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인체계측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7초

중국 성인여성의 직접계측과 3D Body scanning 치수 비교 연구 (Comparison of Size between direct-measurement and 3D body scanning)

  • 차수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16권1호
    • /
    • pp.150-159
    • /
    • 2012
  • This study intend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3D body scanning sizes and direct measurement sizes of same subjects. The subjects of study are female students of university in China. 3D data analyze as a 3D Body Measurement Soft System. The conclusion found is as below: In case of circumferences, error between direct-measurement size and 3D body scanning size is from 4.9mm to 62.2mm. The neck circumference size of directmeasurement is bigger than 3D body scanning size. The height error range is from 0.6mm to 51mm. Height of underbust, waist and hip are that direct-measurement sizes are higher than 3D body scanning sizes. Gap of width is from 3.8mm to 21.9mm. The gap range is too narrow relatively to others. Only direct-measurement size of neck width is wider than 3D body scanning size. Error range of length is from 0.3mm to 41.8mm. 3D body scanning sizes of lateral neck to waistline, upperarm length, arm length, neck shoulder point to breast point, shoulder center point to breast point, lateral shoulder to breast point are longer than direct-measurement sizes. They have a negative margin of error. I intend to set up same measurement point between direct-measurement and 3D body scanning but they have some errors because direct-measurement point is applied by a person. 3D body scanning measurement point is settled by automatic system. A measurement point of direct-measurement and 3D body scanning isn't unite. So we need to make a standard of setting up measurement points.

상하의 의류 영상을 이용한 가상 의류 착의 시스템 (A Virtual Fitting System Using The Top and Bottom Image of Garment)

  • 최란;조창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941-95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PC상에서 인체 3차원 데이터에 상하의 의류를 중첩 착의하는 가상 착의 시스템을 소개한다. 이를 위하여, 레이저 스캔 방식으로 얻은 인체 3차원 데이터와 의류 앞뒷면의 모습을 촬영하여 얻은 의류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한다. 2차원의 앞뒷면 의류 디지털 데이터에는 의류 소재 내 질점 간의 장력이 반영되었고, 인체 데이터에의 착의 과정에는 마찰력과 중력을 적용해 주었다. 하의 착용 시에는 마찰력과 중력에 추가적으로 혁대 개념을 도입하여 흘러내리는 의류를 고정하였고, 하의를 착의한 인체데이터위에 상의를 착의하는 중첩 착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시스템이 지닌 장점은 복잡한 패턴을 이용하여 착의하는 다른 연구와 달리, 의류의 앞뒷면만을 이용하여 착의하면서도 현실감은 뒤지지 않는다는 것에 있다. 현재 의류전자상거래 시 의류의 앞뒷면만을 전시하여 판매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온라인 판매가 이루어지나, 착의 모습을 제공할 수 없는 기존 방식과 달리 3차원의 착의 모습까지 제공하게 되어, 의류 판매의 방식을 바꾸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3차원 데이터에 의한 여고생의 발 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ot Shape by 3D Data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 이정은;도월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72-583
    • /
    • 2014
  • This study analyzes the foot shape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using 3D foot scan data based on a comparison with adult women (20s'-30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foot anthropometry of 199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and Jeollanam-do. The right foot was measured indirectly by 3D laser scanner. There are 16 items in the foot anthropometric measurements. The $6^{th}$ Size Korea (measured by 3D scan data) is used for women's foot data. The results of the 3D measurements data investigation show that the foot length and foot width became longer and wider as the age increased. It is classified by three types after analyzing foot shape. Type 1 (28.1%) represented the shortest foot length, the narrowest foot width as well as the thick foot and long ankle shape. Type 2 (4.3%) represented the wide foot width such as the wide lateral ball width and semi-thickness shape. Type 3 (67.7%) referred to the widest foot width, flat foot and short ankle shape.

3D Scanner를 이용한 여성용 기성복 재킷의 착의적합성에 관한 비교평가연구 (A Study on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wearing Fitness of Women′s Ready-made Jackets Using 3D Scanner)

  • Kim, Haekyung;Eunyoung Suk;Park, Soonjee;Chuyeon Suh;Jiyoung Lim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707-1718
    • /
    • 2001
  • 본 연구 목적은 3차원 인체 스캐너를 이용하여 여자 기성복 재킷의 여유량을 비교, 분석하는 것으로, 2사이즈 7브랜드의 재킷의 공극량을 계측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재킷 단면둘레 분석 결과, B85(품), B8(허리)를 제외하고 브랜드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전반적으로, 브랜드간 제품치수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체와 재킷의 단면둘레 분석 결과, 재킷의 배둘레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피험자, 재킷 모두 사이즈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 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본사이즈 B85에서는 허리를 제외하고는 패턴 F가 가장 여유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B88의 경우, 부위별로 각기 다른 패턴에서 여유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각 부분마다 브랜드별로 그레이딩 룰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넷째, 착의 단면은 인체와 의복간의 여유량 분포를 명백히 보여주며, 어깨, 가슴, 엉덩이처럼 몸에 밀착되는 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해 패턴간, 각도별 변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 허리, 배에서는 옆보다는 앞, 뒤로, 가슴에서는 앞뒤 좌우의 30$^{\circ}$방향, 엉덩이의 경우, 옆, 뒤보다는 앞쪽에 여유량이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패턴 F가 가장 공극량이 많고, 패턴 D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이즈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t-검정 결과, 품과 배 부분에서, B88이 B85보다 공극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 기준부위인 가슴, 허리, 엉덩이 부분뿐만 아니라 품, 배둘레의 치수에 대응할 수 있도록 그레이딩 룰 값을 산정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

