의 변위-변형률 관계와 3차원 구성방정식이 표현된다. 원형경계의 기하형상을 나태내기 위해 초유한사상기법을 사용한다. 응력집중계수, 응력분포, 자유도, 그리고 무차원 응력확대계수 등의 항목에 대해서, 제안된 모델의 정확도와 단순성이 기존의 결과들과의 비교를 통해 설명된다. 균열 적층판의 폭, 높이, 노치근입부의 반경, V형 노치의 경사각, 균열길이 등의 변화에 따른 응력확대계수가 산정된다.

모형식품의 열확산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rmal Diffusivity of Model Foods)

  • 장규섭;김동만;김재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4-30
    • /
    • 1986
  • 전분, 단백질 및 수분으로 주로 구성된 한국의 일반 식품과 유사한 모형식품을 이들 세가지 주성분을 조합하여 만들었으며, 이 모형식품의 열확산도를 측정하고 주성분과의 관계를 구명하였다. 모형식품의 열확산도는 수분함량에 비례하는 경향이었고, 동일 수분함량에서는 전분질식품이 단백질 식품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성분간의 교호작용은 유의석이 인정되지 않았다. 측정치와 계산치간의 오차는 잔여율이 3.60%로서 부함도가 높았다. 모형식품에서 열확산도와 수분함량, 단백질 및 전분함량과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즉, ${\alpha}20^{\circ}C$ = 0.04911M+0.37355P+3.73072, ${\alpha}60^{\circ}C$ = 0.05353M-0.4766P+4.15136, 이식을 이용한 산술치와 측정치간의 상관계수는 $20^{\circ}C$에서 $0.9650^{**}$, $60^{\circ}C$에서 $0.9002^{**}$로 고도의 유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청각 EPR의 내외생적 요소들과 성격의 상관에 관한 연구 (Correlations of Exogenous and Endogenous Components of Auditory ERPs to Psychometric Measures of Personality)

  • Park, Chang-Bum;Lee, Ji-Young;Chi, Sang-Eun;Park, Eun-Hye;Lee, Young-Hyuk;Kim, Hyun-Teak
    • 감성과학
    • /
    • 제5권4호
    • /
    • pp.59-66
    • /
    • 2002
  • 본 실험은 청각 사상관련전위(ERP)를 이용하여 다양한 성격 특질 모형들의 생물학적 근거와, 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설계되었다. 48명의 대학생 피험자들에게 4가지 성격 측정 검사(NEO-Pl-R, EPQ-R, BIS/BAS 척도, IVE)를 시행하고, 이어 두 종류의 청각 자극 세트(50㎳와 300㎳)를 이용한 오드볼 과제를 통해 ERP를 측정하였다. 설문지 간의 상관과, 설문지와 ERP 내외생적 구성 요소 간의 상관, 그리고 그 상관의 두피 분포 양상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각 성격 검사의 외향성 척도에 해당한다 할 수 있는 E, E, BAS-FUN은 양성 모두에서 높은 수준의 설문지 척도 간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50㎳ 자극으로 유발된 P3 진폭은 E와 BAS-FUN에 대해서만 유의하게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Eysenck의 모델과 일견 일치하는 결과이지만, 그가 개발한 EPQ-R의 외향성 척도(E)보다는 오히려 다른 척도들이 뇌파에 반영된 성격의 생물학적 기제를 측정하기 위한 적절한 도구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신경증적 경향성을 반영하는 N과 N 척도는 50㎳ 자극에 대한 여성 피험자의 N1, P2 진폭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두 척도에 등가적인 것으로 예상되었던 BIS 척도는 설문지 간 상관이나 ERP요소와의 상관에서 모두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Eysenck가 성격의 세 번째 축(차원)으로 제시했던 P(정신병적 경향성) 역시 여성 피험자들에게서 두드러지는 설문지간 상관을 보였으나, 300㎳자극에 대한 P2 진폭과의 정적인 상관은 양성을 합한 자료에서만 발견되었다. 여성의 상관 분포는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였으나, 양성 자료의 분포와 유사함이 확인되었다 이 실험의 결과는 P3 진폭과 외향성 간의 부적인 상관 관계를 보고하였던 기존 연구들을 지지한다. 또한 본 실험에서 확인된 Eysenck 모델의 신경증적 경향성이나 정신병적 경향성이 ERP의 비교적 초기에 나타나는 외생적 구성 요소들(Nl, P2)과의 상관 양상은, P3 요소에 집중하였던 기존 연구들이 외향성 이외의 차원으로 일관된 결과를 얻어내지 못했던 이유를 설명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성격 차원과 그것을 지표 하는 ERP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해석할 때에 성별이나 유발 자극의 속성을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 PDF

