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M $Petrifilm^{TM}$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8초

식품내의 미생물 분리를 위한 dryfilm 방법의 평가연구

  • 하상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8-184
    • /
    • 1996
  • Dryfilm method by using 3M Petrifilm$^{TM}$ has been examined to replace conventional agar method for isolation of microorganisms from foods.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valuate suitability of dryfilm method as a microbial isolation method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timicrobial agent on dryfilm for isolation of microorganisms from foods. Five different foods, milk, ground beef, fishery surimi, Takju and wheat flour were used to isolate the natural microflora in foods and the inoculated Escheri chia coli. Standard method agar (SMA, Difco) and Petrifilm$^{TM}$ aerobic count (PAC, 3M) were used to isolate total microorganisms from foods. Violet red bile agar (VRBA), brilliant green lactose bile (BGLB) broth and Petrifilm$^{TM}$ coliform count (PCC, 3M) were used to isolate coliforms from foods. E. coli broth (EC broth) and Petrifilm$^{TM}$ E. coli count (PEC, 3M) were used to isolate E. coli from foods. Acidified potato dextrose agar (APDA) and Petrifilm$^{TM}$ yeast & mold count (PYMC, 3M) were used to isolate yeasts and molds from foods. Total aerobic plate counts isolated from five different foods by SMA and PAC (3M) were riot significantly different each other at P<0.05 level and were highly correlated each other ($\geq$0.96). Mugwort extract as an antimicrobial agent did not affect microbial enumeratiion of Dryfilm.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coliform colonies were formed on VRBA than PCC (3M) from ground beef, but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liform colonies from milk samples. PCC (3M) and BGLB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enumeration of coliforms in milk and beef samples.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E. coli were isolated by EC broth than PEC from ground beef, but these were not significontly different for enumeration of E. coli from milk. Yeast and mold counts isolated from Takju and wheat flour by APDA and PYMC (3M)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level. These data indicate that dryfilm method by using 3M Petrifilm$^{TM}$ can be successively used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agar method for enumeration of microorganisms in various foods.

  • PDF

축·수산·전통식품 중 황색포도상 구균의 정량적 분석을 위한 PetrifilmTM Staph Express Count Plate의 성능 평가 (Efficiency of PetrifilmTM Staph Express Count Plate for the Enumer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in Meat, Fishery Product, and Korean Traditional Foods)

  • 유윤정;최유나;최승호;방현조;윤요한;하지명;이수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09-315
    • /
    • 2019
  • 본 연구는 식품으로부터 S. aureus를 분리하는 데 사용되는 선택배지들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먼저 BPA와 MSEY agar의 민감도 비교를 통해 BPA를 선택하였고, 이 배지의 회수율을 $3M^{TM}$ $Petrifilm^{TM}$ Staph Express Count Plate(STX petrifilm)의 회수율과 비교하였다. 축산식품 중 돼지고기 주물럭과 육회용 꾸릿살, 수산식품 중 쥐포와 반건조 오징어, 전통식품 중 떡과 잡채를 선정하여 S. aureus를 접종한 후 BPA와 STX Petrifilm 배지를 사용하여 회수율 분석 실험을 실시하였다. 6가지 식품에 대해 인위적으로 S. aureus를 저농도에서부터 고농도까지 접종한 후 0시간과 24시간 후의 검출률을 측정하였다. 두 배지 간의 유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식품의 종류, 접종 농도에 관계없이 두 선택배지 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따라서 STX Petrifilm은 BPA를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지의 준비 및 도말에 소요되는 분석시간을 절감하고 배양에도 최소한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신속, 정확한 분석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전통식품 중 미생물 분석을 위한 건조필름법 평가 (Evaluation of Dry Rehydratable Film Method for Enumeration of Microorganisms in Korean Traditional Foods)

