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Game Animation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3초

게임캐릭터애니메이션 동작연기연구 (Study on the Motion Acting in a Game Character Animation)

  • 황길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9호
    • /
    • pp.116-12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게임캐릭터가 단순행동에서 감정상황에 대한 동작연기로 발전되기를 기대하며 접근을 하였다. 게임캐릭터가 다양한 상황을 표현하고 감정을 부여하는 매개자로서 역할을 부여하고, 표현하는 동작을 마임연기자동작에서 추출하여 3D캐릭터에게 동작 연기별로 적용시켜 표현하였다. 동작연기는 기본동작에서 희, 노, 애, 락의 감정별 단계로 확대하였고, 상징적 언어상황에 대한 반의적 감정연기를 통하여 의사전달을 분명히 하고, 다양한 시각에서 표현되는 동작연기를 제시하였다.

  • PDF

Real-Time Visual Production using Unity 3D

  • Lee, Dong-Min;Shin, Seung-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4호
    • /
    • pp.138-146
    • /
    • 2018
  • Generally, the animation and image production process consists of three stages: Pre-Production, Main-Production, and Post-Production. Real-time video production is also made based on this configuration. On the premise of the increase of productivity by reducing the production time effectively in the main production stage that takes the most time,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the process of producing videos, focusing on the concrete main production stage. To do this, we propose a method for creating a real-time imag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general user using Unity 3D, one of the game engines. Also, this study utilizes the Cinemachine feature provided by Unity 3D, which is suitabl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module structure.

시나리오 기반의 3D 객체 재사용 알고리즘 (Scenario-based 3D Objects Reuse Algorithm Scheme)

  • 강미영;이형옥;손승철;허권;김봉태;남지승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1호
    • /
    • pp.302-30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3D 객체들의 재사용과 확장을 위해 실용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Motion Path Modification rule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기존 3D 객체의 Motion을 재사용하여 새로운 Motion을 가진 3D객체를 재생성하여 사용하는데 있다. 논문에서 사용된 선형과 비선형 곡선 맞춤 알고리즘은 keyframe 보간에 의해 애니메이션을 수정하고 실제적인 움직임을 만드는데 적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기존에 제작된 애니메이션의 세그먼트를 이용한 시나리오 기반 3D 이미지 합성시스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으며, 이 프레임워크는 기존에 만들어진 3D 객체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게임 프로그래밍 및 시나리오 기반의 3D 애니메이션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neumatic Motion Base for 4D Home Theater

  • Kim, Dohyung;Cho, Seongyeon;Lee, Seokhun;Lee, Seunghyun;Kwon, Soonchu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4권2호
    • /
    • pp.131-137
    • /
    • 2015
  • Home Entertainment system is recently being offered by Home Theater & Smart TV with contents service. Also, console game is being played in the media like in TV. The usage of 4D as the main technology in entertainment industry has mostly been limited in Theme Park, Amuse Park, Theater, and contents for Movie and Animation. Some simulation systems for game has been developed but they were made mostly by using electric or hydraulic motion system which cause high power consumption and have a restriction of place for install. The paper is attempted to build Home Entertainment system which makes users feel realistic contents by developing 4D systems for Home Entertainment rather than before. 4D control S/W in which user can insert and edit 4D effects on contents of all areas such as game, movie, and broadcasting is developed. Also, built-in pneumatic cylinder in 4D system which can be easily controlled and managed in home is developed.

언리얼 라이브 링크를 이용한 3D애니메이션 제작 공정의 효율성 분석 연구 (The Study on Efficiency Analysis of 3D Animation Production Process Using Unreal Live Link for Autodesk Maya)

