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Terrain Analysis Modeling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8초

방공교전모델(DADSim) 개발 및 활용사례 (Distributed Air Defense Simulation Model and its Applications)

  • 최상영;김의환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4-148
    • /
    • 2001
  • In this paper, air-defense simulation model, called "DADSim", will be introduced. DADSim(Distributed Air Defense Simulation Model) was developed by Modeling&Simulation Lab of K.N.D.U.(Korea National Defence Univ) Weapon Systems Department. This model is an analysis-purpose model in the engagement-level. DADSim can simulate not only the global air-defense or Korean Peninsula but also the local air-defense or a battle field. DADSim uses the DTED(digital terrain elevation data) LeveII it for the representation of peninsula terrain characteristics. The weapon systems cooperated in the model are low/medium-range missile systems such as HAWK, NIKE, SAM. DADSim was designed in the way of object-oriented development method, implemented by C++ language. The simulation view is an event-sequenced object-orientation. For the convenience of input, output analysis, GUI(Graphic User Interface) of menu, window, dialog box, etc. are provided to the user, For the execution of DADSim, Silicon Graphic IRIX 6.3 or high version is required. DADSim can be used for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defence systems. Some illustrative examples will be shown in this paper.

  • PDF

공간정보 분석기법을 이용한 적지분석 (Site-Suitability Analysis Using Spatial Information Analysis)

  • 한승희;김성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5207-5215
    • /
    • 2010
  • 단지계획 또는 특정 목적의 시설물 설립을 위한 적지선정은 제반여건과 주변환경을 면밀하게 고려해야 한다. 특히, 인간의 생활공간이라면 채광 및 통풍, 부지활용의 효용성 등이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서 3차원 지형 모델링과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한 다각적인 입체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지형모델링에 필수적인 고해상 위성영상이 아리랑2호 위성(KOMPSAT2)을 통해 국내기술로 제공되고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처리가 가능해 졌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목적의 단지계획을 위해 몇 개의 후보지를 선정하고 3차원 지형모델링과 토지정보를 이용하여 적지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필지분석, 지가산정, 경사도 분석, 향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후보지 별 평가지표를 마련하여 정량적인 평가를 시도한 결과 효율적이며 합리적으로 적지선정을 할 수 있었다.

미래입체관광의 최적지선정 및 개발을 위한 3차원지형분석모델링 기법 (A Technique on the 3-D Terrain Analysis Modeling for Optimum Site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Stereo Tourism in the Future)

  • 연상호;최승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415-422
    • /
    • 2013
  • 최근 인터넷 및 사이버 관광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여러 분야에서 시도되고 있다. 3차원 지형환경의 공간 영상콘텐츠는 국토계획 및 국토정보의 미래 관광콘텐츠로서 입체적인 유비쿼터스 도시 구현에 의한 안전한 관광을 위한 주요한 공간정보로 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국내 운행하고 있는 국토 및 도시지역의 국토의 공간정보를 정밀하게 촬영하기 위하여 인공위성과 항공기에 카메라를 탑재하여 원하는 지역에 대한 다양한 사진영상을 입체 촬영을 실시하여 필요한 공간 정보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다양한 지형공간정보를 직접 혹은 간접으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위한 정확한 초기 공간 자료의 수집, 저장, 편집, 조작 및 응용기술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하여 미래의 변화된 3차원 지형 공간 콘텐츠 구성을 확보하여 유비쿼터스 미래 체험관광을 새로운 관광산업에서 크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래 입체관광을 위한 3차원 지형공간정보의 분석과 모델링에 의하여 지능형 국토정보화와 더불어 간접적으로 입체적인 현장체험과 관광 적지분석으로 다양한 공간정보의 취득과 활용을 입증할 수 있었다.

아리랑2호 영상을 이용한 3차원지형 분석 및 적지분석 (3D Terrain Analysis and Suitability Analysis Using KOMPSAT 2 Satellite Images)

  • 한승희;이진덕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6-440
    • /
    • 2008
  • 단지계획 또는 특정 목적의 시설물 설립을 위한 적지선정은 제반여건과 주변환경을 면밀하게 고려해야 한다. 특히, 인간의 생활공간이라면 채광 및 통풍, 부지활용의 효용성 등이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서 3차원 지형모델링과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한 다각적인 입체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지형모델링에 필수적인 고해상 위성영상이 아리랑2호 위성(KOMPSAT2)을 통해 국내기술로 제공되고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처리가 가능해 졌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목적의 단지계획을 위해 몇 개의 후보지를 선정하고 3차원 지형모델링과 토지정보를 이용하여 적지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필지분석, 지가산정, 경사도 분석, 향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후보지 별 평가지표를 마련하여 정량적인 평가를 시도한 결과 효율적이며 합리적으로 적지선정을 할 수 있었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GLTF/GLB to Improve 3D Content Rendering Performance

  • Jae Myeong Choi;Ki-Hong Park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13-18
    • /
    • 2023
  • 3D content rendering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give a sense of realism when creating content, and this process takes a lot of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to improve rendering performance by reducing the vast amount of 3D data in the web environment, and conducted a performance test using DEM and 3D model elevation data.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digital elevation model showed faster performance than the Blender-based 3D modeling, but when the screen was moved using OrbitControl, the fps dropped momentarily. In the case of Terrain, if the range is limited to a speed that maintains 24 to 60 fps using frustum culling and LOD techniques, it is considered that a higher quality map can be produced than GeoTIFF.

