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GPP

Search Result 74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3GPP망과 non-3GPP망과의 버티컬 핸드오버 기술

  • Mun, Jeong-Mo;Im, Seon-Hwa;Kim, Jae-Ho;Lee, Sang-Ho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2
    • /
    • pp.16-22
    • /
    • 2009
  • 본고에서는 3GPP망과 비(non) 3GPP망과의 연동 과 핸드오버를 위한 표준화 동향과 망 구조에 대하여 기술한다. 3CPP망에서 무선랜망과의 연동을 위한 구조에 대해 살펴보고 3G LTE(Long Term Evolution)망에서 비 3GPP망과의 핸드오버를 위한 기본 요구 사항, 프로토콜 구조, 망 구조 및 핸드오버 절차에 대해서 알아본다.

HSPA/HSPA+ Terminal Signal Measurement Algorithm and Software (HSPA/HSPA+ 단말 신호 측정 알고리즘 및 소프트웨어)

  • Cho, Tae-Kyu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
    • /
    • v.60 no.1
    • /
    • pp.37-44
    • /
    • 2011
  • HSPA(High Speed Packet Access)/HSPA+ is a combined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standard of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The standard can provide the high speed multimedia service against the 3GPP release 99 standard. In order to test the 3GPP HSPA/HSPA+ terminal performance, the measurement hardware is required for the evaluate the transmitted signal of HSPA/HSPA+ terminals. Agilent Technologies and Innowireless produce the measurement equipments for HSPA/HSPA+ terminals. Generally speaking, the receiving algorithms in normal modems cannot be used directly to the measurement system due to the lack of the algorithm accuracy.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new receiver algorithm for precise measurement of 3GPP HSPA/HSPA+ terminal signal, and implement measurement functionality for performance measurement of the 3GPP HSPA/HSPA+ terminal by using software. The proposed 3GPP HSPA/HSPA+ signal measurement algorithm can be used for the commercial system through code execution speed optimization.

Analysis about 3GPP network domain security (3GPP NDS 표준안 분석)

  • 김건우;장구영;류희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1.11a
    • /
    • pp.64-68
    • /
    • 2001
  • 3GPP NDS에 관한 연구나 표준화 제정 현황은 아직까지 활발히 이루어지고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다양한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서비스 제공자의 핵심망에 대해 전적으로 신뢰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유선구간에서의 정보보호도 역시 무선구간 만큼이나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3GPP 유선구간에서의 정보보호를 위한 3GPP의 최신 표준안을 분석한 것이다. 아직 stage 3 스팩까지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stage 2 수준의 표준은 현재 활발히 진행중이다.

  • PDF

IPv6 address allocation scheme in 3GPP network supporting IETF specification (IETF규격을 만족하는 3GPP네트워크에서의 IPv6주소 적용 방법)

  • 유재필;김기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595-597
    • /
    • 2003
  • 유럽지역에서의 현재 및 차세대 이동통신의 규격화를 추진하고 있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경우, 부족한 단말의 주소 및 네트워킹의 향상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IPv6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IPv6 자체의 규격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진행하고 있는데, 현재 상황의 경우 3GPP에서 IPv6할당의 규격은 IETF의 규격과 완전호환이 되어 있지않아 IETF가 권고안을 마련한 상태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태에서 IETF의 권고안을 만족하는 3GPP네트워크에서의 IPv6주소 할당 방식을 제안한다.

  • PDF

3GPP RAN과 3GPP2 TSG-C의 표준화 현황과 3G 무선 규격의 진화 방향

  • 김학성;윤영우;오민석;최진성;연철흠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2 no.9
    • /
    • pp.138-163
    • /
    • 2005
  • 2세대 이동통신의 본격적인 상용화 이후, 보다 향상된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ITU는 IMT-2000이라고 불리는 복수의 국제 무선 규격을 2000년에 승인하였으며 이을 통칭하여 3G(Third Generation) 이동통신 시스템이라고 부르고 있다. 특히 여러 3G 기술 표준들 가운데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와 3GPP2(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라는 양대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완성된 UMTS와 cdma20()0 @ 시스템은 현재 일본, 유럽, 미국, 국내 등지에서 본격적인 상용 서비스를 시행 또는 준비 중에 있다. 초기 3G 표준의 제정 이후, 각 표준화 기구들은 상향과 하향 링크의 양방향 모두에서의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무선 성능 향상, IP 네트워크를 위한 구조의 진화, 향상된 서비스 등을 목표로 하여 3G 무선 규격에 대한 성능 향상 및 진화를 위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해 왔으며 또한 현재에도 진행 중에 있다. 최근에 이르러3GPP에서는 장기적 관점에서 향후 시스템의 진화 (Long-Term Evolution: LTE) 방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3GPP2 TSG-C에서도 진화 방향에 대한 논의가 구체화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 에서는 3GPP/3GPP2 표준화 동향 및 각 표준화 단체의 최종 진화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방향성을 가늠해 본다.

