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검색결과 65,769건 처리시간 0.093초

X3D-Java 3D 번역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X3D to Java 3D translator)

  • 김윤기;오세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1)
    • /
    • pp.320-322
    • /
    • 2000
  • 인터넷의 빠른 발전과 하드웨어 속도의 향상에 의해 가상현실이 점차 일반 사용자에게도 가깝게 다가서고 있다. 인터넷 가상현실 언어의 표준인 VRML이 XML의 개발과 발전에 의해 차기 버전을 XML의 장점인 용이한 확장성을 수용하는 X3D라 명명하고 표준화를 진행 중이다. 강력한 Java 3D API와 플랫폼 독립적인 바이트코드의 장점을 살려 표준화 단계인 X3D를 별도의 브라우저 없이도 Java 애플릿을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며 또한 앞으로 개발될 X3D 저작도구의 결과물을 Java 3D로 변환하여 Java 3D로 변환하여 Java 3D에 의한 3차원 영상 제작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X3D를 Java 3D로 변환하는 번역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X3D-Java 3D 번역기의 구조를 설계하고 구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XML 파서를 이용하여 X3D를 파싱하고 그의 출력인 AST를 순회하면서 Java 3D 파일을 생성한다. X3D DTD와 Java 3D 클래스의 구조 정보를 독립된 자료로 처리하여 계속 변하게 될 두 언어의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처하면서 구현 방법의 큰 변화없이 이용할 수 있게 설계하고자 한다.

  • PDF

3D 발 스캐너와 3D 프린터를 이용한 남성화 라스트 설계 (Last Design for Men's Shoes using 3D Foot Scanner and 3D Printer)

  • 오설영;서동애;김형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86-199
    • /
    • 2016
  • 구두를 제작하는 기본 틀인 라스트는 3차원 형상과 관련된 정보와 기술이 총체적으로 집약된 결과물이다. 해외에서는 이미 3D 프틴팅 기술을 이용한 구두 제작이 상용화 단계에 도달하였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도입 초기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제화산업의 경쟁력 확대를 위해, 3D 스캐닝, 3D 모델링, 3D 프린팅의 첨단 기술로 구성된 3D 제작 프로세스를 라스트 제작에 도입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도 SizeKorea에서 3D 스캔한 30대 남성 200명의 3D 발 형상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3개의 발 유형을 분류한 후, 각 유형별 대표모델을 선정하였다. 대표모델들의 3D 스캐닝 형상에서 XY, YZ, XZ평면의 단면도들을 추출하고, 라스트 모델링의 스케치 단면으로 사용하였다. Solidworks CAD를 사용하여 라스트를 3D 모델링하였으며, 보급형 3D 프린터인 MakerBot Replicator2로 3D 프린팅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제화산업에서 3D 프린팅 기술의 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3D 스캐닝, 3D 모델링, 3D 프린팅의 3단계 생산설계 방식은 향후 의류패션산업 전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얼굴인식을 위한 3D Active Appearance Model (3D Active Appearance Model for Face Recognition)

  • 조경식;김용국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006-1011
    • /
    • 2007
  • Active Appearance Models은 객체의 모델링에 널리 사용되며, 특히 얼굴 모델은 얼굴 추적, 포즈 인식, 표정 인식, 그리고 얼굴 인식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초의 AAM은 Shape과 Appearance가 하나의 계수에 의해서 만들어 지는 Combined AAM이였고, 이후 Shape과 Appearance의 계수가 분리된 Independent AAM과 3D를 표현할 수 있는 Combined 2D+3D AAM이 개발 되었다. 비록 Combined 2D+3D AAM이 3D를 표현 할 수 있을지라도 이들은 공통적으로 2D 영상을 사용하여 모델을 생산한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stereo-camera based 3D face capturing device를 통해 획득한 3D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3D AAM을 제안한다. 우리의 3D AAM은 3D정보를 이용해 모델을 생산하므로 기존의 AAM보다 정확한 3D표현이 가능하고 Alignment Algorithm으로 Inverse Compositional Image Alignment(ICIA)를 사용하여 빠르게 Model Instance를 생산할 수 있다. 우리는 3D AAM을 평가하기 위해 stereo-camera based 3D face capturing device로 촬영해 수집한 한국인 얼굴 데이터베이스[9]로 얼굴인식을 수행하였다.

