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D 게임

Search Result 926,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3D Network Game using Hoseo 3D Online Game Engine (호서 3D 온라인 게임엔진을 이용한 3D 네트워크 게임개발에 관한 연구)

  • 오정헌;박숭승;강종호;최삼하;김경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643-646
    • /
    • 2003
  • 호서 3D 온라인 게임 엔진은 렌더링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3D 엔진(클라이언트 부분)과 네트워크 기능을 담당하는 서버 엔진(서버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은 호서 3D 온라인 게임 엔진을 이용한 3D Tank 데모 게임을 제작하기 위해 일반적인 게임 진행 루프를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게임의 목적에 따라 설계하였다. 또한, 설계에 따른 실제 3D Tank 데모 게임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3D 온라인 게임 엔진 요소의 효율적인 통합에 대해 고찰한다.

  • PDF

Study on a 3 Dimension Game Engine: Development of the Game ″3D Fortress″ (3D 게임 엔진 연구: ″3D 포트리스″ 게임 개발 사례)

  • 우석진;이동희;이동건;신일경;박승호;장효선;김호준;최승관;김경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63-466
    • /
    • 2000
  • 온라인 3D 컴퓨터 게임에서 크게 대두되는 두 가지 기술 분야는 3D 연출 기술과 온라인 기술이다. 3D 연출 기술은 3D 가속기의 출현으로 더욱 발전을 할 수 있었고, Microsoft사의 DirectX가 나옴으로써 다양한 하드웨어를 좀더 쉽게 제어할 수 있게 되어 게임 산업은 한층 더 발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DirectXrl반의 3D 기술을 응용하여 게임 엔진을 만드는데는 게임의 특징에 따라 엔진 구성이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최종 게임 엔진까지는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DirectX를 이용해서 3D 온라인 기반의 게임을 제작할 수 있는 3D 엔진을 구현하였고 포트리스 3D 라는 3차원 온라인 슈팅 게임의 개발에 적용한 사례를 발표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tion Blur Effects based for 3D Graphic Game (3D 그래픽 게임에서 모션블러 효과 개발을 위한 연구)

  • 최학현;이명학;김정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721-723
    • /
    • 2003
  • 오늘날 2D 그래픽 게임 개발에서 점차적으로 3D 그래픽 게임을 만들게 되는 추세이다. 3D 그래픽 게임의 문제는 역시 그래픽 처리 속도이다. 많은 3D 그래픽 게임 개발사들이 제한된 하드웨어의 성능으로 인하여 표현에 한계를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하드웨어의 발달의 3D 그래픽 게임을 즐기는 게임 유저들에게 보다 나은 게임 환경에 대한 욕구가 늘어나게 된 것이다. 3D 그래픽 게임에 화려하고 멋진 그래픽 기술들이 존재한다. 그러한 기술들은 고성능의 하드웨어를 요구하는 것들이 많고 실제적으로 게임에서 사용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어려운 문제점의 하나인 Motion Blur Effect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들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3D 그래픽 게임에서의 Motion Blur Effect 의 가장 큰 문제점인 게임 속도의 전반적인 속도 저하를 해결하는 방법과 프로그램 디자인과 프로그램 구현을 Offscreen Buffer를 이용하는데에 초점을 두었다.

  • PDF

A Study on the Technology Tendency for Mobile 3D Game Engine (모바일 3D 게임엔진 기술동향 연구)

  • Ko Byeong-Hee;Kim Soon-Goh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11a
    • /
    • pp.19-24
    • /
    • 2005
  • Mobile game market is now developed to 3D game service environment from existing 2D game, low storage capacity, by alteration of platform, demand of related enterprises, and appearing game phone as well as game portal site. This paper analyses keynote of 3D game engine in comparison with examples of mobile 3D game engine, using commonly in the inside of outside of country.

  • PDF

A Study on Production of Low Storage Capacity of Character Animation for 3D Mobile Games (3D 모바일 게임용 저용량 3D캐릭터 애니메이션 제작에 관한 연구)

  • Lee Ji-Won;Kim Tae-Yul;Kyung Byung-Py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5 no.5
    • /
    • pp.107-114
    • /
    • 2005
  • The next generation of 3D mobile games market is becoming increasingly active, more as a result of improvement in the CPU speed of hardware phone, embarkation of 3D engines and high memory capacity, In response to this trend, popular 3D games of PS2 (PlayStation2) and popular online games are being launched as mobile games. However, mobile units have different hardwar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ose of other platforms such as the PC or the game console. Therefore, mobile game versions of the popular PC games face many limitations in many aspects such as in battery capacity, size of display, capacity of the game, and other user interface issues. Among these many limitations, study for allowing low capacity storage of the game is becoming important. In addition, realistic animation of the 3D character on the small screen of the mobile unit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mat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solution to providing realistic 3D character animation, and for decreasing the storage capacity of character animation for application in 3D mobile games.

