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basin model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2초

3D Simulation of Earthquake Ground Motion Using Locally Variable Time-Step Finite-Difference Method

  • Kang, Tae-Seob;Baag, Chang-Eob
    • IUGG한국위원회:학술대회논문집
    • /
    • IUGG한국위원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8-18
    • /
    • 2003
  • Three-dimensional finite-difference simulation of earthquake ground motion is performed using a locally variable time-step (LVTS) scheme matching with discontinuous grids. Discontinuous grids in three directions and extension of the discontinuous grids' boundary to the free-surface in the LVTS scheme minimize the cost of both the computational memory and the CPU time for models like the localized sedimentary basin. A simplified model of sedimentary basin is dealt to show the feasibility and efficiency of the LVTS scheme. The basin parameters a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n ground-motion response in the basin. The results show that the seismic energy is concentrated on a marginal area of the basin far from the source. This focusing effect is mainly due to the constructive interference of the direct S-wave with the basin-edge induced surface waves. The ground-motion amplification over the deepest part of the basin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above the shallow basin edge. Therefore the ground-motion amplification may be more related to the source azimuth or the direction of the incident waves into the basin rather than the depth of it.

  • PDF

GIS 공간분석을 이용한 안동·임하호 유역의 토사유실 비교 평가 (The Comparative Estimation of Soil Erosion for Andong and Imha Basins using GIS Spatial Analysis)

  • 이근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2D호
    • /
    • pp.341-347
    • /
    • 2006
  • 임하호는 안동호 유역과 지형학적으로 인접되어 있지만 강우강도에 따른 탁수발생에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원인을 밝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안동호와 임하호 유역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준경험 토사유실모델인 RUSLE 모델을 이용하여 고탁수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토사유실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먼저, 환경부에서 구축한 토지피복도를 기반으로 토사유실에 가장 민감한 농경지비율을 분석한 결과, 안동호유역은 11.88%, 임하호유역은 14.95%로서 임하호유역이 3.07%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RUSLE 인자의 분석에서는 경작인자를 제외한 모든 인자들이 임하호유역에서 높게 평가되었으며, 이는 시간적인 변화를 보이는 강우자료를 제외한 토양, 지형 그리고 토지피복상태가 임하호유역이 안동호유역에 비해 토사유실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토사유실량 평가에서도 안동호와 임하호유역이 각각 1,275,806 ton과 1,501,608 ton으로서, 임하호유역이 안동호유역에 비해 225,802 ton만큼 높게 평가되었다.

3D Density Modelling of the Yellow Sea Sedimentary Basin

  • 최승찬
    • 지구물리
    • /
    • 제7권4호
    • /
    • pp.283-291
    • /
    • 2004
  • 황해안 대륙붕 지역의 Quinling-Dabie-Sulu 대륙 충돌대의 위치와 퇴적분지의 지하구조를 알아보기 위해서, 한국자원 연구원 탐해 2호에 의해서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측정된 중력 데이터에 의한3차원 지하구조 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황해안 연구지역 내의 중력 이상은 주로 퇴적층과 기반암 사이 경계면의 밀도 및 깊이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대륙 충돌대라고 여겨지는 고밀도 지각구조는 황해안 퇴적분지의 남쪽으로 부터 북동 방향으로 한반도의 중서부 지역으로 연결되며, 퇴적 분지 내의 현저하게 밀도가 낮은 물질의 총 부피는 약 20,000 km3 정도로 추정되었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Digital Elevation Models between AW3D30, SRTM30 and Airborne LiDAR: A Case of Chuncheon, South Korea

  • Acharya, Tri Dev;Yang, In Tae;Lee, Dong Ha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7-24
    • /
    • 2018
  • DEM (Digital Elevation Model) is a useful dataset which represents the earth surface. Beside many applications, production and frequent update of DEM is a costly task. Recently global satellite based DEMs are available which has huge potential for application. To check the accuracy, this study compares two global DEMs: AW3D30 (Advanced Land Observing Satellite World 3D 30m) and SRTM30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Global 30m) with reference resampled LiDAR DEM 30m in a test area around Chuncheon, Korea. The comparison analysis was based on statistics of each DEM, their difference, profiles, slope, basin and stream order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SRTM30 and AW3D30 were much similar but inconsistent in the test area compared to the LiDAR30 DEM. In addition, SRTM30 shows less difference with LiDAR30 compared to the AW3D30 DEM. But, DEMs should be very carefully examined for area which has temporal or season changes. For basin and stream analysis, global DEMs can be used only for regional scale analysis not local large scales.

