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D 디스플레이

Search Result 926,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User-Centric 3D Stereoscopic Display Technologies (사용자 중심형 3D 입체 디스플레이 기술)

  • Yang, U.Y.;Ryu, S.W.;Kim, K.H.;Lee, G.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3
    • /
    • pp.51-61
    • /
    • 2012
  • 정보통신과 콘텐츠 기술의 발달로 소비자는 고품질의 2차원 가시화 형태의 콘텐츠에 만족하지 않고, 보다 사실적인 체험이 가능한 3D 콘텐츠를 요구하고 있다. 2010년대에는 이미 3D 입체 디스플레이 기술이 소비자 가전 시장에서 주요 관심 대상이 되었고, 가상현실 연구의 전통적인 가시화 인터페이스로 활용된 착용형 디스플레이와 몰입형 및 대형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도 3D 영화관 및 전시관 등을 통해서 일반 소비자기 쉽게 체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3D 입체 디스플레이 기술은 사용자 개인을 중심으로 보다 사실적인 입체감과 공간감을 제시하려는 형태로 발전되고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개인 사용자 중심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기술과 고품질의 3D 영상 체험을 제공하는 관련 디스플레이 기술의 동향을 정리하고, 국내 최신 연구 개발 사례를 소개한다.

  • PDF

기획특집 (2)_3D 디스플레이 산업의 동향 - Wire Grid 3D디스플레이

  • Lee, Seong-Jung
    • The Optical Journal
    • /
    • s.126
    • /
    • pp.31-33
    • /
    • 2010
  •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3D 영화 "아바타"가 한 동안 조용했던 3D 시장에 엄청난 충격파를 던지고 있다. 상상력을 자극하는 할리우드제작 영화 특유의 실감나는 영상에 입체감이 배가되면서 3D 영상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눈높이를 빠른 속도로 끌어올렸다. 전자업계가 본격적인 3D TV 마케팅에 나서고 있으며, 첨단 기술로 무장한 3DTV를 잇따라 발표할 예정이고 장외에선 시장선점을 위한 홍보전도 치열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자업체의 3D TV 마케팅이 영화 아바타가 만들어낸 3D 열풍을 이어 갈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D 관련 여러가지 분야 중에서 3D 영상을 입체로 보여주는 3D 디스플레이가 매우 중요한데, 본 고에서는 3D 디스플레이들 중에서, 국내 3D 전문기업인 파버나인코리아가 최근에 발표한 "Wire Grid 3D 디스플레이"의 그 독특한 구조와 놀라운 특징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 PDF

Super Multi-View 3D Display Using Liquid-Crystal Shutter Glasses and Parallax Barrier (액정 셔터 안경방식 3D 디스플레이와 패럴랙스 베리어를 이용한 초다시점 3D 디스플레이)

  • Lee, Hyun-Min;Kwon, Ki-Chul;Park, Jae-Hyeung;Kim, Sung-Kyu;Min, Sung-Wook;Kim, Nam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9C no.2
    • /
    • pp.130-138
    • /
    • 2014
  • In this paper, the SMV 3D display method using liquid crystal shutter glass(LCSG) and SPB has been proposed. The proposed SMV display can solve the resolution degradation problem of conventional multiview displays that using based time-multiplexing method. Also, observers fatigue due to the mismatch between accommodation and vergence problem of glass-type 3D displays and conventional multiview displays, can be improved using SMV 3D display method.

렌즈어레이 기반의 실감 3D 집적 영상 디스플레이와 콘텐츠 생성기술

  • O, Yong-Seok;Sin, Dong-Hak;Lee, Byeong-Gu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3
    • /
    • pp.52-59
    • /
    • 2015
  • 렌즈어레이 기반의 3D 집적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은 비교적 간단한 시스템 구조에서 무안경 방식의 완전시차(full parallax)를 가지는 3D 영상 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중에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렌즈어레이 기반의 3D 집적 영상 디스플레이에 대해서 소개하고, 최근에 성능 향상을 위하여 개발이 진행 중인 시간다중화 3D 집적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과 콘텐츠 생성 기술에 대해서 설명한다.

