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sound reproduction system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18초

3차원 오디오 시스템에서 합과 차 여파기를 이용한 새로운 광대억 간섭신호 제거 방법 (A New Robust Acoustic Crosstalk Cancellation Method with Sum and Difference Filter in 3D Audio System)

  • 김래훈;임준석;성굉모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7-21
    • /
    • 2001
  • 현재 라우드스피커를 이용하는 3차원 오디오 시스템에서의 간섭신호를 제거함으로써 최적 청취 영역 (sweet spot)을 넓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들은 간섭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주파수가 제한되어 최적 청취 영역 형성이 제한되는 단점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특히, 저주파 대역의 간섭신호를 제거하지 못하는 본질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시스템보다 훨씬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간섭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광대역 간섭신호제거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세 개의 라우드스피커를 이용한 방법에 합과 차 여파기를 적용하였다.

  • PDF

기적음관련 해양사고 분석.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 (Analysis and Evaluation Simulation System for Whistle Sound Related Marine Casualty)

  • 임정빈;김창경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67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인간(해기사)의 두 귀에 주목한 머리전달함수(HRTF)를 이용하여, 기적음과 관련된 해양사고를 분석-평가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3D-LSS)을 개발하였다. 해양사고당시 상황을 분석해서 가청화 모델을 구축하고, 3차원음 생성방법과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은 CUI 방식의 그래픽과 3차원 음향으로 해양사고 당시의 상황을 묘사하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3D-LSS을 이용하여, 해양사고 중에서 기적음 청취여부를 판단하지 못했던 6가지 사건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5명의 평가자에 의한 심리음향평가결과, 6가지 사건을 시각적 청각적으로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었기 때문에 3D-LSS의 해양사고 심판보조 장치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기적음관련 해양사고 분석·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alysis and Evaluation Simulation System for Whistle Sound Related Marine Casualty)

  • 임정빈;김창경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659-666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인간(해기사)의 두 귀에 주목한 머리전달함수(HRTF)를 이용하여, 기적음과 관련된 해양사고를 분석-평가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3D-LSS)을 개발하였다. 해양사고당시 상황을 분석해서 가청화 모델을 구축하고, 3차원음 생성방법과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은 GUI 방식의 그래픽과 3차원 음향으로 해양사고 당시의 상황을 묘사하고, 시뮬레이션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3D-LSS을 이용하여, 해양사고 중에서 기적음 청취여부를 판단하지 못했던 6가지 사건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5명의 평가자에 의한 심리음향 평가결과, 6가지 사건을 시각적 청각적으로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었기 때문에 3D-LSS의 해양사고 심판보조 장치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Cross-talk Cancellation Algorithm for 3D Sound Reproduction

  • Kim, Hyoun-Suk;Kim, Poong-Min;Kim, Hyun-Bin
    • ETRI Journal
    • /
    • 제22권2호
    • /
    • pp.11-19
    • /
    • 2000
  • If the right and left signals of a binaural sound recording are reproduced through loudspeakers instead of a headphone, they are inevitably mixed during their transmission to the ears of the listener. This degrades the desired realism in the sound reproduction system, which is commonly called 'cross-talk.' A 'cross-talk canceler' that filters binaural signals before they are sent to the sound sources is needed to prevent cross-talk. A cross-talk canceler equalizes the resulting sound around the listener's ears as if the original binaural signal sound is reproduced next to the ears of listener. A cross-talk canceler is also a solution to the problem-how binaural sound is distributed to more than 2 channels that drive sound sources. This paper presents an effective way of building a cross-talk canceler in which geometric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s of the listener and multiple loudspeakers, is divided into angular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The presented method makes a database in an off-line way using an adaptive filtering technique and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Though the database is mainly concerned about the situation where loudspeakers are located on a standard radius from the listener, it can be used for general radius cases after a distance compensation process, which requires a small amount of computation. Issues related to inverting a system to build a cross-talk canceler are discussed and numerical results explaining the preferred configuration of a sound reproduction system for stereo loudspeakers are presented.

  • PDF

능동형 음장조정시스템의 현장적용 평가 (Evaluation on the Field Application of Spontaneous Acoustic Field Reproduction System)

  • 전지현;신용규;강상우;민병철;국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16-621
    • /
    • 2006
  • A began of this study is to verify Spontaneous Acoustic Field Reproduction System(SAFRS), developed as an embodiment of creating agreeable sound environment, with evaluation on the field application. SAFRS is a system to sense changes of surroundings and produce sounds, which can go well with environment elements sensed by the system in to the space. The sound which can go well with environment elements is sound which judged by individual evaluation to be so, the classification of the preferred sounds according to the mood of the space was suggested in the former study. So, SAFRS was applied into the Square of D University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The executed evaluations were 1) evaluation on sounds perception, frequency, volume and matchability with the space, 2) image evaluation on the square and sound environment and 3) evaluation on sound environment with existing sounds, fountains sound, sound produced by SAFRS, and both fountains sound and sound produced by SAFRS. Verifying SAPRS of field application was deduced from those evaluations. Theresultsofthestudyarefollowing: Though the system was applied into the space, the volume of the sounds shouldn't be too high. And with visual surroundings,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would be increased. At the results of four evaluations, the result of day evaluation is; both fountains sound and sound produced by SAFRS>fountains sound>sound produced by SAFRS>existing sounds, the result of night evaluation is; sound produced by SAFRS>both fountains sound and sound produced by SAFRS>fountains sound>existing sounds and these results pointed out that sounds environment produced by the system was highly evaluated due to less background sounds.

