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 Countries In East-Asia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5초

일본의 미세먼지 대책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한중일 협력 (Japanese Measurement on Fine Particles(PM2.5) Emission Pollution and Cooperation of Korea -China-Japan to Reduce Fine Particles Pollution-)

  • 이수철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6권1호
    • /
    • pp.57-83
    • /
    • 2017
  • 미세먼지는 발생원이 매우 다양하며 발생 메카니즘이 복잡하여 아직 일본에서도 자동차 등 이동배출원을 제외하고는 미세먼지 발생량에대한 정확한 인벤토리의 정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서 효과적인 대책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정부기관과 연구자들이 국민건강 관리를 위한 매뉴얼 작성과 함께 국가적인 인벤토리 정비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세먼지 대책을 보다 어렵게하는 것은 중국 등 국외로부터 날아오는 미세먼지 문제이다. 일본은 과거 고도성장기에 격심 했던 대기오염문제를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특성에 맞는 고유의 정책설계 등으로 효과적으로 대응했던 경험이 있어서 이러한 경험을 중국의 자치 단체에 전수해 주는 중일 도시간 미세먼지 방지에관한 협력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기업들은 이와 관련한 설비기자재와 기술을 중국에 판매하는 등 비지니스 기회를 얻고 있다. 한중일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지역은 환경 및 에너지 측면에서 공동체적인 운명 하에 있다. 한중일 3국이 대기환경 및 기후변화문제 해결을 위한 법적효력이 있는 기구를 창설하여 정부간 정책협력과 도시간 및 기업간 교류가 크게 진전될 경우 미세먼지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향후 이 지역의 평화와 지역통합에도 기여할 것으로 본다.

유라시아 철도의 다중경로 구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Establishing the Multi-pass Eurasian Railroads)

