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tier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36초

COM+ 기반의 선박 설계공정관리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Ship Draw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Based on COM+ Service)

  • 박대유;김응곤;김형진;양계정;윤성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970-973
    • /
    • 2003
  • 최근 들어 기업 내 또는 기업간 정보시스템의 개발 패러다임은 2계층 환경에서 3계층 환경으로 이동해오고 있다. 3계층 환경은 시스템의 성능, 확장성, 배포성, 유지보수 등의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의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장기간의 설계기간과 대규모의 설계인원을 대상으로 하는 선박의 설계공정관리 시스템은 정보의 실시간성, 정확성이 확보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2계층 환경으로 일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여전히 미 개발된 업무들도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2차원적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 환경에서 3계층 아키텍처인 COM+ 기반의 환경으로 전환하기 위해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기법을 이용한 시스템의 분석 및 설계를 수행하였다. 향후 CBD 기반의 통합 시스템으로 개발함으로써, 선박 설계공정관리 업무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컴포넌트의 광범위한 재사용을 통해 시스템의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3-Tier 캡스톤디자인 : SW 개발 캡스톤디자인 사례 연구 (3-Tier Capstone Design: SW Development Capstone Design Case Study)

  • 오형준;김준형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6권3호
    • /
    • pp.199-20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공학 분야에서 SW 개발 중심의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의 사례를 제시하고 해당 사례를 통한 3-Tier 캡스톤디자인 모델을 제안한다. 최근 공학계열의 학과들이 대부분 캡스톤디자인 수업을 운영하고 있으나 많은 경우 졸업학년도에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경우 팀 프로젝트 수업 운영에 따른 협업과정과 함께 실제 코딩을 하고 구현을 하는 과정에서도 애로사항을 겪고 있지만 이러한 어려움 이전에 구현 가능한 아이디어의 도출과 검증 및 아이디어의 구체화 과정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캡스톤디자인의 운영과 성과 창출을 위해 졸업학년도 이전 2학기에 학생과 교수, 산업체 인사의 멘토가 함께 진행하는 아이디어톤 경진대회 등을 통해 아이디어 도출 및 구체화 과정을 거치고 졸업학년도 1학기와 2학기에 거쳐 해당 아디이어의 고도화와 도출된 아이디어의 실제 구현 및 구현에 대한 고도화를 진행할 수 있는 3-Tier 캡스톤디자인 모델을 제안한다.

분산 환경의 대규모 클러스터를 관리하기 위한 RISE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ISE for Managing a Large Scale Cluster in Distributed Environment)

  • 박두식;양우진;반민호;정갑주;이종현;이상문;이창성;신순철;이인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3권7호
    • /
    • pp.421-42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클러스터 시스템자원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3-tier 구조의 원격 설치 및 백업 방안을 소개한다. 최근에는 클러스터 시스템이 수백 노드 이상의 대규모 시스템이며, 공인망과 사설망이 혼재되는 복잡한 네트워크 환경으로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대규모 클러스터 시스템에 적합한 클러스터의 OS 설치와 원격지에서 클러스터 노드의 장애를 효과적으로 복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2-tier 구조의 클러스터 설치 및 이미지 백업 방법들은 공인망과 사설망으로 구성되어 있는 클러스터의 경우, 원격지에서 접근과 관리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3-tier 구조의 RISE(Remote Installation Service Environment)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RISE 시스템은 2-tier 구조의 마스터 노드 역할을 관리노드(GRISE)와 지역관리노드(LRISE)로 나누어줌으로써 다양한 네트워크환경하에서 초기설치 및 장애 발생시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으며, 관리노드와 지역관리 노드들의 동기화 기능을 통해 지역관리노드들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있다. 64개 노드의 클러스터 시스템과 Gigabit 네트워크 시스템을 활용한 실험을 통하여, 1.86 GByte의 시스템 이미지를 5분 53초 안에 확보 할 수 있었고, 64개 노드 클러스터 시스템의 초기설치 작업을 평균 17분 38초 안에 완료할 수 있었다.

