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GPP

Search Result 74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Estimation of Gross Primary Productivity over North Korea Using MODIS FPAR and WRF Meteorological Data (MODIS 광합성유효복사흡수율과 WRF 기상자료를 이용한 북한지역의 총일차생산성 추정)

  • Do, Na-Young;Kang, Sin-Kyu;Myeong, Soo-Jeong;Chun, Tae-Hun;Lee, Ji-Hye;Lee, Chong-Bum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8 no.2
    • /
    • pp.215-226
    • /
    • 2012
  • NASA MODIS GPP provides a useful tool to monitor global terrestrial vegetation productivity. Two major problems of NASA GPP in regional applications are coarse spatial resolution ($1.25^{\circ}{\times}1^{\circ}$) of DAO meteorological data and cloud contamination of MODIS FPAR product. In this study, we improved the NASA GPP by using enhanced input data of high spatial resolution (3 km${\times}$3 km) WRF meteorological data and cloud-corrected FPAR over the North Korea. The improved GPP was utiliz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GPP interannual variation and spatial patterns from 2000 to 2008. The GPP varied from 645 to 863 $gC\;m^{-2}\;y^{-1}$ in 2000 and 2008, respectively. Mixed forest showed the highest GPP (1,076 $gC\;m^{-2}\;y^{-1}$). Compared to NASA GPP (790 $gC\;m^{-2}\;y^{-1}$);FPAR enhancement increased GPP (861) but utilization of WRF data decreased GPP (710). Enhancements of both FPAR and meteorological input resulted in GPP increase (809) and the improvement was the greatest for mixed forest regions (+10.2%). The improved GPP showed better spatial heterogeneity reflecting local topography due to high resolution WRF data. It is remarkable that the improved and NASA GPPs showed distinctly different interannual variations with each other. Our study indicates improvement of NASA GPP by enhancing input variables is necessary to monitor region-scale terrestrial vegetation productivity.

Threshold-dependent Occupancy Control Schemes for 3GPP's ARQ (3GPP의 ARQ를 위한 threshold에 의존하는 점유량 조절 방식)

  • Shin, Woo-Cheol;Park, Jin-Kyung;Ha, Jun;Choi, Cheon-Won
    • Journal of IKEEE
    • /
    • v.9 no.2 s.17
    • /
    • pp.123-135
    • /
    • 2005
  • 3GPP RLC protocol specification adopted a window-controlled selective-repeat ARQ scheme for provisioning reliable data transmission. Inevitably, the re-ordering issue arises in the 3GPP's ARQ since it belongs to the selective-repeat ARQ clan. A long re-ordering time results in the degradation of throughput and delay performance, and may invoke the overflow of the re-ordering buffer. Also, the re-ordering time must be regulat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some services which are both loss-sensitive and delay-sensitive. In the 3GPP's ARQ, we may deflate the occupancy of the re-ordering buffer by reducing the window size and/or length of the status report period. Such a decrease, however, deteriorates the throughput and delay performance and encroaches the resource of the reverse channel. Aiming at reducing the occupancy at the re-ordering buffer while suppressing the degradation of throughput and delay performance, we propose threshold-dependent occupancy control schemes, identified as post-threshold and pre-threshold schemes, as supplements to the 3GPP's ARQ. For judg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chemes, we investigate peak occupancy, maximum throughput and average delay in the practical environment involving fading channels. From the simulation results, we observe that the proposed schemes invoke the performance trade-off between occupancy and throughput in general. Also, we reveal that the post-threshold scheme is able to improve the throughput and delay performance of the ordinary 3GPP's ARQ without inflating the occupancy of the re-ordering buffer.

  • PDF

LTE-Advanced 주요 표준화 동향

  • Yun, Yeong-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12
    • /
    • pp.3-18
    • /
    • 2009
  • 본 고에서는 현재 3GPP 무선 접속 표준화에 대한 기술 논의의 중심에 서 있는 LTE-Advanced 기술에 대한 주요 표준화 동향에 대하여 살펴본다. LTE-Advanced 표준 기술은 3GPP에서 LTE 표준 기술의 후속 기술로 개발 중인 표준 기술이며,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국제 표준인 IMT-Advanced 표준 가운데 하나가 될 것이 확실한 표준 기술이다. ITU-R에서는 IMT-Advanced 표준 제정을 위한 일정 및 표준 요구 사항 등을 정의하였으며, 3GPP에서는 이러한 ITU-R의 표준 일정에 맞추면서 IMT-Advanced 표준을 위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기술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IMT-Advanced 표준에 대한 표준 일정 및 요구 사항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에 대응하여 3GPP에서 진행 중인 LTE-Advanced 표준화 진행 동향에 대하여 살펴본다.

Concrete Security of the 3GPP-MAC Algorithm (3GPP-MAC 알고리즘에 대한 Concrete Security)

  • 성재철;이상진;임종인;홍도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0-25
    • /
    • 2001
  • 블록 암호 알고리즘과 블록 암호의 운영모드 및 메시지 인증 알고리즘에 대한 의사 난수성의 증명은 근래의 암호 분석에서 구조적인 안전성을 증명을 위한 기법으로 커다란 안전성의 평가 방법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동기식(W-CDMA) 3세대 이동통신 3GPP에서의 MAC 알고리즘의 안전성을 의사 난수성에 기반한 concrete security 관점에서의 안전성에 대해 알아본다. 즉, 3GPP-MAC 알고리즘의 구조적인 안전성에 대한 증명을 다룬다.

