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mparative Estimation of Soil Erosion for Andong and Imha Basins using GIS Spatial Analysis

GIS 공간분석을 이용한 안동·임하호 유역의 토사유실 비교 평가

  • 이근상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소)
  • Received : 2005.12.14
  • Accepted : 2006.02.08
  • Published : 2006.03.30

Abstract

Geographically Imha basin is adjacent to Andong basin, but the occurrence of turbid water in each reservoir by storm events shows big differences. Hence,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reason for these large difference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soil erosion using the semi-empirical soil erosion model, RUSLE for both Imha and Andong basin, especially with emphasis on high-density turbid water. The agricultural district, which is the most vulnerable to soil erosion, was intensively analyzed based on land cover map produc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As a result, the portion of the agricultural area is 11.88% for Andong basin, while it is 14.95% for Imha basin. Also all RUSLE factors excepts practice factor turned out to be higher for Imha basin. This means that the basin characteristics such as soil texture, terrain, and land cover for Imha basin is more vulnerable to soil erosion. Estimation of soil erosion by RUSLE for Andong and Imha basin is 1,275,806 ton and 1,501,608 ton, respectively, showing higher soil erosion by 225,802 ton for Imha basin.

임하호는 안동호 유역과 지형학적으로 인접되어 있지만 강우강도에 따른 탁수발생에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원인을 밝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안동호와 임하호 유역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준경험 토사유실모델인 RUSLE 모델을 이용하여 고탁수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토사유실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먼저, 환경부에서 구축한 토지피복도를 기반으로 토사유실에 가장 민감한 농경지비율을 분석한 결과, 안동호유역은 11.88%, 임하호유역은 14.95%로서 임하호유역이 3.07%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RUSLE 인자의 분석에서는 경작인자를 제외한 모든 인자들이 임하호유역에서 높게 평가되었으며, 이는 시간적인 변화를 보이는 강우자료를 제외한 토양, 지형 그리고 토지피복상태가 임하호유역이 안동호유역에 비해 토사유실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토사유실량 평가에서도 안동호와 임하호유역이 각각 1,275,806 ton과 1,501,608 ton으로서, 임하호유역이 안동호유역에 비해 225,802 ton만큼 높게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주훈, 김경탁, 연규방 (2003) GIS를 이용한 토양침식 위험지역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6권 제2호, pp. 22-32
  2. 김주훈, 오덕근(2004) 빈도별 R인지에 의한 토양침식 위험지역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7권 제2호, pp. 47-56
  3. 박경훈 (2003) GIS 및 RUSLE 기법을 활용한 금호강 유역의 토양침식 위험도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6권 제4호, pp. 24-36
  4. 이근상, 장영률, 조기성 (2003) 토양침식량 산정에서 토양도 축척에 따른 적정 해상도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6권 제3호, pp. 1-10
  5. 이근상, 조기성 (2004) 탁수자료를 이용한 GIS 기반의 토사유실량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2권 제4호, pp. 75-81
  6. 정필균, 고문환, 임정남, 임기태, 최대웅 (1983) 토양유실량 예측을 위한 강우인자의 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한국토양비료학회, 제16권 제2호, pp.112-118
  7. 한국수자원공사 (2003a) 안동다목적댐 관리연보
  8. 한국수자원공사(2003b) 임하다목적댐 관리연보
  9. 한국수자원공사(2004) 임하댐 탁수저감방안 수립
  10. Desmet, P.J. and G. Govers (1996) A GIS procedure for the automated calculation of the USLE LS factor on topographically complex landscape units,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Vol. 51, No.5, pp. 427-433
  11. Erickson, A.J. (1997) Aids for estimating soil erodibility - K value class and soil loss toleran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Soil Conservation Service. Salt Lake City of Utah
  12. Hudson, N. (1977) Soil Conservation,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3. Nearing, M.A. (1997) A single, continuous function for slope steepness influence on soil loss, Journal of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Vol. 61, No.3, pp. 917-919 https://doi.org/10.2136/sssaj1997.03615995006100030029x
  14. Renard, K.G., G.R. Foster, G.A. Weesies and P.J. Porter (1991) RUSLE :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Vol. 46, No. 1, pp. 3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