상향식 자료를 이용한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품질 개선 방향 - 화학, 금속 분야를 중심으로 - (Quality Improvement of Greenhouse Gas Inventories by the Use of Bottom-Up Data)

  • 최은화;신은섭;이승묵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1-174
    • /
    • 2014
  • The methodology report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shows higher tier method can be a good practice, which uses country-specific or plant-specific data when calcula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by country. We review the methodology report to present principles of using plant-level data and also examine examples of using plant-level data in chemical and metal industry in 20 countries for the purpose of quality improvement of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We propose that Korea consider utilizing plant-level data, as reported according to 'Greenhouse gas and Energy Target Management Scheme', in the following order as a preference. First, the data can be utilized for quality control of Korea's own parameters, when Tier 2 method is adopted and bottom-up approach is not applicable. Second, both plant-level data and IPCC default data can be used together, combining Tier 1 method with Tier 3 method. Third, we can also use acquired plant-level data and country specific parameters, combining Tier 2 method with Tier 3 method. Fourth, if the plant-level data involves all categories of emissions and the data is proven to be representative, we can apply Tier 3 method. In this case, we still need to examine the data to check its reliability by a consistent framework, including appropriate quality control.

대형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고박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he Container Securing Program for Large Container Carriers)

  • 신상훈;황규현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1권5호
    • /
    • pp.362-368
    • /
    • 2014
  • Container vessel sizes have constantly increased over the past two decades. With increasing ship sizes and higher container loading capacities, the adoption of lashing bridges has also increased. Today's lashing bridge designs range from 1st tier to 3rd tier lashing bridges. Container securing program of the past which is based on two lashing rods and 1st tier lashing bridge has to be improved to be suitable for the present time. The equilibrium equations in this study are established to cover the application of 3~4 lashing rods and 2nd~3rd tier lashing bridges. In addition developed program is improved to be able to calculate the reaction forces and optimum arrangement under the external lashing. An optimization algorithm which is suitable for the container securing problems involved the equality constraint has been also adopted in this study.

분산객체환경에서의 JDBC 3-tier 모델의 성능확대와 CORBA의 이용 (Property Enlargement of JDBC 3-tier Model Using CORBA Under Distributed Object Environments)

  • 이진용;전순미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9호
    • /
    • pp.2248-2255
    • /
    • 1998
  • 이질적인 시스템으로 구축된 분산 객체 환경에서 자바로 개발된 응용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연동성은 매우 중요하다. 연동을 지원하는 기존의 JDBC 제공 모델 중에서 분산환경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구조가 JDBC 3-tier 모델인데 이 모델은 자바애플릿 응용시스템의 적용에서 제한적인 보안 구조를 가진 연동관계의 형성을 요구한다는 것과 또한 클라이언트에서 미들웨어로 접속하는 규약의 종류에 따라서 매번 응용프로그램에서 별도의 설계 및 구현을 해야하는 부분이 부담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CORBA 분산객체 환경을 이용하였으며 기존의 FDBC 모델을 지원하는 ORB-JDBC 하위 규약과 미들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하여 기존모델의 성능을 확대 시켰다. 즉, 새로 확대된 모델은 연동을 위해서 구현된 어떠한 자바 응용 프로그램에서도 시스템에 대한 보안 규제가 극복되며 또한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과의 연동관계에서 간단하게 응용프로그램만을 작성하는 것으로 연동의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클라이언트의 제작비용과 시간을 줄여준다. 동시에 CORBA가 제공하는 DBMS 서버들 사이의 부하분배를 지원하는 SRLSMD도 있음을 모의실험을 통해서 확인한다.

  • PDF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웹앱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WebApp System Based Smartphone)

  • 이명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209-213
    • /
    • 2013
  • 본 논문은 N-티어 모바일 웹앱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웹앱 티켓 예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모바일 프레임워크에서 표현 티어는 HTML5/CSS3와 센차터치를 이용하고, 미들 티어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와 마이바티스로 구성하며, 데이터베이스 티어는 오라클을 이용하여 엔터프라이즈 서비스의 모바일 웹앱 오피스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N-티어에서 앱의 지원 없이 배포 및 형상 관리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진 모바일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웹앱 티켓 예매 시스템을 분석 및 설계한 후 구현하고자 한다.

