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GPP

검색결과 745건 처리시간 0.028초

MODIS 광합성유효복사흡수율과 WRF 기상자료를 이용한 북한지역의 총일차생산성 추정 (The Estimation of Gross Primary Productivity over North Korea Using MODIS FPAR and WRF Meteorological Data)

  • 도나영;강신규;명수정;천태훈;이지혜;이종범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5-226
    • /
    • 2012
  •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MODIS GPP 자료는 육상식생의 총일차생산성(GPP) 모니터링에 중요한 수단을 제공한다. 그러나 GPP 추정의 입력자료로 사용하는 DAO기상자료의 거친 공간해상도($1.25^{\circ}{\times}1^{\circ}$)와 FPAR 자료의 구름영향에 의한 신뢰도 저하 등은 지역 수준의 GPP 모니터링에 문제를 야기한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지역을 대상으로 FPAR의 구름영향 제거하고 고해상도(3 km${\times}$3 km) WRF 기상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입력자료의 문제를 개선한 GPP를 추정한 후, 2000-2008년 간의 GPP 연간 변동특성 및 지역적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개선한 GPP는 2000년의 645 $gC\;m^{-2}\;y^{-1}$에서 2008년의 863 $gC\;m^{-2}\;y^{-1}$까지 변화하였고, 혼효림지역이 1,076 $gC\;m^{-2}\;y^{-1}$으로 가장 큰 값을 보였다. NASA GPP (790 $gC\;m^{-2}\;y^{-1}$)에 비해 FPAR 개선 후 GPP가 증가하였고(861), WRF 자료 이용 시 감소(710), FPAR와 WRF 자료 이용 시 다소 증가(809)하는 양상을 보였다. 개선효과는 북한에서 제일 큰 면적을 차지한 혼효림에서 가장 뚜렷하였다(+10.2%). 한편 WRF 기상자료가 DAO에 비해 지형적 영향을 보다 잘 반영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선한 GPP의 공간이질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피복유형별 연간변동성을 분석한 결과 개선한 GPP는 NASA GPP와 상이한 연간변화를 보였다. 위 결과들을 종합하면, 북한 등의 지역수준의 GPP 모니터링을 목적으로할 경우, 입력자료의 개선에 의한 MODIS GPP를 재산출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3GPP의 ARQ를 위한 threshold에 의존하는 점유량 조절 방식 (Threshold-dependent Occupancy Control Schemes for 3GPP's ARQ)

  • 신우철;박진경;하준;최천원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23-135
    • /
    • 2005
  • 3GPP는 RLC 프로토콜 명세서에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타 전송을 위해 window에 의해 조절되는 selective-repeat ARQ 방식을 채택하였다. 3GPP의 ARQ는 selective-repeat ARQ 부류에 속하므로 재정렬 문제가 불가피하게 야기된다. 긴 재정렬 시간은 throughput 및 지연 성능의 열화를 빚어내고 재정렬 버퍼의 범람을 불러올 수 있다. 또한 데이타의 상실 및 지연에 모두 민감한 서비스의 요구 조건을 수용하기 위해 재정렬 시간은 반드시 통제되어야 한다. 3GPP ARQ에서 window의 크기나 상태 보고 주기를 줄여 재정렬 버퍼의 점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throughput 및 지연 성능이 저하되고 역방향 채널의 자원이 잠식된다. 재정렬 버퍼의 점유량을 줄이는 동시에 throughput 및 지연 성능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논문에서는 post-threshold 방식과 pre-threshold 방식이라는 threshold에 의존하는 점유량 조절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의 효과성을 판단하기 위해 fading 채널 등 실제적인 환경에서 최고 점유량, 최대 throughput, 평균 지연을 조사한다. 모의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방식이 점유량과 throughput 간에 trade-off를 불러옴을 관찰한다. 또한 post-threshold 방식은 3GPP의 ARQ와 비교하여 재정렬 버퍼의 점유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throughput 및 지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한다.

  • PDF

LTE-Advanced 주요 표준화 동향

  • 윤영우
    • 정보와 통신
    • /
    • 제26권12호
    • /
    • pp.3-18
    • /
    • 2009
  • 본 고에서는 현재 3GPP 무선 접속 표준화에 대한 기술 논의의 중심에 서 있는 LTE-Advanced 기술에 대한 주요 표준화 동향에 대하여 살펴본다. LTE-Advanced 표준 기술은 3GPP에서 LTE 표준 기술의 후속 기술로 개발 중인 표준 기술이며,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국제 표준인 IMT-Advanced 표준 가운데 하나가 될 것이 확실한 표준 기술이다. ITU-R에서는 IMT-Advanced 표준 제정을 위한 일정 및 표준 요구 사항 등을 정의하였으며, 3GPP에서는 이러한 ITU-R의 표준 일정에 맞추면서 IMT-Advanced 표준을 위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기술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IMT-Advanced 표준에 대한 표준 일정 및 요구 사항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에 대응하여 3GPP에서 진행 중인 LTE-Advanced 표준화 진행 동향에 대하여 살펴본다.

3GPP-MAC 알고리즘에 대한 Concrete Security (Concrete Security of the 3GPP-MAC Algorithm)

  • 성재철;이상진;임종인;홍도원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1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20-25
    • /
    • 2001
  • 블록 암호 알고리즘과 블록 암호의 운영모드 및 메시지 인증 알고리즘에 대한 의사 난수성의 증명은 근래의 암호 분석에서 구조적인 안전성을 증명을 위한 기법으로 커다란 안전성의 평가 방법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동기식(W-CDMA) 3세대 이동통신 3GPP에서의 MAC 알고리즘의 안전성을 의사 난수성에 기반한 concrete security 관점에서의 안전성에 대해 알아본다. 즉, 3GPP-MAC 알고리즘의 구조적인 안전성에 대한 증명을 다룬다.

