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D 렌더링

Search Result 48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High Performance Reflection Effect Processing for Moving Pictures in 3 Dimensional Graphics (3차원 그래픽스의 동영상에 대한 반사 효과의 고속처리)

  • Lee, Seung-Hee;Lee, Keon-My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9 no.3
    • /
    • pp.444-449
    • /
    • 2009
  • With the advance of high performance computing hardware, many applications have been emerging which exploit real-time computer graphics capabilities.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an effective realization method for reflection effect for the situations in which moving pictures are played in 3D computer graphics modeling world. The method determines in an geometric way the locations of the projection plan into which the playing areas of moving pictures are mapped, and then realizes the reflection effect with texture mapping.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stencil buffer-based reflection method, the processing time of the proposed method does not significantly deteriorate for the models with moving pictures and reflection surfaces, and its throughput was improved by 30% at minimum and 127% at maximum for the models used in the comparative studies.

Findings of an Intravenous Catheter Fragment in the Vein Using the 3D Image Reformations of MDCT (정맥내의 IV 카테터 조각의 3D MDCT 재구성 영상)

  • Kweon, Dae-Cheol;Yoo, Beong-Gyu;Yang, Sung-Hwan;Kim, Jeong-Goo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17 no.3
    • /
    • pp.167-172
    • /
    • 2006
  • Catheter fragment and embolism are both potentially serious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use of an intravenous (IV) catheter for contrast media bolus injection, and may be followed by serious or lethal sequelae. Though catheter fragment is a rare complication of IV catheter insertion, especially in peripheral veins, CT can be used to detect residual fragment. This study demonstrates the utility of MDCT to localize a small, subtle peripheral venous catheter, which can be easily reformatted of MDCT reformations. Various 3D techniques such as MPR and MIP, volume rendering, and shaded-surface displays are currently available for reconstructing MDCT data. Advances in MDCT technology contribute substantially to the detection and accurate localization of smaller IV catheter fragment.

  • PDF

Reproducing water flow using 3D game engine (3D게임엔진을 이용한 물 흐름 재현)

  • Woochul Kang;Eun-kyung J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32-432
    • /
    • 202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의 안동하천연구센터(Andong River Experiment Center, REC)는 다양한 하천 관련 실규모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3개의 수로를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의 주목적인 실증 실험 계측 결과를 기반으로 3D 게임엔진을 이용하여 물 흐름을 재현하기 위해 A1 수로를 대상구간으로 설정하였다. 실증 실험의 경우 2개의 수문 개도율 조건에서 ADV와 ADCP를 활용하여 계측된 유량 및 유속 결과들을 비교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영상 데이터로 부터 표면유속(LS-PIV)을 산정하였다. 3D 게임 엔진은 렌더링 엔진, 물리 엔진, 오디오 엔진, UI 시스템, 게임플레이 프레임워크 등이 잘 융합된 소스코드들과 개발자들이 이용하기 쉬운 방식으로 변환된 툴(tool)로 제공하여 현실 세계를 가상 세계에 시각화하여 구현하는데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흐름 재현이 가능한 수리/수문 모델링의 경우 특정한 목적으로만 이용가능하고 연산에 소용되는 시간 때문에 실시간 흐름재현이 어렵지만, 3D 게임엔진을 이용하는 경우 다양한 목적과 여러 분야와의 고려가 동시에 가능하며 연산의 단순화를 통해 실시간 흐름 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리얼 엔진의 Niagara Fluids와 Fluid flux 툴들을 활용하여 하천실증실험 시설 일부 구간에 대해 물 흐름을 재현하였다. 먼저 하천실험실증시설을 드론과 RTK-GPS를 이용하여 촬영된 결과를 정합하여 3D 게임엔진 기반 흐름 재현을 위한 지형 기초 자료를 구축하였다. 지형 계측 결과를 기반으로 A1 수로 전체 구간을 대상구간으로 설정한 이후 수문 조절을 통해 흐름 조건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며, 실제 흐름에 대한 계측 결과를 기반으로 재현된 흐름을 대상으로 material 값의 조정(방향 X, Y값을 RGB값으로 변환한 뒤 벡터 길이 값으로 환산)을 통해 0~100 사이 값을 이용하여 유속을 표현하였다. 최근 가상공간 (i.e. 디지털트윈) 관련 시장 성장이 매우 빠르고 다양한 사업에서 해당 기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물 흐름의 디지털 트윈화를 위한 수단으로서 3D 게임 엔진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만 실제 하천의 적용과 하천관리를 위한 실용화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와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A System for 3D Face Manipulation in Video (비디오 상의 얼굴에 대한 3차원 변형 시스템)

