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D텍스쳐 페인팅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3D Interactive Texture Painting (3D 인터렉티브 텍스쳐 페인팅)

  • Kim, Nam-Hoon;B. Kim, Hyo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81-84
    • /
    • 2008
  • 3D 인터렉티브 텍스쳐 페인팅은 3차원 공간상에서 3D 모델 데이터의 표면에 직접 브러쉬를 이용하여 페인팅하는 것을 말한다. 3D 인터렉티브 텍스쳐 페인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매개변수화와 브러쉬 드로잉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3D 공간상에서 평균값좌표를 이용하여 3D 모델의 표면 메쉬상에 텍스쳐 페인팅을 수행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연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은 반복적인 매개변수화의 과정과 그로 인한 해상도의 큰 변화이다. 이러한 반복적인 매개변수화 과정을 피하기 위하여 주어진 메쉬에 한 번의 전역적 매개변수화를 적용시키고, 3차원상의 메쉬에 직접적으로 페인팅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였다. 결과적으로 2차원으로의 텍스쳐 수정 과정 및 랜더링 과정을 반복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얼게 되어 3차원 모델러에게는 매우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Character Skin Painting System for Online Games Service (온라인 게임 서비스에서 캐릭터 외형 페인팅 시스템)

  • Kim, Nam-Hoon;Kim, Sang-Wo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5a
    • /
    • pp.569-572
    • /
    • 2009
  •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위해 캐릭터 외형 페인팅를 하기 위해서는 3D 인터렉티브 텍스쳐 페인팅를 사용한다. 3D 인터렉티브 텍스쳐 페인팅은 3차원 공간상에서 3D 모델 데이터의 표면에 직접 브러쉬를 이용하여 페인팅 하는 것을 말한다. 3D 인터렉티브 텍스쳐 페인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매개변수화와 브러쉬 드로잉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3D 공간상에서 평균값좌표를 이용하여 3D 모델의 표면 메쉬상에 텍스쳐 페인팅을 수행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연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은 반복적인 매개변수화의 과정과 그로 인한 해상도의 큰 변화이다. 이러한 반복적인 매개변수화 과정을 피하기 위하여 주어진 메쉬에 한 번의 전역적 매개변수화를 적용시키고, 3차원상의 메쉬에 직접적으로 페인팅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였다. 결과적으로 2차원으로의 텍스쳐 수정 과정 및 렌더링 과정을 반복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3차원 모델러에게는 매우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Hole-Filling Method based on Depth-Incorporated Image Inpainting (깊이도를 고려한 인페인팅기반 홀필링 기법)

  • Choi, Jangwon;Choe, Yoonsik;Kim, Yong-G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517-51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DIBR(Depth image-based rendering)을 통해 생성되는 3D 영상의 홀을 고품질로 채우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생성된 영상의 깊이도를 고려한 희소성(Sparsity) 기반의 인페인팅 알고리즘을 홀 채우기에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홀 주변의 전경 텍스쳐를 제외한 배경 텍스쳐 정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홀 채우기 시 전경 텍스쳐와 배경 텍스쳐가 혼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희소성 기반의 인페인팅을 이용하기 때문에 에지 정보를 활용한 고품질의 홀 채우기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과 기존의 홀 채우기 알고리즘과의 주관적 화질 비교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utomatic Mask Generation for 3D Makeup Simulation (3차원 메이크업 시뮬레이션을 위한 자동화된 마스크 생성)

  • Kim, Hyeon-Joong;Kim, Jeong-Sik;Choi, Soo-Mi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397-40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햅틱 인터랙션 기반의 3차원 가상 얼굴 메이크업 시뮬레이션에서 메이크업 대상에 대한 정교한 페인팅을 적용하기 위한 자동화된 마스크 생성 방법을 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이전의 전처리 과정에서 마스크를 생성한다. 우선, 3차원 스캐너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텍스쳐 이미지와 3차원 기하 표면 모델을 획득한다. 획득된 얼굴 텍스쳐 이미지로부터 AdaBoost 알고리즘, Canny 경계선 검출 방법과 색 모델 변환 방법 등의 영상처리 알고리즘들을 적용하여 마스크 대상이 되는 주요 특정 영역(눈, 입술)들을 결정하고 얼굴 이미지로부터 2차원 마스크 영역을 결정한다. 이렇게 생성된 마스크 영역 이미지는 3차원 표면 기하 모델에 투영되어 최종적인 3차원 특징 영역의 마스크를 레이블링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결정된 마스크는 햅틱 장치와 스테레오 디스플레이기반의 가상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자연스러운 메이크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방법은 사용자에게 전처리 과정에서의 어떠한 개입 없이 자동적으로 메이크업 대상이 되는 마스크 영역을 결정하여 정교하고 손쉬운 메이크업 페인팅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PDF