  • PDF

Standardization Trends of 3GPP TSG RAN WG 2 (3GPP TSG RAN WG 2의 표준화 동향 분석)

  • Choi, J.H.;Song, P.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6 no.6 s.72
    • /
    • pp.126-132
    • /
    • 2001
  • WCDMA 비동기 방식의 IMT-2000 규격 정립을 위해, 3GPP의 여러 실무 그룹에서 Release ’99, Release ’4 및 Release ’5에 대한 표준화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UTRA 프로토콜의 계층 2와 3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는 3GPP TSG RAN WG 2의 규격의 표준화 현황 및 새로이 규격에 반영될 기술들에 대해 살펴본다.

Study on key generation in EAP-AKA for 3GPP-WLAN interworking (3GPP-WLAN 연동을 위한 EAP-AKA에서의 키 생성에 관한 연구)

  • 박미애;김용희;김창범;이옥연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3.12a
    • /
    • pp.351-35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3GPP-WLAN 연동 보안에 필수인 EAP-AKA를 기반으로 한 인증/재인증의 개요와 인증 진행 부분에서 협상되는 마스터 세션 키 생성과 EAP AKA 패킷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키 생성에 관하여 설명하고, EAP-AKA 과정에서 생성되는 키의 안전성을 분석하고, EAP-AKA를 사용하는 3GPP-WLAN 연동의 효율성 및 고려사항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A Study on Phased Migration Architecture to All IP Networks to support Mobile Multimedia Services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All IP 망 구조연구)

  • Kim, Do-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1459-1462
    • /
    • 2002
  •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와 3GPP2 등의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는 초기 IMT-2000 망 구조로부터 All IP 망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3GPP와 3GPP2를 중심으로 All IP 망의 기존에 제시된 All IP 망의 진화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PSTN/ISDN 연동, VoIP, Mobile IP 등과 같은 새로운 기술, 기존회선 모드 단말기 수용 등을 고려한 All IP 진화 시나리오에 따른 단계별 망 구조를 제시한다.

  • PDF

An Efficient Authentication Mechanism Strengthen the Privacy Protection in 3G Network (3G 네트워크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화한 효율적인 인증 메커니즘)

  • Jeon, Seo-Kwan;Oh, Soo-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12
    • /
    • pp.5049-5057
    • /
    • 2010
  • A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developed and variety of services to mobile devices are provided, mobile users is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However, mobile services running o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are exposed to various security threats, such as illegal tampering, eavesdropping, and disguising identity. Accordingly, the secure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s to 3GPP were established that the standard for 3GPP-AKA specified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But in the standard, sequence number synchronization problem using false base station attack and privacy problem were discovered through related research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authentication mechanism for enhanced privacy protection in the 3G network. We solve the sequence number synchronization existing 3GPP authentication scheme using timestamp and strengthen a privacy problem using secret token. In addition, the proposed scheme can improve the bandwidth consumption between serving network and home network and the problem of authentication data overhead for the serving network because it uses only one authentication vector.

Trends of QoS Standardization for 3GPP-WLAN Interworking (3GPP-WLAN 연동을 위한 QoS 표준화 동향)

  • Ro, K.H.;Kwon, H.Y.;Park, A.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1 no.3 s.99
    • /
    • pp.100-108
    • /
    • 2006
  • 최근 높은 이동성을 제공하는 3G 이동통신시스템과 저렴하고 빠른 무선 인터넷을 제공하는 Wireless LAN간의 연동에 의한 무선 인터넷의 상용화가 눈앞에 다가왔다. 이와 함께 전송 속도 및 대역폭 등의 서로 다른 무선 특성을 가진 이질망간의 연동으로 서비스 절단 및 열화와 같은 서비스 품질(QoS) 보장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비동기 방식의 3GPP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기반 서비스들이 이미 엄격한 QoS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IEEE 802.11 기반의 WLAN에서는 IEEE 802.11e를 중심으로한 표준화가 최근 마무리중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3GPP 시스템 구조작업반인 SA WG2에서는 Release 7 기반의 문서인 TR 23.836을 중심으로 3GPPWLAN연동을 위한 QoS 및 정책(policy)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최근 진행되고 있는 TR 23.836 문서를 중심으로 3GPP-WLAN 연동을 위한 QoS 보장에 대한 고려사항 및 표준화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Trends of 3GPP MTC Standardization-Focused on RAN1 (3GPP MTC 표준화 동향 -RAN1 중심으로)

  • Oh, D.S.;Kim, I.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3
    • /
    • pp.143-152
    • /
    • 2012
  • 본고에서는 Machine Type Communications(MTC) 표준화 동향을 소개한다. MTC는 사람이 개입하지 않는 상태에서 기기 및 사물 간에 일어나는 통신이라고 정의하고 있고, 사물의 이동성, 도서, 산간, 해양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서비스 지역, 네트워크의 운영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 신뢰도 높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보안, 그리고 서비스 품질 보장 등을 고려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사물통신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M2M(Machine to Machine) 개념 및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도출한 응용 분야를 기술하고, 이어서 3GPP MTC 표준화 일정을 살펴보고, 현재까지의 주요 표준 문서의 작성 내용 중 MTC 요구사항의 정의와 구조 모델의 정의, 과부하 제어를 위한 표준화가 주된 내용으로 2011년 9월에 완성된 Release 10 NIMTC(Network Improvements for MTC) 내용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현재 3GPP RAN(Radio Access Network)1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작성하고 있는 저가의 MTC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기술보고서의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