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Terrain

검색결과 359건 처리시간 0.034초

3차원 게임에서의 손쉬운 지형 모델 구현 방법 (Development of a terrain model in 3D Game)

  • 박석희;이희범;김수균;임광혁;안성옥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3-534
    • /
    • 2013
  • 컴퓨터 게임에서 눈 덥힌 산이나 계곡 등을 표현하기 위해 지형 모델을 사용하며, 이러한 지형모델은 게임 속에서 캐릭터가 생활하는 공간으로 게임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이다. 지형모델의 사실적인 묘사는 게임의 몰입도를 좌우하기 때문에, 현재는 많은 지형 모델 툴을 통하여 만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형 모델을 툴을 이용하지 않고, 3D MAX를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제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3D MAX는 그래픽 디자이너들에게 많이 쓰이고 있으며, 3D 그래픽 소프트웨어로 유지보수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3D MAX를 이용하여 지형 모델을 만들고, 이를 DirectX 환경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 PDF

3차원 지형모델링의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uracy Improvement of Three-Dimension Terrain Modelling)

  • 신봉호;양승용;엄재구;송왕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1-157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으로 현존하는 수치지형모델 구축기법간의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여 효율적인 수치지형 모델 구축방안을 제시하고, 프랙탈 기하학의 수학적 알고리즘을 응용, 터보 파스칼을 이용 3차원 프랙탈 지형 모델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형공간정보시스템 기반의 프랙탈 지형 모델링 시스템을 구현하는 기초연구를 수행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점 데이터와 선 데이터의 조합에 의해 불규칙삼각망을 생성하는 방법이 정확도 향상의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나타났으며, 프랙탈 기하학을 응용한 3-D 프랙탈 지형 모델링 시스템 개발은 프랙탈을 이용한 3차원 지 형 모델링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기초연구로서 소기의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항법정보와 실시간 업데이트 지형 데이터를 사용한 3D 지형 재구축 시스템 (A 3D Terrain Reconstruction System using Navigation Information and Realtime-Updated Terrain Data)

  • 백인선;엄기현;조경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57-168
    • /
    • 2010
  • 게임 캐릭터와 객체들이 상호작용하는 지형은 가상세계를 구성하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 지형을 제작할 때 많은 갱신 작업과 시간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지형을 촬영한 데이터로부터 가상 공간의 3D 지형을 생성하기 위한 3D 지형 재구축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시스템에서는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하고, 레이져 스캐너로 실측한 3차원 지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그리드 기반의 높이 맵(Height Map)과 로봇의 항법정보 중 z축과 x축 방향 벡터를 이용해 가상공간의 중심인 월드좌표계에 맞게 로테이션을 수행하여 축의 방향을 일치시키고, 로봇 중심의 좌표계에서 월드 좌표계로의 이동 벡터를 각 포인트에 더하여 최종적으로 월드좌표계에 맞게 변환한다. 이후 무방향성 그래프를 사용하여 지형 데이터를 관리하면서 가상공간에서 필요한 부분에만 동적으로 지형 메쉬를 생성한다. 이때 지형 데이터의 오류를 보정하여 메쉬를 올바르게 갱신한다. 실험에서는 제안 시스템이 지형 재구축을 완료할 때까지 일정한 주기로 FPS를 확인하고, 완성된 지형을 가시화하여 품질을 검토하였다. 지형의 전체 크기를 알 수 없거나, 실시간으로 지형의 크기가 변화하는 환경에서는, 제안된 시스템이 쿼드트리를 사용한 지형 관리보다 지형 크기가 작을 때 3배정도의 높은 FPS를 보이나, 지형이 아주 클 때는 평균 40% 정도 나은 실행 성능을 가진다. 최종적으로는, 실측한 지형의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가시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게임에 이용할 지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자동 생성하여 게임에 이용하거나, 실제 지형을 배경으로 필요한 영화의 CG 작업에 활용하는 등의 응용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Development of 3D Terrain Visualization for Navigation Simulation using a Unity 3D Development Tool

  • Shin, Il-Sik;Beirami, Mohammadamin;Cho, Seok-Je;Yu, Yung-Ho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5호
    • /
    • pp.570-576
    • /
    • 2015
  • 3D visualization of navigation simulation is to visualize the environment conditions (e.g. nearby ships, dynamic characteristics, environment, terrain, etc) for any users on ships at sea. Realistic 3D visualization enables the users to be immersed to it and guarantees the reliability of the simulation. In particular, terrain visualization contains many virtual objects, so it is time and cost-intensive for object modelling. This paper proposes a 3D terrain visualization method that can be realized in a short time and with low cost by using the Unity 3D development tool. The 3D terrain visualization system requires bathymetric and elevation terrains, and Aids to Navigations (AtoNs) to be realized. It also needs to include 3D visualization objects including bridges, buildings and port facilities for more accurate simulation. Bathymetric and AtoN elements are acquired from ENC, and the elevation element is acquired from SRTM v4.1 digital elevation chart database developed by NASA. Then, the bathymetric and elevation terrains are generated, and the satellite images are superposed by using this terrain information. The longitudinal and latitudinal information of the AtoNs are converted to the 3-axis information to position the AtoN locations. The 3D objects such as bridges, buildings and port facilities are generated and the terrain visualization is completed. The proposed method realizes more realistic 3D terrain visualization of Busan Port.