  • PDF

Java3D 및 GL4Java로 구현한 인터넷 3D기술 응용 (The Application of Internet 3D Technologies using Java3D and GL4Java)

  • 김병수;강병익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222-230
    • /
    • 2002
  • 다양한 3D 구현 기법들이 웹 상에서 구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에서의 애플릿 구현에 필수적인 Java 언어를 근간으로 하는 2개의 API - Java3D 와 GL4Java - 를 이용하여 웹상에서의 3D 구현 방법에 대하여 논한다. 그리고 3차원쇼핑몰 내비게이션이나 원하는 물체의 실시간 3타원 렌더링 등을 각각 Java3D 및 GL4Java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특히 Java3D에서의 객체의 구현은 널리 이용되고 있는 VRML97, OBJ, 3DS 등의 화일 포맷을 Java3d 로더를 이용한 방식으로 구현하여 다른 방식과의 차별화를 꾀한다. 또한 Java3D 과 GL4Java의 장단점에 대한 상호 비교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 PDF

2D와 3D 영상 시청이 신체피로도, 재인기억 및 각성수준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시청순서와 성차를 중심으로- (Differential Effects of 2D and 3D motion pictures on physical fatigue, recognition and arousal -Focused on viewing order and viewer's gender difference-)

  • 이재식;박동진
    • 감성과학
    • /
    • 제13권4호
    • /
    • pp.621-634
    • /
    • 2010
  • 본 연구는 영상차원(2D vs. 3D), 영상 시청순서(2D ${\to}$ 3D vs. 3D ${\to}$ 2D), 그리고 설험참가자의 성차에 따라 영상 시청에 따른 주관적 피로감, 재인기억, 그리고 각성 수준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시각피로도는 2D 영상차원에 비해 3D 영상차원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게 보고되었고, 특히 3D ${\to}$ 2D의 시청순서 집단에 비해 2D ${\to}$ 3D의 시청순서 집단에서 이러한 차이가 더 뚜렷하였다. 둘째 영상 내용에 대한 정확재인률은 3D ${\to}$ 2D의 시청순서 집단에서만 2D 영상차원에 대한 3D 영상차원의 우세성이 관찰되었고, 특히 시청순서 조건을 통합할 경우 2D 영상차원 조건에서는 여성이, 반면 3D 영상차원 조건에서 남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정확재인률을 보였다. 셋째, 3D영상이 전반적으로 시청자의 각성 수준을 높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경향은 영상차원 자체보다는 3D 영상과 대비되는 2D 영상에 대한 이전의 시청 경험이 더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Eye-Catcher : Real-time 2D/3D Mixed Contents Display System

  • Chang, Jin-Wook;Lee, Kyoung-Il;Park, Tae-Soo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51-54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actical method for displaying 2D/True3D mixed contents in real-time. Many companies released their 3D display recently, but the costs of producing True3D contents are still very expensive. Since there are already a lot of 2D contents in the world and it is more effective to mix True3D objects into the 2D contents than making True3D contents directly, people became interested in mixing 2D/True3D contents. Moreover, real-time 2D/True3D mixing is helpful for 3D displays because the scenario of the contents can be easily changed on playback-time by adjusting the 3D effects and the motion of the True3D object interactively. In our system, True3D objects are rendered into multiple view-point images, which are composed with 2D contents by using depth information, and then they are multiplexed with pre-generated view masks. All the processes are performed on a graphics processor. We were still able to play a 2D/True3D mixed contents with Full HD resolution in real-time using a normal graphics processor.