  • 김관식;배은경;하상도;박영서;목철균;홍관표;김상필;박지용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09-216
    • /
    • 2004
  • 우리나라 전통식품인 김치, 된장, 고추장, 간장. 탁주, 식혜, 수정과에 있는 미생물 분석을 위하여 건조필름법과 전통적인 미생물 분석법을 비교하였다. 일반세균 분석에는 plate count agar 법과 $Petrifilm^{TM}$ aerobic count plate 법을 비교하였고, 대장균군과 대장균의 분석에는 most probable number (MPN) 법과 $Petrifilm^{TM}$ coliform count plate 및 $Petrifilm^{TM}$ E. coli/colmfom count plate 법을 각각 비교하였으며, 효모와 곰팡이의 분석에는 potato dextrose agar 법과 $Petrifilm^{TM}$ yeast and mold count plate 법을 비교하였다. 황색포도상구균의 분석에는 coagulase 시험법과 $Petrifilm^{TM}$ Staph express fount plate 법을 비교하였다. 두 방법간의 상관계수는 일반세균이 0.974-0.998, 대장균군이 0.955-0.978, 대장균이 0.968-0.986, 효모와 곰팡이가 0.913-0.995, 황색포도상구균이 0.998-0.999로 두 방법간의 상관성이 매우 높았으며, 평균 미생물수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이러한 결과로부터 건조필름법이 기존의 전통적인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미생물 분석법임이 확인되었다.

축.수산식품 중 미생물 분석을 위한 건조필름법 평가 (Evaluation of Dry Rehydratable Film Method for Enumeration of Microorganisms in Meat, Dairy and Fishery Products)

  • 조미희;배은경;하상도;박영서;목철균;홍관표;김상필;박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94-300
    • /
    • 2005
  • 식품의 안전성 평가에 사용되는 주요 지표 미생물들의 검출 시험법 중에서 전통적인 미생물 시험법과 신속 검출법인 건조 필름법에 의한 미생물 시험법 간의 유효성 관계를 국내 특정 축 수산식품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축 수산식품 중 어묵, 게맛살, 아이스크림, 우유, 햄 시료에 대하여 두 가지 미생물 시험법을 각각 실시하였다. 일반 세균수 분석에는 plate count agar법과 $Petrifilm^{TM}$ aerobic count plate법을 비교하였고, 대장균군과 대장균의 분석에는 most probable number(MPN)법과 $Petrifilm^{TM}$ coliform count plate 및 $Petrifilm^{TM}$ E. coli/coliform count plate법을 각각 비교하였으며, 효모와 곰팡이의 분석에는 potato dextrose agar법과 $Petrifilm^{TM}$ yeast and mold count plate법을 비교하였다. 황색포도상구균의 분석에는 coagulase 시험법과 $Petrifilm^{TM}$ staph express count plate법을 비교하였다. 5가지 축 수산식품에 대한 두 방법들간 상관계수는 일반세균이 $0.990{\sim}0.999$, 대장균군이 0.979-0.987, 대장균이 0.978-0.984, 효모와 곰팡이가 0.975-0.999, 황색포도상구균이 0.999로 두 방법간 상관성이 매우 높았으며, 평균 미생물 수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건조필름법이 기존의 전통적인 시험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미생물 분석법임이 확인되었다.

황색포도상구균 분리배지 비교 (Comparison of Four Different Isolation Media for Staphylococcus aureus)

  • 오민희;강성일;홍상필;오세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06-611
    • /
    • 2009
  • 황색포도상구균 분리에 사용되고 있는 난황첨가 만니톨 식염한천배지, Baird-Parker 한천평판배지, Baird-Parker 한천평판배지(RPF) 및 Petrifilm에 대하여 성능 비교실험을 실시하였다. 민감도는 30종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하여 분리배지의 특징적인 콜로니를 형성하는 비율로 측정하였는데 Baird-Parker 한천평판배지(RPF)> Petrifilm> Baird-Parker 한천평판배지> 난황첨가 만니톨 식염한천배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황색포도상구균이 아닌 균주를 이용하여 측정한 선택성은 4종 분리배지 모두 위양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인위적으로 접종한 식품에서의 회수실험은 4종 배지 모두 회수 효율이 비슷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수산건제품에서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추정되는 콜로니를 분리하여 4종 배지에서 위양성, 위음성 발현여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황색포도상구균 이외의 대부분 분리균주에서는 위양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S. carnosus ssp carnosus의 경우 난황첨가 만니톨 식염한천배지, Baird-Parker 한천평판배지와 Petrifilm에서 위양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Baird-Parker 한천평판배지(RPF)에서는 위양성 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실험에 공시된 배지 중에서는 선택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Evaluation of the $HApS^{TM}$ Method for the Enumeration of Aerobic Microorganisms and Coliforms in Retailed Meat Samples in Korea