  • PDF

Development of an Authoring Tool for Producing 3D Games (3D 게임 제작을 지원하는 저작도구의 개발)

  • Lee Hunjoo;Kim Hyunbi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7 no.10
    • /
    • pp.1464-1477
    • /
    • 2004
  • Recently, there is a growing consideration that game authoring tool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ducing 3D games. In this paper, we introduce our 3D game authoring tool. The tool consists of a map editor, a sound editor, a game data exporter/previewer, and a special effect editor. This tool can help a game designer Produce game data such as game maps, sound effects, and special effects, and so on.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 prototype game conten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authoring tool.

  • PDF

Aria Online: On-Line Game Using Dream3D (아리아온라인: Dream 3D를 이용한 온라인게임)

  • 이헌주;김현빈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7 no.4
    • /
    • pp.532-541
    • /
    • 2004
  • Computer game has become the core part of multimedia area in our knowledge and information based society Recently, computer game has been evolving into on-line 3D games which give players more realism from the existing on-line 2D games. We are competitive in developing on-line 2D games. However, we have difficulties in maintaining the competitive edge in the area of 3D game technologies owing to the limited technologie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develop Aria Online, an on-line 3D prototype game using Dream3D. The on-line game supports simultaneous connections of multi -users on each game server and full flexibility on user's view.

  • PDF

The Study about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and Developing Process of Mobile 3D Game (모바일 3D 게임 제작환경과 개발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Ko Byeong-Hee;Kim Soon-Gohn
    • Journal of Game and Entertainment
    • /
    • v.1 no.1
    • /
    • pp.23-30
    • /
    • 2005
  • The paradigm of mobile game contents move from 2D to 3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recent mobile technology and the change of the market environment. Therefore the game manufacturers are concerned about them but the game is developed in the 3D solution manufacturers which have high technology and some major CP and the game is served through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companies. Almost of the small CP in Korea ·also judge the mobile 3D game as a next source of benefit so they prepare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3D game in the future value in market and the industry survival strategy but the game has defects. They take more developing hours and cost than the 2D game and the lack of manpower for the development and the inform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researched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being the optimization of mobile environment and developing process of 3D game in order to grope for overcoming different these circumstances.

  • PDF

A Case Study on Avatar System Design for 3D Game Development (3D 게임 아바타 시스템 디자인 사례연구)

  • Kim, Jung-Yoon;Chang, Hee-Dong;Kim, Tea-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8.06a
    • /
    • pp.117-123
    • /
    • 2008
  • 사이버 공간에서의 3D 아바타 게임은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아바타는 기업들에게 새로운 수익 모델 및 마케팅 방법이 되고 있다. 3D 아바타 시스템은 개발 방법과 과정, 설계과정이 어려움이 많이 있다. 그 이유는 아바타 시스템 디자인 설계에 따라 향후 서비스 시 수익모델의 차이가 많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서 온라인 게임 개발자들이 많은 시행착오가 있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이러한 국내 실정에서 3D 아바타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아바타의 비중이 높고, 많이 사용되는, 온라인 캐주얼 게임에 적합한 3D 아바타 시스템 디자인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연구를 위해서 온라인 3D 아바타 제작 사례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실제 게임에 사용되는 3D 아바타 시스템 디자인과정의 소개와 제작 툴을 제안한다.

  • PDF

‘3D 모바일 시장을 선점하라’ 대규모 지각변동 조짐

  • Gwon, Gyeong-Hui
    • Digital Contents
    • /
    • no.7 s.146
    • /
    • pp.22-27
    • /
    • 2005
  • 게임의 패러다임이 2D에서 3D로 변화하면서 모바일게임 시장도 대규모 지각변동 조짐이 뚜렷해지고 있다. 그동안 모바일게임 업계와 유선 게임업계간의 분명한 구분이 있었는데 최근 이러한 영토구분이 허물어지고 있다. 모바일게임 업계와 유선 게임업계간의 제휴 및 독자적인 3D게임 개발 등 3D 모바일게임 시장을 차기 수익원으로 판단, 업체마다 고강도의 시장 대응전략을 마련 중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