3D Scanner를 이용한 foundation 착용시의 인체 변화 계측 (Body Shape Variations Measurements with 3D Scanner for Wearing Foundation)

  • 박지은;김희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651-657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e body configuration and to observe any space between skin and foundation. A special 3D scanner was used to analyze this foundation. Experimental foundations were brassiere, girdle, and all-in-one. Four subjects volunteered, each subject was scanned while wearing foundation and not wearing foundation. Body shape variations were analyzed with an Auto CAD and ScanWax program which analyzes cross section of the skin surface to look for any changes. Height was increased all parts of body, circumference was increased in breast and bust while wearing the foundation. The hip thickness was not increased with wearing the foundation. Therefore this foundation makes people have a different appearance due to unexpected body shape variations. The effects of this foundation should be classified by observing height, circumference, and thickness changes in the body.

3차원 스캔 데이터에 의한 초등학생의 발 성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eet Growth by 3D Scan Data)

  • 이정은;도월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35-944
    • /
    • 2014
  • This study was ab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eet growth, comparing and analyzed the measured values and the index values of 3D scan data. A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measured values, the all measurement items excluding 'Toe 5 angle' showe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age classes, knowing tha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eet were continually grown. Although, the items of length, thickness, width, height and circumference indicate some rapid growth of feet at 11 years old, but it appears slowing growth of 'Foot width' after the age of 11 years old. The angle item didn't show any sequential differences according to ages. A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index values, the children in higher grades have longer 'Toe 5', thicker ankles, wider and thicker the superior part of feet than the children in lower grades. For the superior and the middle part of feet were lowly raised, their Arch height was low and thick. The inferior part of feet showed narrow width and higher height. Giving that the Medial ball width was wide and the Toe 1 angle is high for the children in higher grades, it is expected that the Metatarsophalangeal I might be more projected than that of children in lower grades. Likewise, knowing that the male students' feet shape was bigger than female students' feet from the result that the male students' index values were higher.

3차원 인체 측정치들을 이용한 중년 여성의 유방 형태에 따른 유형 (Classification of Middle Aged Women's Breast Shapes Using 3D Body Measurement Data)

  • 이현영;홍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85-392
    • /
    • 2010
  • The breast types of middle-aged women of 80A (formerly 80B) size were classified through a 3D scanned nude body. Thirty seven measurements including the radius of curvature, surface area, volume, surface length, and breast displacements were used as input variables. We extracted five main factors through the factor analysis of the measurements and classified 36 subjects into 3 clusters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the size of the breast, breast sag, the curvature of the inner and the outer breast curve, the width of the breast, and the nipple direction were found as the main factors. For the results of the classification of breast types, Cluster 1 was characterized by narrow breast width and unsymmetrical under the breast curve, whereas Cluster 2 was a wide and sagged shape. Cluster 3 was classified into big breast volume and symmetrical under-breast curve. The results are useful to the product development of high quality brassieres which reflect the 3D characteristics of breast types of middle-aged women.

2D 데이터에 의한 여고생의 발바닥 유형 분석 (Classification of Sole Types for Female High School Students by 2D scan data)

  • 이정은;도월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77-984
    • /
    • 2013
  •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 of sole for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by the shape of the sole (plantar view) using 2D scan dat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foot anthropometry of 31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and Jeollanam-do. Left feet and right feet were measured indirectly by using flatbed scanner. The sol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consisted of 24 item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nto the differences between left and right feet soles by the 2D measurements data indic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length of items. The left sole had higher values than right sole in the width items and angle items; however, the lateral side of the right feet projected to the outside more often than left feet. In analyzing foot sole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shapes of sole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ype 1(41.94%), Type 2(36.77%), Type 3(21.29%). The most characteristic sole type for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as Type 1. Type 1 referred to a narrow foot width with little or no curvature of the toe. Type 2 represented the longest foot, with foot width shown as a spacious and distinctive feature in width at the medial area of the foot. Type 3 represented the shortest and widest of ball width, gathered inside toe 5, and lateral side as the most projected among the three types.