  • 권종산;김시민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9호
    • /
    • pp.11-21
    • /
    • 2023
  • 그동안 CG제작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작업 중간에 결과물의 확인이 어렵고 렌더링 타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극복하기는 쉽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실시간으로 결과물의 확인이 가능한 언리얼 라이브 링크의 활용 가능성이 커지면서 제작공정의 효율성 향상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언리얼 라이브 링크를 이용한 3D 애니메이션 제작공정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마야로 모델링, 리깅, 애니메이션, 레이아웃 작업을 하고 언리얼 라이브 링크를 통해 언리얼 엔진에서 최종 아웃풋 이미지 시퀀스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3D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3D 소프트웨어 자체에서 최종 아웃풋 이미지 시퀀스를 을 도출하는 기존의 제작공정과 본 제작공정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통적인 3D 애니메이션의 제작공정과 달리 높은 퀄리티의 최종결과물을 보여주는 뷰포트 화면을 통해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최종 작업 결과물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실시간 화면 캡쳐를 통해 최종결과물을 도출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근 3D 애니메이션과 영화 산업현장에서 게임 엔진을 활용하는 사례가 점차 늘고 있는데, 언리얼 라이브 링크를 활용할 경우 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극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3DARModeler : 증강현실 환경 3D 모델링 시스템 (3DARModeler: a 3D Modeling System i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 도반 트리엔;이정규;이종원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27-136
    • /
    • 2009
  • 본 논문에서 3DARModeler 라는 증강현실 환경에서의 3D 모델링 시스템에 대해서 제시 한다. 이 시스템은 3D 객체(모델)를 만들기 위해 객체 호출, 텍스쳐 적용, 애니메이션, 광원추정, 그림자 등의 기능들이 포함된 간단한 3D Studio Max라고 볼 수 있다. 3DARModeler는 3D 모델을 만들기 위한 효과적이고 편리한 상호작용 방법들을 제시한다. 3DARModeler 시스템의 주사용자는 컴퓨터 그래픽, 모델링 기술에 관한 많은 지식을 갖추지 않은 비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다. 사용자들은 기본 객체를 선택, 객체들의 속성 부여, 여러 객체들의 결합을 통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실세계에서 직접 모델링을 하는 것과 같이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법의 모델링을 가능하도록 한다.

  • PDF

드론 촬영 기반 사진 스캐닝 기술을 활용한 3D 모델링데이터 생성방법에 관한 연구 (The 3D Modeling Data Production Method Using Drones Photographic Scanning Technology)

  • 이준상;이임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874-880
    • /
    • 2018
  • 3D 모델링은 건축, 기계, 제품 및 영화영상의 다양한 콘텐츠 제작 등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첨단 제작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모델링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으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최근 3D스캐닝 기술을 적용하여 제작기간을 단축시키려는 시도가 활발하다. 소형 오브젝트에 대한 3D스캐닝은 레이저나 광학을 이용하여 직접 데이터를 얻지만 대형의 건물이나 조형물은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므로 직접적이 데이터 취득이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포토메트리를 이용하여 대형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한다.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위해 드론을 이용하였으며 조형물과 드론의 일정한 간격유지와 비행 동선에 대한 측정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획득된 3차원 점군 데이터를 애니메이션에 활용할 수 있는 제작환경과 렌더링 된 애니메이션 결과물을 제시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제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기하학 해석을 통한 역운동학 모듈의 효과적인 구현 (A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Inverse Kinematics Module through Geometric Interpretation)

  • 강종호;김경식;유관희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19-2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지식이 요구되는 기존의 역운동학 해법을 사용하지 않고 직관력이 높은 기하학 방식의 새로운 역운동학 해법을 제시하였다. 뼈대 2개로 구성된 역운동학 모듈은 뼈대가 꺾이는 방향의 3차원 벡터만을 제공하여 수학적 지식이 없이도 역운동학의 사용이 가능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수학적 지식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좀더 많은 그래픽 디자이너들이 역운동학을 쉽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유니티 시네머신을 활용한 장면 연출 모색 (Scene Production using Unity Cinemachine)

  • 박성숙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6호
    • /
    • pp.133-143
    • /
    • 2021
  • Unity's Cinemachine, one of the game production technologies, can produce 3D images. However, since Cinemachine is a game production tool, video creators may find it difficult because the work process of Cinemachine is unfamiliar and complicat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learn new technologies for the future of video contents that will be advanced in the future. In order to understand Chinemachine as a video producer, I would like to embody the scene of the movie. We are going to produce a storyboard scene for storytelling in Cinemachine. We defined the workflow of Unity Cinemachine while directing the scene by creating a story, and also checked the advantages and cautions. I hope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enjoy using Unity Cinemachine, which is constantly evolving.

3차원 동작객체 추출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technology of extraction of motion objects)

  • 오용진;박노국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54-162
    • /
    • 1999
  • This paper introduce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utomatic generation technology to develop the character agent. The R&D of this technology includes three major elements-body model generation, automatic motion generation and synthetic human generation. Main areas of application would be cyber space- 3D game, animation, virtual shopping, on line chatting, virtual education system, simulation and security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