3차원 사이버도시구축을 위한 그래디언트기반 3차원 평면추출기법의 지형 및 인공지물지역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the Gradient-Based 3D Patch Extraction Method to Terrain and Man-made Objects for Construction of 3D CyberCity)

  • 서수영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27-229
    • /
    • 2010
  • This study presents an application of the 3D patch extraction method which is based on gradient-driven properties to obtain 3D planar patches over the terrain and man-made objects from lidar data. The method which was exploited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a sequence of processes: segmentation by slope, initiation of triggering patches by mode selection, and expansion of the triggering patches. Since urban areas contain many planar regions over the terrain surface, application of the method has been experimented to extract 3D planar patches not only from non-terrain objects but also from the terrain.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method is efficient to acquire 3D planar patches.

  • PDF

프랙탈 기법에 의한 울릉도 형상화 사례 연구 (Simulation Uleung Island By The Statistical Fractals)

  • 노용덕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113-119
    • /
    • 1995
  • In 3D computer graphics, fractal techniques have been applied to terrain models. Even though fractal models have become popular for recreating a wide variety of the shapes found in nature, a specific 3D terrain model such as Uleung Island could not be formulated by statistical fractals easily owing to the random effects. However, by locating the midpoints on the edges and the surface of a specific terrain such as Uleung Island, a similar shape of the terrain model can be simulated. This paper shows the way of simulating 3D Uleung Island terrain model by the statistical fractals wherein the subdivision algorithm is used.

  • PDF

공간정보 기반의 무인비행체 시뮬레이터 지형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rrain Construc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Simulator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 박상현;홍기호;원진희;허용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122-1131
    • /
    • 2019
  • This paper covers research on terrain construction for unmanned aerial vehicle simulators using spatial information that was distributed by public institutions. Aerial photography, DEM, vector maps and 3D model data were used in order to create a realistic terrain simulator. A data converting method was suggested while researching, so it was generated to automatically arrange and build city models (vWorld provided) and classification methods so that realistic images could be generated by 3D objects. For example: rivers, forests, roads, fields and so on, were arranged by aerial photographs, vector map (land cover map) and terrain construction based on the tile map used by DEM. In order to verify the terrain data of unmanned aircraft simulators produced by the proposed method, the location accuracy was verified by mounting onto Unreal Engine and checked location accuracy.

무인로봇을 위한 3D 월드모델에 기초한 Binary 장애지형의 판정 (Classification of Binary Obstacle Terrain Based on 3D World Models for Unmanned Robots)

  • 진강규;이현식;이윤형;이영일;박용운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16-523
    • /
    • 2009
  • Recently, the applications of unmanned robots are increasing in various fields including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planet exploration and disaster relief. To perform their missions with success, the robots should be able to evaluate terrain's characteristics quantitatively and identify traversable regions to progress toward a goal using mounted sensors. Recently, the authors have proposed techniques that extract terrain information and analyze traversability for off-road navigation of an unmanned robot.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use of 3D world models(terrain maps) to classify obstacle and safe terrain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posed techniques. A world model is divided into several patches and each patch is classified as belonging either to an obstacle or a non-obstacle using three types of metric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on real terrain maps.

2차원 설계자료를 이용한 3차원 지형모델 자동화 생성 방안 (The Methods for 3D Terrain Model Automation Using 2D Plan)

  • 이현직;박은관;문건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7-93
    • /
    • 2013
  • 3차원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조망, 일조, 일영, 직광 등 3차원 공간분석에 대한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 3차원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3차원 지형모델 제작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법선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2차원 설계도면을 3차원 지형모델로 변환함으로써 개발후의 3차원 지형모델을 생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2차원 설계로부터 3차원 지형모델 생성을 위한 자동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향후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An Open Standard-based Terrain Tile Production Chain for Geo-referenced Simulation

  • Yoo, Byoung-Hyu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97-506
    • /
    • 2008
  • The needs for digital models of real environment such as 3D terrain or cyber city model are increasing. Most of applications related with modeling and simulation require virtual environment constructed from geospatial information of real world in order to guarante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the simulation. The most fundamental data for building virtual environment, terrain elevation and orthogonal imagery is acquired from optical sensor of satellite or airplane. Providing interoperable and reusable digital model is important to promote practical application of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This paper presents the new research regarding represent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especially for 3D shape and appearance of virtual terrain. and describe framework for constructing real-time 3D model of large terrain based on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It provides infrastructure of 3D simulation with geographical context. Web architecture, XML language and open protocols to build a standard based 3D terrain are presented. Details of standard-based approach for providing infrastructure of real-time 3D simulation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are also presented. This work would facilitate interchange and interoperability across diverse systems and be usable by governments, industry scientists and general 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