  • Park, Jungsik;Seo, Byung-Kuk;Park, Jong-Il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4 no.3
    • /
    • pp.440-451
    • /
    • 2019
  • We propose a system that allows three dimensional manipulation of face in video. The 3D face manipulation of the proposed system overlays the 3D face model with the user 's manipulation on the face region of the video frame, and it allows 3D manipulation of the video in real time unlike existing applications or methods. To achieve this feature, first, the 3D morphable face model is registered with the image. At the same time, user's manipulation is applied to the registered model. Finally, the frame image mapped to the model as texture, and the texture-mapped and deformed model is rendered. Since this process requires lots of operations, parallel processing is adopted for real-time processing; the system is divided into modules according to functionalities, and each module runs in parallel on each threa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specific parts of the face in video can be manipulated in real time.

Assembly Part Image-based 3D Shape Retrieval using Attentional View Pooling (Attentional View Pooling을 이용한 조립 부품 이미지 기반 3 차원 물체 검색)

  • Lee, Eun Ji;Kang, Isaac;Kim, Min Woo;Park, Seon Ji;Cho, Nam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72-75
    • /
    • 2020
  • 조립 부품 이미지에 해당하는 3D CAD 모델 매칭 기술은 최근 로봇 조립 기술의 발전으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미지 기반 3 차원 모델 매칭 연구는 진행되어 왔지만 가구 부품 이미지와는 특성이 다른 RGB[5] 이미지나 스케치 이미지를 다루는[1] 접근들이었다. 딥러닝을 사용하는 스케치 이미지 기반 3 차원 물제 검색 연구에서는 대부분 3 차원 이미지를 다각도에서 렌더링한 view 이미지들에서 feature를 추출하고 pooling 하여 하나의 feature를 출력한다. 그러나 기존의 view pooling 방식은 단순한 평균 방식으로, 부품 이미지에 따른 view를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립 부품 이미지 기반 3 차원 물체 검색을 위해 query 부품 이미지에 따라 다른 view 이미지에 집중할 수 있는 방식의 attentional view pooling을 제안한다. 또한 조립 부품 데이터의 특성 상 class 당 CAD 모델이 하나인 상황이므로 학습 데이터가 터무니없이 부족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학습 데이터 증강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은 의자 부품 11가지에 대해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제안하는 방식의 성능을 입증하였다.

  • PDF

Generating Face Textures for 3D Avatars from Photos (실사 영상을 사용한 3차원 아바타 얼굴 텍스쳐 생성)

  • Kim, Dong-Hee;Yoon, Jong-Hyun;Park, Jong-Seu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8 no.1
    • /
    • pp.49-58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xture generation scheme for 3D avatars from three or more human face photos. First, we manually mark image positions corresponding to vertices of a given UVW map. Then, a face texture is automatically generated from the photo images. The proposed texture generation scheme extremely reduces the amount of manual work compared with the classical methods such as Photoshop-based schemes. The generated textures are photorealistic since the textures fully reflect the naturalness of the original photos. The texture creation scheme can be applied to any kind of mesh structures of 3D models and mesh structures need not be changed to accommodate the given textures. We created face textures from several triplets of photos and mapped them to 3D avatar face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visual realism of avatar faces is much enhanced by the face textures.