  • Keun-Seok Seo;Wonki Bae;So-Hyun Kim;Nam-Hoon Kwon;Ji-Yeun Kim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4-199
    • /
    • 2001
  • 국내에서 시판중인 230점(돈육샘플80점, 계육샘플 80점, 우육샘플 70점)의 식육 샘플에 대하여 미생물 오염수준 측정시 표준방법으로 통용되는 AOAC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의 standard total aerobic count method 및 coliform count method와 국내에서 개발된 HApS$^{TM}$ (Hazard Analysis process System) method를 비교하였다. 돈육, 계육, 우육을 샘플군으로 하여 총세균수 및 대장균수를 표준방법과 HApS$^{TM}$방법으로 각각 측정하여 그 두 방법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선형회귀분석 및 t-검정법의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각 샘플군에서의 두 방법간의 상관계수(r) 및 회귀직선식을 얻었고, 각 샘플군에서 두 방법에 의한 각각의 표본평균이 주어진 유의수준($\alpha$=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본 실험에 사용된 샘플에 대하여 표준방법과 HApS$^{TM}$ 방법간의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표준방법에 비하여 실험시간 및 실험방법에서 신속성 및 간편성을 지니는 HApS$^{TM}$방법은 축산식품의 총세균 및 대장균군 오염도 측정시에 표준방법을 대신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보육시설급식소의 HACCP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적 품질평가 II. 비가열조리 공정을 중심으로 (Microbiological Quality Evaluation for Implementation of a HACCP System in Day-Care Center Foodservice Operations II. Focus on Non-Heating Process)

  • 민지혜;이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8호
    • /
    • pp.722-731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non-heat-processed foods for implementation of a HACC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system in day-care center foodservice operations. The evaluating points were microbial assessment of foods, utensils, and employee's hands during preparation, cooking, and serving. The temperature of non-heated food being served was also measured. Microbiological quality was assessed using 3 M Petrifilm/syp TM/ to measure total plate count and coliforms for food and utensils and Staphylococcus aureus for hands in five Gumi day-care centers. Results showed low microbiological quality of non-heated foods. This was probably due to contaminated raw ingredients and cross-contamination that occurred during preparation and cooking (e.g., unsatisfactory washing and disinfection of raw materials and utensi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essential to educate employees on good personal hygiene (hand washing) , prevention of cross-contamination through use of properly washed and sanitized utensils, and proper washing and disinfection of raw vegetables. Establishing Sanitatio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SSOPs) are an essential part of any RACCP system in day-care center foodservice operations.

해양 플랑크톤 군집의 전기분해 염소소독 효과 (The Electrochemical Chlorination for Marine Plankton Community Disinfection)

  • 강정훈;신경순;현봉길;장민철;김은찬;장만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27-137
    • /
    • 2007
  • 전기분해 염소소독기로 처리한 결과가 국제해사기구의 협약에서 제시한 생물처리 기준(D-2 regulation)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박테리아, 식물플랑크톤($10-50\;{\mu}m$) 및 동물플랑크톤($>50\;{\mu}m$)의 사멸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조건은 대조구와 잔류염소농도 10 ppm(Expt. 1)과 30 ppm(Expt. 2)을 실험구로 설정하였고, 시험수를 $23.8\;m^3/hr$의 속도로 전기분해염소독기에 통과시켰다. 시험수의 생물조건은 국제해사기구에서 작성된 선박 평형수 관리 장치의 승인을 위한 지침서에서 제시한 기준을 따랐다. 식물플랑크톤의 생사판별은 광학현미경, 형광현미경 및 형광측정기(Turner Designs 10-AU)를 이용하여 확인되었다. 두 농도 조건(10 ppm, 30 ppm)의 처리수에서 운동성이 있는 식물플랑크톤은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았고, 형광현미경 하에서 엽록소 형광색이 적색에서 녹색으로 바뀌었으며, 형광값은 고농도(Expt. 1: 6.95, Expt. 2: 7.11)에서 0으로 바뀌었다. 이는 식물플랑크톤의 활성이 상실되어 모두 사멸되었음을 의미한다. 동물플랑크톤의 생사판별은 해부현미경하에서 부속지의 움직임을 토대로 결정되었다. 전기분해 염소소독기 처리 후 해양환경에서 채집되어 농축된 자연군집 동물플랑크톤은 모두 사멸되었으나, 일부 Artemia가 생존하였다. 그러나 각 잔류염소 농도조건의 암소에서 노출시킨 지 24시간 뒤에는 모든 동물플랑크톤이 사멸되었다. 박테리아는 Petrifilm plates($3M^{TM}$)를 이용한 접종배양법으로 처리수의 총 세균, 대장균 군 및 대장균의 사멸효과를 확인한 결과, 균주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각 염소농도 조건의 처리수에서 추가적으로 노출시킨 5일 동안 세 그룹의 생물에서 재성장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세 그룹의 생물에 대한 전기분해염소소독기 처리결과가 국제해사기구에서 제정한 선박 평형수 배출기준을 만족시켰음을 보여주었다.