  • PDF

단일 위성 영상 기반의 반자동 건물 모델링 시스템 (A Semi-Automatic Building Modeling System Using a Single Satellite Image)

  • 오선호;장경호;정순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6B권6호
    • /
    • pp.451-462
    • /
    • 2009
  • 최근 고해상도 위성 영상의 보급에 따라 이를 활용한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Google\;Earth^{TM}$$Virtual\;Earth^{TM}$와 같은 전 지구 차원 의 3차원 가시화 서비스나 최근 일부 도시에 대하여 제공되고 있는 3차원 GIS 서비스는 지형과 지물에 대한 사실적인 기하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도시 개발 계획의 수립, 도로망의 개선, 엔터테인먼트 사업, 군사 시뮬레이션, 재난 및 재해 관리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활용을 위해서는 고해상도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지형 및 지물 정보를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 에서는 단일 위성 영상으로부터 건물의 3차원 모델을 추출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살펴본 뒤 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모델 추출을 위한 시스템 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영상의 특징 정보와 건물, 위성, 태양의 기하 관계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사용자 조작으로 건물의 3차원 모델을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위성 영상으로부터 건물의 3차원 모델 추출을 수행하고 효과적으로 3차원 모델을 획득할 수 있음을 보인다.

영상레이더(SAR)용 3차원 산란점 점구름 표적모델의 교량 지역에 대한 적용 (SAR(Synthetic Aperture Radar) 3-Dimensional Scatterers Point Cloud Target Model and Experiments on Bridge Area)

  • 박종후 ;박상철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1-8
    • /
    • 2023
  • 영상레이더(SAR)에서 인공표적에 대한 모델링은 주로 3차원 CAD(Computer Aided Design) 모델의 면(face) 및 모서리(edge)에서 반사되는 레이더 신호를 광선추적(ray-tracing) 방식으로 시뮬레이션하고 있고, 지구 표면의 클러터(clutter)에 대한 모델링은 영상레이더 이미지 자체에 대한 통계학적(statistical) 분석을 통해 분포(distribution) 특성이 유사한 종류들을 구분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상의 인공표적 및 지표면의 배경 클러터를 3차원 점구름(point cloud) 산란점(scatterer point) 모델로 만들고 두 개의 모델이 통합된 상황에서 계산적(computational)인 신호처리 과정을 통해 영상 레이더 이미지를 생성하였으며, 이것을 실제 차량탑재형 영상레이더 시스템의 스트립맵(stripmap) 이미지 생성 결과 및 전자기적(EM) 모델링 또는 통계학적 분포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와 유사한 지 비교해 보았다. 모델링 대상은 지상의 인공표적인 교량(다리)을 선정 했는데, 그 이유는 교량의 경유 주변에 수면과 지면이 같이 존재하는 특성이 있고 또한 군사용 및 민간용 활용에서 모두 관심이 많은 표적이기 때문이다.

신규 복선철도 노선선정을 위한 지형공간정보의 적용 (Applic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for Route Selection of New Double Track Railway)

  • 연상호;이진덕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75-481
    • /
    • 2005
  • 최근 국내에서의 철도 교통량증가로 인하여 단일노선의 증편을 복선철도로 재설계하여 건설하려는 다각적인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경부선에 비해 일반 승객보다는 시멘트 및 산림자원의 수송량이 많은 태백선과 중앙선에 대한 복선화 전철사업이 추진되면서 부분적인 구간에 대한 설계와 건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선의 중간지점이 되고 있는 제천과 도담 구간에 대한 공간정보의 적용과 태백선의 출발지점인 제천과 쌍용구간에 대한 영상정보의 적용의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각적인 방법으로 최적의 노선성정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기상 및 대기질 정보의 3차원 표출 최적화를 위한 시제품 개발 연구 (Prototype Development for Optimization Technique of 3D Visualization of Atmospheric Environmental Information)

  • 김건우;나하나;정우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1047-1059
    • /
    • 2019
  • To address the increase of weather hazards and the emergence of new types of such hazards, an optimization technique for three-dimensional (3D) representation of meteorological facts and atmospheric information was examined in this study as a novel method for weather analysis. The proposed system is termed as "meteorological and air quality information visualization engine" (MAIVE), and it can support several file formats and can implement high-resolution 3D terrain by employing a 30 m resolution digital elevation model. In this study, latest 3D representation techniques such as wind vector fields, contour maps, stream vector, stream line flow along the wind field and 3D volume rendering were applied. Implementation of the examples demonstrates that the results of numerical modeling are well reflected, and new representation techniques can facilitate the observation of meteorological factors and atmospheric information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 STUDY ON THE MOHO UNDUL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SATELLITE GRAVITY DATA

  • Yu, Sang-Hoon;Hwang, Jong-Sun;Min, Kyung-Duc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589-592
    • /
    • 2005
  • Gravity characteristics and Moho undulations are investigated in the Korean peninsula by using satellite gravity data.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satellite geodesy, gravity potential models which have high accuracy and resolution were released. Using the EIGEN-CGOIC model based on low orbit satellite data such as CHAMP and GRACE, geoid and gravity anomaly were calculated by spherical harmonic analysis. The study area is located at $123^{\circ}\sim132^{\circ}E, 33^{\circ}\sim43^{\circ}$N including Korea. Free-air anomalies, which show the effect of terrain, have the values between $-37\sim724 mgal. After Bouguer correction, the range of simple Bouguer anomalies is $-221\sim246$ mgal. Complete Bouguer anomalies after terrain correction increase from continent to marine. This phenomenon is related rise of Moho discontinuity. The cut-frequency for extraction of Moho undulation was determined by power spectrum analysis, and then 3D inversion modeling was implemented. The mean, maximum, minimum, and standard deviation of Moho depth undulation are -26, -36, -8, and 4.9 krn,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