Advanced Receiver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3GPP LTE-A (3GPP LTE-A에서의 진화된 간섭 제거 수신기)

  • Hwang, Jin-Yup;Lee, Sang-Woo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9A no.7
    • /
    • pp.389-397
    • /
    • 2014
  • This paper focuses on advanced receiver for interference suppression or cancellation from neighbor cells in the 3GPP Rel-12 standard. From UE (User Equipment) perspective, the advanced receiver which can manage inter-cell interference of adjacent cell is required to support and manage fast-growing wireless data traffic. In 3GPP standard, NAICS which is one of approaches to improve SINR and receiver performance by directly suppression or cancellation of data (PDSCH) and control (PDCCH) signal from interference cells is discussed. In this paper, we briefly introduce the concept and candidate receivers for NAICS (Network Assisted Interference Cancellation and Suppression) based on 3GPP Rel-12 standard, and simulation results for basic NAICS receiver performance are provided.

Technical Trend and Improvement of Congestion Control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in 3GPP LTE-A Systems (3GPP LTE-A 시스템에서의 M2M 통신을 위한 혼잡 제어 기술 동향 및 개선 방안)

  • Kim, Jae-Hyun;Kim, Seog-Gyu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3 no.11
    • /
    • pp.487-494
    • /
    • 2014
  • This paper focuses on an advanced congestion control scheme for M2M(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in 3GPP LTE-A standard. A large number of MTC(Machine-type-Communication) devices try to access to LTE-A networks and send data to the networks all at once. In this characteristics, M2M communications will bring the serious network congestion problems into LTE-A cellular networks. To solve this critical problem, a congestion control mechanism will be required and it has been studied since Rel-10 LTE-A systems based on backoff mechanism for mobility management and session management. In this paper, we briefly introduce the main concept and operation about the congestion control scheme in 3GPP LTE-A standard. Also, simulation results for the basic congestion control and advanced congestion control scheme in MTC communication environment are provided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is considered in future 3GPP LTE-A standard.

An analysis on the S-boxes of block ciphers in 3GPP (3GPP 블록 암호의 S-box 안전성 분석)

  • 장구영;강주성;이옥연;정교일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1 no.4
    • /
    • pp.67-75
    • /
    • 2001
  • 3GPP proposed f8 and f9 algorithms based on the block cipher KASUMI to provide the data confidentiality and integrity over a radio access link for IMT-2000(W-CDMA). Also 3GPP proposed Milenage algorithm based on the block cipher Rijndael to provide an example set for 3GPP authentication and key generation func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security of 3GPP algorithms, we must go ahead an analysis of security of KASUMI and Rijndael. Since S-box is an important point of security of block cipher,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S-boxes of KASUMI and Rijndael and compare the S-boxes of KASUMI with the S-box of Rijndael. Although KASUMI S9-box is bad for AC and SAC, we find that AC of KASUMI FI function containing S7-box and S9-box is equal to AC of Rijndael S-box and SAC of KASUMI FI function is better than SAC of Rijndael S-box.

Analysis of the IP Spoofing Attack Exploiting Null Security Algorithms in 5G Networks

  • Park, Tae-Keun;Park, Jong-Geun;Kim, Keew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9
    • /
    • pp.113-120
    • /
    • 2022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feasibility of the IP spoofing attack exploiting null security algorithms in 5G networks based on 3GPP standard specifications. According to 3GPP standard specifications, the initial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is not protected by encryption and integrity. The IP spoofing attack exploits the vulnerability that allows a malicious gNB (next generation Node B) to modify the contents of the initial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of a victim UE (User Equipment) before forwarding it to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If the attack succeeds, the victim UE is disconnected from the 5G network and a malicious UE gets Internet services, while the 5G operator will charge the victim U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feasibility of the IP spoofing attack by analyzing whether each signaling message composing the attack conforms to the 3GPP Rel-17 standard specifica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determined that the IP spoofing attack is not feasible in the 5G system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3GPP Rel-17 standard specifications.

HSPA Evolution

  • Lee, Yeong-Y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3
    • /
    • pp.87-96
    • /
    • 2007
  • HSPA는 HSDPA 및 HSUPA를 통합하여 일컫는 3GPP 기술로 하향 링크에서는 HSDPA를 상향 링크에서는 HSUPA를 사용하여 기존 DCH만을 사용하는 3GPP Release 99 시스템 대비 더 효율적인 고속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HSDPA는 3GPP Release 5 기술로서 2002년 3월 첫 표준이 승인되었으며 단말의 무선 환경에 따라 변조 및 코딩기법을 변화시키는 AMC, 물리 계층을 통해 빠른 재전송을 지원하는 HARQ,단축된 2ms TTI 그리고 Node-B 기반의 고속 스케줄링을 통해 무선망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하향 링크에서 최대 14.4Mbps를 제공한다. HSUPA는 3GPP Release 6 기술로서 2004년 6월 첫 표준이 승인되었으며 HSDPA에 도입한 기술들 중에서 AMC를 제외한 모든 기술을 적용하여 상향 링크에서 최대 5.76Mbps를 제공한다. HSPA Evolution(eHSPA 또는 HSPA+)은 HSPA의 성능 개선을 통해 3GPP Release 8 기술인 LTE로의 자연스러운 진화를 보장하기 위한 3GPP Release 7 기술로 2006년 3월 TSG RAN #31 회의에서 승인되었다. 본 고에서는 최근 표준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HSPA Evolution에서 최근까지 승인된 각 계층별 요소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