CCDC26 Gene Polymorphism and Glioblastoma Risk in the Han Chinese Population

  • Wei, Xiao-Bing;Jin, Tian-Bo;Li, Gang;Geng, Ting-Ting;Zhang, Jia-Yi;Chen, Cui-Ping;Gao, Guo-Dong;Chen, Chao;Gong, Yong-Ku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8호
    • /
    • pp.3629-3633
    • /
    • 2014
  • Background: Glioblastoma (GBM) is an immunosuppressive tumor whose median survival time is only 12-15 months, and patients with GBM have a uniformly poor prognosis. It is known that heredity contributes to formation of glioma, but there are few genetic studies concerning GBM. Materials and Methods: We genotyped six tagging SNPs (tSNP) in Han Chinese GBM and control patients. We used Microsoft Excel and SPSS 16.0 statistical package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SNP Stats to test for associations between certain tSNPs and risk of GBM in five different models. ORs and 95%CIs were calculated for unconditional logistic-regression analysis with adjustment for age and gender. The SHEsis software platform was applied for analysis of linkage disequilibrium, haplotype construction, and genetic associations at polymorphism loci. Results: We found rs891835 in CCDC26 to be associated with GBM susceptibility at a level of p=0.009. The following genotypes of rs891835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GBM risk in four different models of gene action: i) genotype GT (OR=2.26; 95%CI, 1.29-3.97; p=0.019) or GG (OR=1.33; 95%CI, 0.23-7.81; p=0.019) in the codominant model; ii) genotypes GT and GG (OR=2.18; 95%CI, 1.26-3.78; p=0.0061) in the dominant model; iii) GT (OR=2.24; 95%CI, 1.28-3.92; p=0.0053) in the overdominant model; iv) the allele G of rs891835 (OR=1.85; 95%CI, 1.14-3.00; p=0.015) in the additive model. In addition, "CG" and "CGGAG" were found by haplotype analysis to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GBM risk. In contrast, genotype GG of CCDC26 rs6470745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GBM risk (OR=0.34; 95%CI, 0.12-1.01; p=0.029) in the recessive model. Conclusions: Our results, combined with those from previous studies, suggest a potential genetic contribution of CCDC26 to GBM progression among Han Chine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기능적 용량 설명모형 (An Explanatory Model on Functional Capacity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방소연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52-663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test an explanatory model on functional capacity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using path analysi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49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s using 6-minute walk test, measurement of oxygen saturation, pulmonary function test, an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June to October, 200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2.0 program and AMOS/WIN 4.0 program. Results: The overall fitness indices of modified model were good($x^2$ = 14.324, p = .281 GFI = .981, RMSEA = .006, AGFI = .944, NFI = .927, NNFI = .999, CFI = .999, PNFI = .613, $x^2$/df = 1.194). Functional capacity was influenced directly by age(${\beta}$ = -.304, p = .000), dyspnea(${\beta}$ = -.278, p = .000), self-efficacy(${\beta}$ = .240, p = .000), social support(${\beta}$ = .175, p = .004), pulmonary function(${\beta}$ = .169, p = .008), and oxygen saturation(${\beta}$ = .099, p = .048). These variables explained 39.3% in functional capacity.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prehensive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focus on decreasing dyspnea and increasi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oxygen saturation. In this perspective, pulmonary rehabilitation would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improving functional capacity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PDF

WRF/HYSPLIT 모델을 이용한 고리원전 인근 국지바람 패턴에 따른 방사성물질 대기확산 특성 (Atmospheric Dispersion of Radioactive Material according to the Local Wind Patterns around the Kori Nuclear Power Plant using WRF/HYSPLIT Model)

  • 안혜연;강윤희;송상근;방진희;김유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1-96
    • /
    • 2015
  • The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dispersion of radioactive material (i.e. $^{137}Cs$) related to local wind patterns around the Kori nuclear power plant (KNPP) were studied using WRF/HYSPLIT model. The cluster analysis using observed winds from 28 weather stations during a year (2012) was performed in order to obtain representative local wind patterns. The cluster analysis identified eight local wind patterns (P1, P2, P3, P4-1, P4-2, P4-3, P4-4, P4-5) over the KNPP region. P1, P2 and P3 accounted for 14.5%, 27.0% and 14.5%, respectively. Both P1 and P2 are related to westerly/northwesterly synoptic flows in winter and P3 includes the Changma or typhoons days. The simulations of P1, P2 and P3 with high wind velocities and constant wind directions show that $^{137}Cs$ emitted from the KNPP during 0900~1400 LST (Local Standard Time) are dispersed to the east sea, southeast sea and southwestern inland,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s, 5 sub-category of P4 have various local wind distributions under weak synoptic forcing and accounted for less than 10% of all. While the simulated $^{137}Cs$ for P4-2 is dispersed to southwest inland due to northeasterly flows, $^{137}Cs$ dispersed northward for the other patterns. The simulated average 137Cs concentrations of each local wind pattern are $564.1{\sim}1076.3Bqm^{-3}$. The highest average concentration appeared P4-4 due to dispersion in a narrow zone and weak wind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s, the lowest average concentration appeared P1 and P2 due to rapid dispersion to the sea. The simulated $^{137}Cs$ concentrations and dispersion locations of each local wind pattern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ocal wind conditions.