  • PDF

Progressive Compression of 3D Triangular Meshes Using Quadratic Surface Fitting (2차 곡면 정합을 이용한 점진적 압축 기법)

  • Koh, Yeong Jun;Ahn, Jae-Kyun;Lee, Dae-Youn;Kim, Ch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143-144
    • /
    • 2010
  • 3차원 메쉬는 전송과 저장에 많은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3차원 메쉬의 효과적인 전송 및 렌더링을 위해서는 3차원 객체에 대한 압축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논문은 점진적 전송을 위한 기하 정보 압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점진적 전송에서 각 레벨마다 추가되는 점의 기하 정보를 예측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제안하는 기법은 상위 레벨의 점들을 이용하여 2차 곡면을 추정하고, 추정된 곡면을 통해 기하 정보를 예측 부호화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기하 정보 압축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Hybrid Audio Technology Trends for Immersive Sound Service (고현장감 오디오 서비스를 위한 하이브리드 오디오 기술동향)

  • Jang, D.;Lee, Y.J.;Yoo, J.;Lee, T.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1 no.3
    • /
    • pp.81-90
    • /
    • 2016
  • 현재, 극장 사운드를 중심으로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포맷의 사운드 서비스가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미국, 유럽, 한국 등에서는 차세대 방송용 오디오에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은 콘텐츠의 제작단계에서 재생환경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현장의 음향을 신호와 3차원 공간정보로 구분하여 음향공간의 정보를 그대로 표현함으로써, 재생단말에서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재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객체기반 실감음향 기술개발을 위해서는 편리한 제작 및 3차원 공간정보 표현 기술이 필요하며, 청취환경에서는 객체기반 실감음향 콘텐츠를 제작자의 의도대로 렌더링할 수 있는 재생 및 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객체기반 실감음향 기술이 포함되는 하이브리드 오디오 기술의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 method of Animations for Interactive Deformation of 3D Real Objects (3차원 실사 객체의 대화형 변형을 위한 애니메이션 방법)

  • Park, Jungsik;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11a
    • /
    • pp.88-8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미리 모델링된 실객체에 대한 3차원 모델을 변형하면서 애니메이션을 정의하고, 실사 객체를 추적하면서 카메라 뷰 상의 실사 객체에 애니메이션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애니메이션 정의는 라플라시안 기반 메쉬 변형 방법으로 3차원 모델을 변형시키며 키프레임을 지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정의된 애니메이션은 실제 환경에서 추적된 실사 객체의 영상으로부터 모델에 텍스처를 입힌 뒤, 카메라 포즈를 이용하여 객체 위치에 객체 모델을 렌더링할 때 적용된다. 제안된 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실제 환경에 대한 카메라 뷰 상에서 실사 객체가 변형되는 모습을 용이하게 보여줄 수 있다.

  • PDF

Design of the Pipelined Scan Conversion Unit based on Tile Traversal Method for High Performance 3D Graphics Accelerator (고성능 3차원 그래픽 가속기를 위한 타일 트래버설 방식의 파이프라인된 스캔 컨버젼 유닛 설계)

  • 전원호;최문희;박우찬;한탁돈;김신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16-18
    • /
    • 2001
  • 3차원 영상을 처리하는데 있어 래스터라이제이션은 프레임 버퍼에 저장될 픽셀을 구하는 과정이다. 여러 개의 픽셀로 구성되는 폴리곤을 렌더링하기 위해서 스캔라인 방식 또는 반 평면 함수를 이용한 타일 트래버설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기반으로 하고 있는 타일 트래버설 방식은 스캔라인 방식에 비해 메모리 효율 및 텍스쳐 캐쉬의 지역성에서 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복잡한 탐색 과정 때문에 파이프라인 구조로 구현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구조는 분기 예측 기법을 적용하여 트래버설 과정에서의 분기로 인해 발생되는 파이프라인 지연을 기존의 트래버설 구조에 비해 약 30% 정도 줄임으로써 고성능 3차원 그래픽 가속기에 적합한 스캔 컨버젼 유닛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