  • PDF

개선된 머리전달함수를 이용한 3차원 입체음향 성능 개선 연구 (A Study on Enhancement of 3D Sound Using Improved HRTFS)

  • 구교식;차형태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57-565
    • /
    • 2009
  • 인간의 청각기관은 소리의 방향과 거리인지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정보들을 복합적으로 이용한다. 이러한 양 귀에 들어오는 소리세기의 차이, 위상의 차이, 그리고 주파수 스펙트럼의 차이 등의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이 머리전달함수 (HRIF: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이다. 2채널 음향재생 시스템에서 이 머리전달함수를 이용하여 다채널 입체음향을 재생하는 방법이 많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머리전달함수의 비개인화적인 특성 때문에 양쪽 귀까지의 거리가 같아지는 혼돈원추 상에서는 앞/뒤 방향 지각에 대한 혼돈을 주게 됨으로써 입체감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입체음향을 생성하기 위해 머리전달함수를 사용하는 과정예서 발생하는 혼돈원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각 머리전달함수의 주파수 차 및 인간의 청각 특성을 이용하여 각 방향에 해당하는 머리전달함수의 주파수 스펙트럼 특성을 조절하였다. 본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음상정위 테스트 및 청감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실험 결과 헤드폰을 기반으로 한 2채널 입체음향 시스템에서 향상된 입체음향을 재생하였다. 더불어 구현된 입체음향의 음질의 열화도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방 스피커 어레이 재생 방식 기반 음향 재현 성능 평가 (Subjective Listening Test based on Frontal Loudspeaker Array Reproduction System)

  • 유재현;장대영;이태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667-675
    • /
    • 2015
  • 고화질, 고품질 방송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영상 신호 뿐만 아니라 음향 신호의 고품질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음향 신호의 고품질화에 기여하는 요소 중 하나는 가령, 10.2채널, 22.2채널 등과 같은 재생 채널 수의 확장이지만 이는 많은 수의 스피커를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전방 스피커 어레이를 통한 입체 음향 재생 방식을 들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스피커 어레이 기반 음장 재생 방식인 음장합성 기술 (Wave Field Synthesis, WFS)에 대한 소개 및 이론적인 분석을 하고 이 기술로 구현한 전방 스피커 어레이 시스템의 입체 음향 재현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주관 청취 평가 결과를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WFS에 기반한 전방 스피커 어레이 재생 방식이 디스크리트 5.1채널 재생 방식과 비교하여 만족스러운 음장감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청취자가 이동이 가능한 청각 디스플레이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the virtual auditory display system that allows listeners to move in a 3D space)

  • 강대기;이채봉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청취자가 3차원 공간에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음장 재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은 방음실($4.7m(W){\times}2.8m(D){\times}3.0m(H)$)에 설치하였으며 개인용 컴퓨터, 음의 제시장치 그리고 3차원 초음파 센서로 구성하였다. 본 시스템에서는 실내 전체를 감지하는 3차원 초음파 센서로부터 청취자의 위치 정보 및 자세각 정보를 얻어, 컴퓨터에서 나오는 음신호에 머리전달함수(HRTFs)를 삽입하여 음의 제시 장치로부터 출력하도록 설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머리전달함수는 청취자의 머리 정변에서 1.5m 떨어진 지점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그리고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가상 음원의 위치를 랜덤으로 변화시키고, 청취자에게는 자유로운 이동을 허락한 상태에서 음원의 위치를 찾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3차원 공간에 있어서 제시된 음원의 위치에서 청취자가 추정한 위치까지의 거리 오차는 약 30cm 이내로 나타났다.

스테레오 입체음향을 위한 머리 움직임 추정 (A Tracking of Head Movement for Stereophonic 3-D Sound)

  • 김현태;이광의;박장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421-1431
    • /
    • 2005
  • 입체음향을 구현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으며, 5.1 채널과 같은 서라운드 시스템(surround system)을 이용하는 방법과 2 채널의 바이노럴 시스템(binaural system)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이노럴 시스템은 사람이 두 귀를 이용하여 음상을 정위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라우더 스피커 시스템에서 각 채널사이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crosstalk)는 본래의 입체음향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제거되어야만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머리의 움직임을 추정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청취자의 머리 움직임을 제대로 추정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얼굴과 눈의 영역 검출을 기본으로 한다. 얼굴 검출은 이미지의 밝기 값을 이용하고 눈 검출은 수학적 형태학(mathematical morphology)을 이용한다. 청취자의 머리가 움직일 때 얼굴 영역과 눈 사이의 경계선의 길이가 변한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머리 움직임을 추정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10오차 범위 내에서 머리의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추정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HMD를 사용한 가상현실 선박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프로토타입 개발 (Development of Prototype VR Ship Simulator System Using HMD)

  • 임정빈;공길영;구자영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3-140
    • /
    • 2000
  • The paper deals with the implementation of prototype Ship Simulator system (VRSS) by Virtual Reality techniques with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The prototype VRSS was consists of PC-based human sensors, object oriented operating system. In addition, two kinds of databases arranged from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and 3D object models were used to create 3D sea sound, and to construct virtual world, respectively. Using the prototype system, we carried out some simulation tests for the overtaking situation to prevent collisions at sea, and discussed on the usability of the system. As results from simulations, the prototype VRSS can provide multisensory and interactive display environment. The results gave rise to the user interaction with 3D objects that give realistic reproduction of navigational environments under a given scenario. Thus, we found that the prototype VRSS should be one of the next-generation ship simulation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