GIS 홍수 시뮬레이션에 의한 댐 상류 유역의 침수 취약지역 분석 (Analysis of the Vulnerable Area about Inundation on the Upriver Basin of Dam by Flood Simulation Using GIS)

  • 엄대용;김지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23-731
    • /
    • 2009
  • 최근 지구 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집중호우의 빈도가 급증하고 있으며, 강우강도 역시 강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지적인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댐 상류지역에서는 지형적 특성과 댐에 의한 배수위의 영향으로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홍수피해의 경감대책은 인구밀집지역인 하류지역에 집중되고 있어 상류지역의 침수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밀 3차원 지형모델을 구축하여 상류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반영하고 강우발생시 유출특성을 조사하여 홍수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상류지역의 침수피해양상과 침수취약지역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홍수시뮬레이션에 의해 상류지역의 침수발생을 재현할 수 있었으며, 발생 가능한 강우에 대한 가상 홍수 시나리오에 의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침수 취약지역과 그 피해면적을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침수 취약 지역에 대한 침수 예측도를 제작함으로써 강우 규모별 피해지역의 신속한 판단과 침수방어 대책의 수립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초계분지의 상시미동 지진응답 (Seismic Response from Microtremor of Chogye Basin, Korea)

  • 이희경;김령이;강태섭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0권2호
    • /
    • pp.88-95
    • /
    • 2017
  • 초계분지는 그릇과 같이 주변이 모암으로 둘러싸여 있는 닫힌 분지의 형태를 갖고 있다. 이러한 닫힌 분지에서는 입사한 지진에너지가 분지 내에서 다중 반사파를 형성하며 에너지의 집중이 발생하기 쉽다.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과 적중면에 위치한 타원형의 초계분지를 대상으로 상시미동 관측 조사를 수행하였다. 상시미동 관측 자료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수평 대 수직성분 스펙트럼 비를 계산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각 관측 지점에 대한 기본 공명주파수를 측정하였다. 이전 연구에서 알려진 우리나라 퇴적층에 대한 고유주기와 두께의 경험적인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기본 공명 주파수로부터 초계분지의 퇴적층 두께 분포를 결정하였다. 급한 경사를 갖는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 외곽에 비하여, 분지 내부의 관측점에서 기본 공명주파수가 최소 1.03 Hz로 낮으며, 이에 상응하는 퇴적층이 두껍고, 그 깊이는 최대 약 100 m에 이른다. 각 관측점에서 결정한 분지 깊이를 내삽하여 초계분지의 기반암 지형에 대한 3차원 분지 모델을 작성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미계측 유역의 갈수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lowflow indices in ungauged basin using multiple regression)

  • 임가균;정세진;김병식;채수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2호
    • /
    • pp.1193-120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미계측 유역에 적용할 수 있는 갈수지수 산정 회귀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30개의 중권역 유역을 대상으로 국가수자원종합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장기유출자료를 이용하여 평균 갈수량과 평균 저수량, 지속기간별 빈도별 갈수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유역특성인자 18개와 기상특성인자 3개와의 상관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유역면적(A), 유역 평균 표고(H), 유역 평균 경사(S), 수계밀도(D), 유출곡선지수(CN), 연증발산량(ET), 연강수량(P)을 선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갈수지수 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회귀모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10개의 검증유역을 미계측 유역으로 간주하여 평균제곱근오차(RMSE) 와 평균절대오차(MAE)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추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평균갈수량산정 회귀모형과의 비교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개발한 모형의 우수성을 검토하였다.

Salt and Sand Transport from Aral Sea Basin

  • 이귀주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7-53
    • /
    • 2005
  • Model for dust and salt transportation from the dried bottom of the Aral Sea is suggested. Theoretical analysis is based on the turbulent diffusion equation for the averaged function of passive impurity concentration. One-layer model of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is assumed. Impurity precipitation rates are calculated as the functions of the particle size and the distance source of particles. Analytical solutions for the point and two-dimensional sources of impurities are found. Model calculations for salt and sand transport from the Aral Sea basin are made on the basis of 2D source model with a constant intensity.

실시간 수질관리도구로서의 3차원 수질모형의 최적 격자크기 산정 (Plausible grid size for a real time decision making system based 3D water quality model)

  • 안기홍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4호
    • /
    • pp.575-583
    • /
    • 2011
  • In this study, the plausible grid size was estimated to increase for efficiency of reservoir management using 3 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 To validate utilization of a real time water quality management tool, ELCOM-CAEDYM model was applied to Soyang reservoir in korea. 100m grid size can represent the real topography and take out exact analysis results. $400{\times}400m$ grid can be easily used to analysis because of data capacity. Consequently, the grid size of 200m or 300m was recommended to establish 3D model considering the required simulation time and the irrelevance between horizontal grid size and vertical distribution for temperature and turbidity analysis.

2차 정수지의 수리특성 및 바닥 유속 저감효과 분석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Reduction of Bottom Velocity of Second Stilling Basin)

  • 정석일;이지훈;윤재선;이승오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134-140
    • /
    • 2018
  • Scour in the downstream of hydraulic structures such as apron induces to collapse due to abruptly increasing rainfall and discharge in streams and reaches. This is because the forcible jet from overflowing is not sufficiently dissipated by existing energy dissipators, and it continues to sweep the bed materials during flood events. In this study, a second stilling basin was proposed as a countermeasure and the energy dissipation efficiency of this structure was analyzed using 3D-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First, results from previous research and hydraulic tests were used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numerical model. It showed that the second stilling basin played a definite role in reducing the bottom velocity, comparing with diminishing the energy dissipation when numerical tests were conducted under scaled field conditions in Korea. This means that the second stilling basin can be a countermeasure against scour in downstream. If more efficiency analysis of the second stilling basin would be performed in terms of energy dissipator for various types of hydraulic jump, it would be an alternative solution to scouring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