2D-3D convertible display system having a background of full-parallax integral images (완전시차 집적 영상 배경을 가지는 2D-3D 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 Hong, Suk-Pyo;Shin, Dong-Hak;Kim, Eun-S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3 no.2
    • /
    • pp.369-375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2D-3D convertible display system having a background of full-parallax integral images. The proposed system is composed of integral imaging system and conventional 2D flat display and is able to operate either 3D mode or 2D mode. In 3D mode, the 3D image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2D main image with the background image based on integral imaging. In 2D mode, the integral imaging system plays a role as the back-light of 2D flat display and then 2D image is observed through 2D flat display. To show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system, we carry out the preliminary experiments and present the successful experimental results.

Study on Applying 3D Display Device for Effective Update of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Stereovision (입체시 기반 공간정보의 효율적 갱신을 위한 3차원 디스플레이 장비 적용에 관한 연구)

  • Choi, Sun-Ok;Kim, Dong-Wook;Kim, Deok-In;Wie, Gwang-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9 no.6
    • /
    • pp.601-611
    • /
    • 2011
  • The paper deals with the selection of 3D display devices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conveniences and accuracy of spatial information by applying 3D display devices to Spatial Information Update System (SIUS) which generate edit and update digital thematic maps. After applying different manufacturer's 3D display devices to SIUS, aerial images acquired from the stereo images were displayed through the devices and spatial information was extracted from the displayed 3D images. Assessment of 3D display devices were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n accuracy of spatial information and user's conveniences. Planar's PL2020 and Redrover's Tru3Di 3D monitor has expressed outstanding display environment in 3D related tasks for the generation of spatial information compared to other 3D display devices. System improvement is expected regarding accuracy of spatial information, work efficiency and user's conveniences.

Subjective Video Quality Comparison of 3D Display Monitors (3D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주관적 화질 상관도 비교)

  • Youn, Sungwook;Ok, Jiheon;Yim, Donghyun;Han, Taehwan;Lee, Chulhee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8 no.3
    • /
    • pp.416-424
    • /
    • 2013
  • Recently,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international standards related to 3DTV quality assessment underway in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and Video Quality Experts Group. Unlike conventional 2D displays, there are several types of 3D display monitors: passive glasses, active glasses and auto-stereoscopic. In this paper, we performed subjective video quality tests using various 3D display monitors,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se display monitors can produce consistent perceptual video quality scores for processed video sequenc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ubjective scores of those 3D monitors are highly correlated and it appears that similar subjective scores will be obtained even when different types of 3D displays are used.

A Study on 3D Autostereoscopic Display System with Polarized Step Barrier for Provide Improved 3D Image (향상된 입체 이미지를 제공하는 편광 스텝 배리어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연구)

  • Han, Sung-Ho;Kim, Jin-Su;Lee, Sang-H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97-100
    • /
    • 2011
  • 본 논문은 다시점을 갖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안경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완성 단계에 도달하면서 무안경 3D 디스플레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무안경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기존의 패럴랙스 배리어 중 스텝 배리어에 편광자의 빛을 흡수하는 특성을 적용하여 깊이 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영역을 제거하므로 관찰자는 더 매끄럽고 자연스러운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3D Display Simulator (3D 디스플레이 시뮬레이터의 개발)

  • Kim, Ki Hyuk;Lee, Ho-Dong;Park, M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327-328
    • /
    • 2011
  • 3D 영상산업이 발전해 오면서 현재 3D 영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stereoscopic 이다. 이러한 stereoscopic 영상을 표현해 주는 기기로써, 셔터식 혹은 편광식 3D 디스플레이가 사용되고 있으며 두가지 방식 모두 제품화가 이루어져 경쟁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3D 디스플레이에 관련하여 crosstalk 문제는 해결해야 하는 가장 큰 문제로 남아 있다. 본 논문에서는 편광식 3D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파라메터에서 나타날 수 있는 crosstalk를 시뮬레이션하여 보여주는 시뮬레이터를 제안한다. 다양한 옵션하에서 나타날 수 있는 crosstalk를 시뮬레이션하여 보여줌으로써, 3D 디스플레이의 제작에 있어 crosstalk를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의 파라메터를 찾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