항공기 배출량 산정 방법에 따른 공항주변 대기오염 영향분석연구 (Impact of Air Pollutant Emissions from Aircraft on the Air Pollution around Airport)

  • 한승재;유정우;임윤진;이순환;이화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2089-2099
    • /
    • 2014
  • Emissions from aircraft have impacts on the air pollution of airport and the surrounding area. There are methods of emissions calculated as Tier 1, Tier2, Tier 3A and Tier 3B.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emissions from aircraft at the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using EDMS(Emissions & Dispersion Modeling System) program. Results of estimation from aviation emissions, Tier 3B considering all parts which can occur at the airport has the largest amount emiss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aviation emissions and distribution of ozone concentration over airport area, numerical evaluation were carried out. Although the difference of surface ozone distribution between numerical assessment with and without aviation emissions was little, effects of air pollution at airport area from aviation emissions of NOx and VOCs.

Tier분석을 통한 벤치마킹항만 적출방법 (An Extraction Way of Benchmarking Ports through Tier Analysis for Korean Seaports)

  • 박노경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2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국내 20개 항만의 2개의 산출물(수출입물량, 선박입출항척수)과 2개의 투입물(접안능력, 하역능력)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CCR분석을 통해서 상대적인 효율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 연구의 한계를 확장시키기 위해서 국내 항만분야에서는 처음으로 Tier분석을 통해서 비효율적인 항만들이 단기, 중기, 장기적으로 벤치마킹할 수 있는 항만들을 적출하는 방법을 보여 주었다. 주요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CCR분석에서는 완도, 여수, 울산, 삼척항 들이 효율적인 벤치마킹항만들로 나타났다. 둘째, Post-DEA를 활용한 비효율적 항만들의 Tier 1단계의 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항만(평택, 서귀포, 부산)이 효율적인 벤치마킹항만으로 전환하였으며, Tier 2단계에서는 5개의 항만(인천, 목포, 제주, 삼천포, 묵호), Tier 3단계에서는 3개의 항만(잠항, 군산, 광양)이 효율적인 벤치마킹항만으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20개 중에서 5개항만(25%)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셋째, 비효율적인 항만들(마산, 진해, 포항, 동해, 속초)은 해당항만들의 벤치마킹 대상을 찾아냄으로써 경로군집을 발견하였다. 넷째, 최종적으로 비효율적인 항만들의 Tier별 벤치마킹항만을 살펴보면, 마산항(장항$\rightarrow$제주$\rightarrow$서귀포$\rightarrow$여수), 진해항(장항$\rightarrow$목포$\rightarrow$서귀포$\rightarrow$완도), 포항항 & 동해항(장항$\rightarrow$삼천포$\rightarrow$평택$\rightarrow$삼척), 속초항(장항$\rightarrow$목포$\rightarrow$서귀포$\rightarrow$완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정책적인 함의는 다음과 같다. 즉, 항만정책을 입안하거나, 해당 항만의 경영관리자는 만일에 본 연구의 방법을 이용한 Tier분석에서 비효율적인 항만들에 대해서는, 단계적으로 벤치마킹 항만이 결정되면, 그러한 항만들의 상봉을 단계별로 면밀하게 검토하여 해당항만의 항만환경, 관리체계, 재무수입, 공공성 둥을 개선시키기 위한 제도적인 정책을 입안하고 시행토록 해야만 한다는 점이다. 본 논문의 한계점은 SOM (Self-Organizing Map)기법을 이용한 클러스터링분석(투입물의 특성을 반영)을 통해서 항만들끼리의 분류를 통한 벤치마킹분석을 하지 못했다고 하는 점이다.

  • PDF

온라인 게입 서버를 위한 부하 분산 미들웨어의 구현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Implementation of Load Balancing Middleware for the Online Game Server)

  • 신동일;신동규;김민수;장재흥;윤현숙;이정훈;한창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1)
    • /
    • pp.178-180
    • /
    • 2000
  • 오늘날 온라인 게임은 TCP망을 이용하여 동시에 수백에서 수천명이 접속하여 게임을 증길 수 있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의 표준이지만 서버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네트웍 게임 엔진 구조적 단점을 보완한 3-tier 방식을 적용한 분산 네트웍 게입 서버를 위한 부하 분산기의 연구 및 개발에 대하여 서술한다. 이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의 2-tier 방식에서 오는 클라이언트 수 증가에 따른 네트웍 부하 가중에 대한 처리 문제와, 분산된 2-tier 방식을 적용한 서버에서 각 서버간의 통신, 데이터 공유에 대한 문제 등을 다루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3-tier 방식을 적용하여 클라이언트/서버 사이에 각 서버의 사용자나 이동되는 데이터를 분산하고 모니터링하는 부하 분산기 시스템을 적용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