3차원 스캔을 활용한 상체 피부표면의 Non-extension line 분석 (Analysis of non-extension line on upper body using 3D scanning)

  • 최지영;오염군;홍경희;서혜원;김시조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9-242
    • /
    • 2009
  • 최근 3 차원 측정 기술을 활용한 운동 기능성의 향상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예로 3 차원 인체 정보를 이용한 의복패턴 제작 시에 필요한 절개선으로 피부상에서 동작 시 늘어나지 않는 선(Lines of Non-Extension, LoNE)을 찾아내어 활용한 연구가 발표된 바 있다. 이러한 LoNE 은 기존 의복구성을 위한 봉제선이나 기능선으로 활용될 때 동작기능성을 저해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웨어에서 활동성이 큰 상체의 어깨부위에서 Lines of Non-Extension 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20 대 후반 남성 2 명을 대상으로 체표의 등 부분에서 3cm 간격으로 계측점을 표시한 후 3D 인체 데이터 (Cyberware, WB)를 획득하였다. 측정시의 자세는 팔을 $30^{\circ}$, $90^{\circ}$, $135^{\circ}$, $180^{\circ}$ 외전시켰다. 피부 표면에서의 길이 변화는 구획의 크기를 달리하면서 가로, 세로, 사선방향으로 동작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변화량은 정자세($30^{\circ}$)를 기준으로 A 라 하였을 때, 기준자세와의 차이가 가장 큰 변화량을 보인 자세를 B 라 하고 A 와 B 간의 차이로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NASA 의 Biosuit 에서 소개된 Iberall(1970)의 LoNE 중 진동둘레를 포함한 팔 부위와 등, 어깨 부위에서 유사한 라인을 찾았다. 본 연구에서와 같이 구획별 사선방향 피부 변화량을 측정하는 것은 피부면에 숨겨진 인간공학적 의복 기능선을 탐색하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인체기생 열두조충류의 형태비교 및 진단적 소견 (Micrographic Comparison of Proglottids and Ova in Some Tapeworms(Family: Diphyllobothridae) from Man)

  • 류장근;양용상;강성구;백승한;임신영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5-72
    • /
    • 1998
  • 최근 우리나라는 열두조충과 (Diphyllobothridae)에 속하는 조충류의 인체 감염예가 빈번하게 보고되고 있다. 이는 본 조충류의 감염매체인 어류를 날 것으로 생식할 기회가 많으며, 또한 본 조충류의 제1중간숙주인 물벼룩이 음료수를 통한 인체 감염이 원인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조충류의 진단은 충체에 있어 두절과 편절의 형태학적 특징을 감별하여 종의 분류와 진단을 하는 것이 기본적 순서가 될 것이나, 1차적으로 가능한 진단은 환자의 증상 참작과 분변으로부터 충란을 발견 감별하게 된다. 특히 광절열두조충류의 충란에 의한 종감별은 환자로부터 편절이나 충체의 확실한 감별을 위한 사전 정보를 가늠하는 뜻에서도 중요성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환자의 치료와 함께 수집된 Diphyllobothrium latum, D. latum parvum 그리고 Spirometra erinacei의 편절과 충란을 재료로 형태 및 진단적 결과를 분석한 바 그 성적은 다음과 같다. 1.환자의 분변에서 수집된 충란 50개씩을 각자 선택하여 형태와 크기에 대한 계측을 실시하였다. D. latum의 충란은 난개가 있고 난원형 또는 타원형의 모양으로 관찰되었으며 D. latum parvum은 D. latum에 비하여 더 난원형이면서 작게 관찰되었다. S. erinacei의 충란은 폭이 비대칭적이며 길쭉한 모양으로 관찰되었다. 2. D. latum, D. latum parvum 그리고 S. erinacei이 충란의 크기에서 충란의 평균 길이와 폭은 각각 61.4$\times$41.7 $\mu\textrm{m}$, 55.9$\times$41.4 $\mu\textrm{m}$ 그리고 66.7$\times$36.4 $\mu\textrm{m}$이었다. 3. 각 조충의 편절을 고정 한 다음, 첫째 포매 하고 microtome으로 절편을 만들어 hematoxylin-eosin 염색을 실시하였고, 둘째 고정과 함께 semicon's aceto-carmine 염색표본을 작성하여 현미경 관찰을 한 결과 D. latum과 D. latum parvum은 생식선이 편절의 중앙선상에 위치하고 개구된 자궁구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편절의 양측에 난황이 follicle로 관찰되었으며 전형적인 rosette모양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D. latum parvum은 D. latum에 비하여 아주 작은 크기로 관찰되었다. 5. erinacei의 편절은 자궁이 나선형으로 5~7회 이상으로 말려서 관찰되었고 음경낭 안에서 저정낭이 이어져 연결되고 있었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는 편절의 형태특징과 함께 충란 크기에 대한 계측과 분석을 하고자 하였으며, 광학현미경에 의한 계측치로 세 종류의 조충 감별에 유의한 참고치를 제기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