  • PDF

Analysis of Microbial Contamination and Antibacterial Effect Associated with Toothbrushes

  • Kim, Ji-Hyang;Kim, Da-Ae;Kim, Hee-Soo;Baik, Ji-Yeon;Ju, So-Hee;Kim, Seol-Hee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296-30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method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oothbrush contamination. Toothbrush microbial contamina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oothbrush use, frequency of toothbrush use per day, and toothbrush storage location. We also analyzed the microbial reduction effect of vinegar, antimicrobial mouth rinse, bamboo salt, and baking soda, which are sterilization materials that can be easily used every day. We collected 45 toothbrushes from university dormitories from May to June 2018. To determine the degree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with general bacteria, coliform bacteria, and Staphylococcus aureus, bristle samples were cultured at $36^{\circ}C$ for 24 hours using 3M$^{TM}$ Petrifilm plates and then measured based on Petrifilm evaluation criteria. Toothbrush microorganism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use, frequency of use per day, storage location, and effect of each sterilization material. General bacteria, coliforms, and S. aureus contamination increased with frequency and duration of use (p<0.05). In particular, S. aureu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to 36.15 CFU/ml after 1 month, 504.23 CFU/ml after 2 months, and 2,386.67 CFU/ml after 3 months (p<0.05). We found that 1% vinegar was the most effective substance for reducing general bacteria, coliforms, and S. aureus. In addition, 1% antimicrobial mouth rinse solution applied for 5 minutes was the most effective in reducing S. aureus. It is crucial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oothbrush care and store toothbrushes in a dry place and replace them periodically. We recommend use of vinegar and antimicrobial mouth rinse solution to disinfect toothbrushes. These should be applied as a 1% solution for at least 1 minute. Proper care of toothbrushes is important in maintaining oral health as well as overall health. Instructions on toothbrush care should be given when teaching children or adults how to brush teeth.

보육시설급식소의 HACCP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적 품질평가 I. 가열조리 및 가열조리후 처리 공정을 중심으로 (Microbiological Quality Evaluation for Implementation of a HACCP System in Day-Care Center Foodservice Operations I. Focus on Heating Process and After-Heating Process)

  • 민지혜;이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8호
    • /
    • pp.712-721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heating and after-heating processed foods for implementation of a HACCP system in day-care center foodservice operations. The evaluating points were microbial assessment and temperature of foods during receiving, cooking, and serving in heating process. In non-heating process, in addition to monitoring microbial assessment of food during preparation, cooking, and serving steps, the microbial populations of employees' hands and utensils and serving temperature were also evaluated. Microbiological quality was assessed using 3M Petrifilm$^{TM}$ to measure total plate count and coliforms for foods and utensils and Staphylococcus aureus for hands in five Gumi day-care centers.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for foods and utensils is summarized as follows. Microbiological quality of the heating processed foods was satisfactory for cooking and serving step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food was above 74$^{\circ}C$. However, temperature control before the serving step was not achieved due to inappropriate time management between the cooking and serving steps. In the after-heating process, the total plate counts of boiled mungbean sprouts salad, blanched spinach salad, com vegetable salad were below the standard at the serving step. The majority of samples showed that coliforms exceeded the norm, which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the cross-contamination from utensi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essential to educate employees on the importance of hand washing and of avoiding cross-contamination by using clean, sanitized equipment to serve food in the after-heating process. Establishing Sanitatio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SSOPs) is an essential part of any HACCP system in day-care center foodservice op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