An Affective 3D Facial Makeup Simulation Using a Multi-sensory Interaction (다중 감각 인터랙션을 이용한 감성적 3차원 얼굴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 Kim, Jeong-Sik;Kim, Hyeon-Joong;Choi, Soo-Mi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500-506
    • /
    • 2007
  • 얼굴에 대한 시각적 인지는 오랫동안 인간에게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 수 세기 동안 이루어져 왔던 미용 화장과 성형, 치아 교정 등의 다양한 연구는 사람의 얼굴을 감성적 측면에서 어떻게 하면 아름답게 만들 수 있는 가에 초점을 두었다. 본 논문에서는 휴먼 입출력 인터페이스로서 햅틱 장치와 스테레오 디스플레이를 혼합한 다중 감각 인터랙션 기반의 감성적인 3차원 얼굴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본 연구는 3차원 스캐너 장비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모델을 추출하고,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고 직관적인 얼굴 메이크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urface elements 표현 기반의 3차원 얼굴 필터링 방법과 얼굴 메이크업을 지원하는 페인팅 방법을 개발한다. 우선 사용자의 얼굴 모델을 3차원 스캐너로 획득한 후, 전처리 얼굴 필터링을 수행하여 조명, 그리고 사용자 얼굴 피부 상태에 기인하는 에러 및 속성들을 보정하고 피부 톤을 사용자가 선호하는 색으로 변경한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햅틱 및 스테레오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레이어로 구성된 페인팅 표면 모델에 메이크업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surface elements 표현 기반의 그래픽 렌더링은 일반적인 메쉬 기반 페인팅의 문제점인 텍스쳐 왜곡 현상을 완화하고, 3차원 스캐너 장치에 기인하는 표면 에러를 보정한다. 그리고 전처리 얼굴 필터링과 메이크업 페인팅 방법은 사용자 중심의 감성적인 3차원 얼굴을 재구성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이러한 기술들이 다중 감각 인터페이스 기반의 메이크업 시뮬레이터의 기본 프레임워크가 되어, 차후 메이크업이나 코디네이션 분야 등의 디지털 콘텐츠 산업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3D Animation using 3D Graphic SW(Blender) based on STL Files (3D 그래픽 SW(Blender)를 활용한 STL파일 기반의 3D 애니메이션 제작)

  • Kim, Jong-Jin;Kim, Jong-S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9
    • /
    • pp.710-721
    • /
    • 2018
  • In this study, we have suggested a method to create 3D animation based on STL files which are easily available on the internet using Blender, which is one of the most popular open-source 3D modeling SW. And the procedure of making 3D animation using STL file was compared with those for OBJ or FBX files as well. Contrary to OBJ and FBX, STL files do not contain information regarding hierarchy, material and texture which are very important in making 3D animation. Especially the absence of hierarchy may cause serious problems in rigging, which involves movement of unwanted parts of 3D object during rigging process. It is demonstrated that the weight painting feature of Blender could be a solution to tackle the faulty rigging due to attributes of STL files. The effect of the sampling frequency and the resolution on the rendering time is also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3D mantis animation. It is also seen that insect models by 3D printer could be used as a new type of pedagogical material in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Consider the directional hole filling method for virtual view point synthesis (가상 시점 영상 합성을 위한 방향성 고려 홀 채움 방법)

  • Mun, Ji Hun;Ho, Yo Sung
    • Smart Media Journal
    • /
    • v.3 no.4
    • /
    • pp.28-34
    • /
    • 2014
  • Recently the depth-image-based rendering (DIBR) method is usually used in 3D image application filed. Virtual view image is created by using a known view with associated depth map to make a virtual view point which did not taken by the camera. But, disocclusion area occur because the virtual view point is created using a depth image based image 3D warping. To remove those kind of disocclusion region, many hole filling methods are proposed until now. Constant color region searching, horizontal interpolation, horizontal extrapolation, and variational inpainting techniques are proposed as a hole filling methods. But when using those hole filling method some problem occurred. The different types of annoying artifacts are appear in texture region hole filling procedure. In this paper to solve those problem, the multi-directional extrapolation method is newly proposed for efficiency of expanded hole filling performance. The proposed method is efficient when performing hole filling which complex texture background region. Consideration of directionality for hole filling method use the hole neighbor texture pixel value when estimate the hole pixel value. We can check the proposed hole filling method can more efficiently fill the hole region which generated by virtual view synthesis res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