  • PDF

안드로이드기반 스테레오스코픽 3D 기술 특성분석 연구 (A Characterisitc Analysis Study of Android based Stereoscopic 3D Technology)

  • 김정길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68-73
    • /
    • 2013
  • 최근의 3D 입체 영상 관련 기술의 발달은 스마트폰을 포함한 모바일 단말에서도 3D 입체 영상 서비스의 상용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스마트폰에서의 3D 입체 영상 서비스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와 스테레오스코픽 3D 기술을 이용하고 있으며, 스테레오스코픽 이미지 관련 기술들은 지속적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3D 입체 영상 서비스를 위하여 각각 다른 표준 H.264/AVC, H.264/AVC SEI, H.264/MVC가 MPEG에서 제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스테레오스코픽 3D 기술의 발전과 특히 안드로이드 폰에서의 3D 서비스를 위한 비데오 포맷과 기능들에 초점에 맞추어 기술적 특성에 관한 분석을 행함으로서 그 활용성을 확인하였다.

3D 콘텐츠 기반 작업 프로세스 시뮬레이션 개발 (3D Contents Based Work Process Simulation Development)

  • 김귀정;한정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30-37
    • /
    • 2011
  • 본 연구는 3D 뷰 콘텐츠 개발을 위한 3D 콘텐츠 기반 작업 프로세스 시뮬레이션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3D 뷰 기술에 대한 표현기법을 기술하였고, 자동차 및 PC 조립 공정을 가상시나리오에 따라 작업자를 도와주는 기술을 3D 뷰를 통하여 보여준다. 또한 3D 정보가시화를 위하여 3D MAX를 이용한 콘텐츠 모델링하는 기능들인 좌표설정, 모델링에 재질 입히기, 랜더링, 그리고 3D object 파일을 이용한 Max Script로 Customizing하여 3D 모델링하는 과정을 개발하였다.

방송 및 모바일 실감형 2D/3D 컨텐츠 변환 방법 및 플랫폼 (2D/3D conversion algorithm on broadcast and mobile environment and the platform)

  • 송혁;배진우;유지상;최병호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 /
    • pp.386-389
    • /
    • 2007
  • TV technology started from black and white TV. Color TV invented and users request more realistic TV technology. The next technology is 3DTV. For 3DTV, 3D display technology, 3D coding technology, digital mux/demux technology in broadcast and 3D video acquisition are needed. Moreover, Almost every contents now exist are 2D contents. It causes necessity to convert from 2D to 3D. This article describes 2D/3D conversion algorithm and H/W platform on FPGA board. Time difference makes 3D effect and convolution filter increased the effect. Distorted image and original image give 3D effect. The algorithm is shown on 3D display. The display device shows 3D effect by parallax barrier method and has FPGA board.

  • PDF

3D 입체영화의 제작 기법 연구 단편영화 <내 생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echnique of the 3D Stereoscopic Cinema)

  • 김병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994-1004
    • /
    • 2013
  • 3D 입체영상이 영상산업의 새로운 총아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산업의 기대와는 달리 제작 활성화가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의 극복을 위해서 저예산으로 3D 입체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3D 입체영상의 원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노하우를 축적시키고자 한다. 3D 입체영상의 원리 중에서 축간격, 컨버전스 포인트, 패럴랙스, 3D 컴포트존과 같은 요소들은 입체값을 조정하는 원리이자 연출의 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을 제어하고 통제하는 노하우의 축적은 3D 입체영상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다. 3D 입체영상을 제작하는 시스템은 카메라, 리그, 녹화기, 3D 박스로 구성되며,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숙련된 크루들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3D 입체 단편영화 <내 생일>을 제작하면서 얻은 촬영 시스템의 설정과 입체영화의 원리를 이용하는 연출 노하우를 통하여 보다 손쉽고 간편하게 3D 입체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