  • PDF

3GPP TSG RAN WG 2의 표준화 동향 분석 (Standardization Trends of 3GPP TSG RAN WG 2)

  • 최지혁;송평중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6권6호통권72호
    • /
    • pp.126-132
    • /
    • 2001
  • WCDMA 비동기 방식의 IMT-2000 규격 정립을 위해, 3GPP의 여러 실무 그룹에서 Release ’99, Release ’4 및 Release ’5에 대한 표준화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UTRA 프로토콜의 계층 2와 3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는 3GPP TSG RAN WG 2의 규격의 표준화 현황 및 새로이 규격에 반영될 기술들에 대해 살펴본다.

3GPP-WLAN 연동을 위한 EAP-AKA에서의 키 생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key generation in EAP-AKA for 3GPP-WLAN interworking)

  • 박미애;김용희;김창범;이옥연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3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351-35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3GPP-WLAN 연동 보안에 필수인 EAP-AKA를 기반으로 한 인증/재인증의 개요와 인증 진행 부분에서 협상되는 마스터 세션 키 생성과 EAP AKA 패킷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키 생성에 관하여 설명하고, EAP-AKA 과정에서 생성되는 키의 안전성을 분석하고, EAP-AKA를 사용하는 3GPP-WLAN 연동의 효율성 및 고려사항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All IP 망 구조연구 (A Study on Phased Migration Architecture to All IP Networks to support Mobile Multimedia Services)

  • 김도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459-1462
    • /
    • 2002
  •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와 3GPP2 등의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는 초기 IMT-2000 망 구조로부터 All IP 망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3GPP와 3GPP2를 중심으로 All IP 망의 기존에 제시된 All IP 망의 진화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PSTN/ISDN 연동, VoIP, Mobile IP 등과 같은 새로운 기술, 기존회선 모드 단말기 수용 등을 고려한 All IP 진화 시나리오에 따른 단계별 망 구조를 제시한다.

  • PDF

3G 네트워크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화한 효율적인 인증 메커니즘 (An Efficient Authentication Mechanism Strengthen the Privacy Protection in 3G Network)

  • 전서관;오수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5049-5057
    • /
    • 2010
  • 이동통신 기술 및 다양한 서비스 개발로 모바일 사용자들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작하는 모바일 서비스들은 불법적인 변조, 도청, 신분위장 등 다양한 보안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3GPP에서는 안전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증과 키 동의를 수행하는 3GPP-AKA 표준을 제정하였다. 그러나 3GPP-AKA 프로토콜은 관련 연구들을 통해 sequence number 동기화 문제, false base station을 이용한 공격, 프라이버시 문제 등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3G 네트워크에서 프라이버시를 강화한 효율적인 인증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인증 기법에서는 타임스탬프를 사용하여 기존의 3GPP 인증 방식에서 발견된 sequence number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고, 비밀토큰을 이용하여 프라이버시 관련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하나의 인증벡터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SN과 HLR 사이의 대역폭 소비 문제와 SN의 인증 데이터 오버헤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3GPP-WLAN 연동을 위한 QoS 표준화 동향 (Trends of QoS Standardization for 3GPP-WLAN Interworking)

  • 노광현;권혜연;박애순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1권3호통권99호
    • /
    • pp.100-108
    • /
    • 2006
  • 최근 높은 이동성을 제공하는 3G 이동통신시스템과 저렴하고 빠른 무선 인터넷을 제공하는 Wireless LAN간의 연동에 의한 무선 인터넷의 상용화가 눈앞에 다가왔다. 이와 함께 전송 속도 및 대역폭 등의 서로 다른 무선 특성을 가진 이질망간의 연동으로 서비스 절단 및 열화와 같은 서비스 품질(QoS) 보장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비동기 방식의 3GPP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기반 서비스들이 이미 엄격한 QoS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IEEE 802.11 기반의 WLAN에서는 IEEE 802.11e를 중심으로한 표준화가 최근 마무리중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3GPP 시스템 구조작업반인 SA WG2에서는 Release 7 기반의 문서인 TR 23.836을 중심으로 3GPPWLAN연동을 위한 QoS 및 정책(policy)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최근 진행되고 있는 TR 23.836 문서를 중심으로 3GPP-WLAN 연동을 위한 QoS 보장에 대한 고려사항 및 표준화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3GPP MTC 표준화 동향 -RAN1 중심으로 (Trends of 3GPP MTC Standardization-Focused on RAN1)

  • 오돈성;김일규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7권3호
    • /
    • pp.143-152
    • /
    • 2012
  • 본고에서는 Machine Type Communications(MTC) 표준화 동향을 소개한다. MTC는 사람이 개입하지 않는 상태에서 기기 및 사물 간에 일어나는 통신이라고 정의하고 있고, 사물의 이동성, 도서, 산간, 해양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서비스 지역, 네트워크의 운영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 신뢰도 높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보안, 그리고 서비스 품질 보장 등을 고려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사물통신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M2M(Machine to Machine) 개념 및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도출한 응용 분야를 기술하고, 이어서 3GPP MTC 표준화 일정을 살펴보고, 현재까지의 주요 표준 문서의 작성 내용 중 MTC 요구사항의 정의와 구조 모델의 정의, 과부하 제어를 위한 표준화가 주된 내용으로 2011년 9월에 완성된 Release 10 NIMTC(Network Improvements for MTC) 내용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현재 3GPP RAN(Radio Access Network)1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작성하고 있는 저가의 MTC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기술보고서의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