방사선이 조사된 세포막 모델이 물질의 능동수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active transport of cell membrane model which irradiated by radiation)

  • 고인호;여진동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103-110
    • /
    • 2011
  • 방사선이 조사된 세포막 모델에서 $K^+$$Na^+$의 능동전달 효과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 실험에 사용된 세포막 모델은 스티렌과 디비닐벤젠의 슬폰화 혼성중합막이다. 이온의 초기플럭스는 양쪽의 $H^+$ 이온농도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실험범위 pH $0.5^{-3}$에서 방사선이 조사되지 않은 막의 $K^+$의 초기 플럭스는 $7.9{\times}10^{-4}\;-7.49{\times}10^{-3}mole/cm^2{\cdot}h$이고 $Na^+$의 초기 플럭스는 $10.6{\times}10^{-4}\;-7.68{\times}10^{-3}mole/cm^2{\cdot}h$이다. 방사선이 조사된 막의 $K^+$의 초기 플럭스는 $35.0{\times}10^{-4}\;-42.4{\times}10^{-3}mole/cm^2{\cdot}h$ 이고 $Na^+$의 초기 플럭스는 $52.0{\times}10^{-4}\;-43.3{\times}10^{-3}mole/cm^2{\cdot}h$이다. 막은 $K^+$를 선택하였고 $K^+/Na^+$의 비는 약 1.1이다. 조사된 막의 pH의 구동력은 조사되지 않은 막보다 약 3-4배 정도 유의 있게 증가하였다. 세포막 모델의 $K^+$$Na^+$의 능동전달이 비정상적이기 때문에 세포장해가 세포에서 나타나게 된다.

치과용 모형 스캐너의 지대치 중첩 과정이 최종 가상 모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butment superimposition process of dental model scanner on final virtual model)

  • 유범영;손큰바다;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03-210
    • /
    • 2019
  • 목적: 본 연구는 치과용 모형 스캐너를 이용하여 단일 전장관과 3본 고정성의치 모형을 스캔하는 과정에서 지대치의 중첩 과정이 최종 가상 모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 하였다. 재료 및 방법: 평가를 위해 단일 전장관과 3본 고정성의치를 위한 석고 모형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Pindex system을 이용하여 핀 작업된 모형을 제작하였다. 기준 스캔 데이터(CAD Reference Model)와 실험 스캔 데이터(CAD Test Model)를 획득하기 위해서 치과용 모형 스캐너(E1, 3Shape A/S, Copenhagen, Denmark)를 이용했다. 기준 스캔 데이터는 지대치를 분할한 후 탈착하지 않고 스캔하였다. 그리고 실험 스캔 데이터는 분할된 지대치를 분리하여 스캔 후, 기준 스캔 데이터에 중첩되었다(n = 20). 마지막으로 3차원 검사 소프트웨어(release 2018.0.0; Geomagic control X; 3D Systems)를 이용하여 root mean square (RMS)를 분석하였고, 통계 분석은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였다 (${\alpha}=.05$). 결과: 단일 전장관 지대치의 RMS 평균은 $10.93{\mu}m$, 3본 고정성의치 지대치의 RMS 평균은 $6.9{\mu}m$가 나왔다. 두 그룹의 RMS 평균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줬다 (P < .001). 또한 두 그룹의 양(positive)과 음(negative)의 오류는 단일 전장관 지대치는 $9.83{\mu}m$, $-6.79{\mu}m$, 3본 고정성의치 지대치는 $6.22{\mu}m$, $-3.3{\mu}m$의 평균값이 나왔다. 두 그룹의 양과 음의 오류 평균값은 통계적으로 모두 3본 고정성의치 지대치가 단일 전장관 지대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P < .001). 결론: 핀 작업된 모형의 스캔 과정에서 지대치의 개수가 증가하여도 지대치의 중첩에 의한 오류는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단일 전장관 지대치에서 유의하게 높은 오류를 보였지만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스캔 정확도의 범위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