  • 한범희;허남균;허희영
    • 산학경영연구
    • /
    • 제21권2호
    • /
    • pp.137-170
    • /
    • 2008
  • 본 연구는 국제물류시장에서 동북아 각국의 협력과 경쟁을 유발하는 유라시아철도의 경로구축에 대한 물류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21세기 세계경제의 화두(話頭)는 자유무역협정, 에너지자원개발, 지구온난화 등이다. 이미 유럽은 경제통합의 최고수준인 초국가적 기구를 설치하여 완전경제통합을 이루어 역내 생산 및 물류 방면에 경쟁우위를 확보하였으며, 캐나다, 미국, 멕시코 등도 1994년 1월에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체결하여 역내 관세철폐를 통한 역외국가에 대해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다. 한편,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지역에 해당하는 중국, 일본, 러시아, 한국 등 동북아시아 지역은 정치 경제적인 세계적 위상에 비추어 볼 때, 대립과 갈등이 거듭되는 낙후된 모습으로 교류와 소통에 비효율과 고비용 구조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중앙아시아, 몽골, 코카서스 지역 등에는 미국, 영국, 중국, 일본 등이 미래 에너지자원 확보를 위해 자원개발패키지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서는 석유, 가스, 광물자원의 수송 대책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있다. 2005년 2월 16일 일본 교토에서 기후변화에 관한 국제연합규약의 교토의정서를 채택한 이후 해당 국가들은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대체에너지개발 및 운송수단의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유럽과 아시아간의 이동화물의 대부분은 해상경로를 통하여 운송되고 화물의 특성상 미량의 항공운송이 있으며, 기원전부터 동서양의 이동통로였던 실크로드는 흔적만 남아 있을 뿐이다. 유라시아 북부지역을 관통하는 시베리아횡단철도는 서비스상의 애로(隘路)가 많아 아직까지는 러시아만의 유통경로로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 1992년 완성된 중국횡단철도는 국제적 유통경로로서의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중육지폐쇄국가 (double landlocked country)인 우즈베키스탄을 비롯한 중앙아시아, 몽골, 아제르바이잔 등 해상과 인접하지 못한 국가들은 보유하고 있는 자원개발을 통하여 경제적 도약을 계획하고 있지만, 자원개발의 특성과 빈약한 물류인프라로 인하여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고려된다. 다만, 인접국가인 중국의 경우는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을 통한 가스파이프라인을 연결하여 중국서부지역의 수요를 충당할 계획으로 건설 중에 있다. 특히, 2001년에 정식으로 출범한 상하이협력기구(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이하 SCO)는 중국과 러시아를 필두로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정회원국 6개국과 옵서버 국가인 몽골, 인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이란 등 5개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에는 테러방지를 위한 군사적 동맹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교통, 운송, 교역, 에너지협력까지 확대해 나가고 있다. 미국과 NATO의 옵서버 신청까지 거절하였으니 그 숨겨진 뜻을 이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러시아는 동서가 유라시아 대륙의 북부지역 전역을 차지하는 광활한 지역을 균형 발전시켜야한다는 국정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시베리아횡단철도(Trans Siberia Railway:이하 TSR)의 활성화와 극동 시베리아 지역의 경제발전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또한 일본과 한국에 상당한 기대를 가지고, TSR과 TKR(한반도종단열차)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적극적인 노력을 한 결과, 나진-하산 간 철도 개보수에 러시아, 북한, 남한 3개국이 참여하기로 잠정 합의되었다. 이 지역은 국제연합개발계획(UNDP)에서 추진하고 있는 두만강개발계획(Greater Tumen Initiative:이하 GTI)과 중첩되는 곳으로, 이 계획은 한국, 몽골, 중국, 러시아, 북한 등 5개국의 공동 프로젝트이며, 그 내용은 에너지, 관광, 환경, 몽골과 중국 간 철도연결 타당성 검토, 동북아 페리루트 개설 등이 추진되고 있다. 중국의 동북3성 재개발 계획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국내외 자본의 많은 투자 유치가 필수적인데, 그 전제 조건이 중국동부 연안의 개발에서 이미 보았듯이 막힘 없는 물류인프라의 존재 여부이다. 일본은 몽골지역에 대규모 무상 인프라건설 지원을 해주면서, 몽골과 러시아 자루비노를 연결하는 '동방대통로'를 구상하고 있지만, 러시아, 중국의 태도를 주시해야하는 입장이다. 만약에, 북한의 비핵화 방지 프로그램이 파행을 거듭하지 않는다면, 미국도 어떠한 방식으로든 참여하게 되어, 한반도종단철도와 시베리아횡단철도, 한반도종단철도와 중국횡단철도의 연결은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 ESCAP)의 추진 프로그램과 더불어 가속도를 붙게 할 것이다. 이것이 실행되면, 지금까지 미온적인 일본과 한국 간 해저터널 문제도 적극적으로 검토될 것이다. 결국 한반도는 주변국이 원하든 원하지 아니하든, 지경학적으로 그리고 지정학적으로 동북아시아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할 수밖에 없을 것이며, 과거, 현재, 미래에 동북아시아 각 국가의 경쟁과 협력의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한반도의 기회는 계속될 것이다.

  • PDF

한국, 일본, 만주의 철도현황 비교연구 -1920년대 중반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the Korean, Japanese and Manchurian Railway Policy during the Japan Colonial Period)

  • 이용상;정병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57-165
    • /
    • 2015
  •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중반에 걸쳐 동아시아 한국, 일본, 만주는 여러 가지 성장과 발전과정을 겪었는데, 그 중 철도는 매우 중요한 발전수단이었고 국가의 정책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당시 동아시아 정세는 일본의 대륙진출이 두드러진 시대로 그 영향력이 매우 컸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가운데에서도 각국의 철도는 국가정책과 철도정책 그리고 다양한 조직과 영향력 하에서 발전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3개국의 철도를 비교하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동아시아 철도의 특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한국, 일본, 만주철도의 각각의 특징을 비교해 보면 첫째 일본은 철도를 통한 근대화와 대륙진출의 동기를 가지고 있었고 조선은 대륙철도연결을 수행하는 역할 그리고 만주의 경영은 철도를 통해 직접 지배하는 양상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일본철도의 모델을 그대로 우리나라에 적용하였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경우 일본의 연장선상에서 철도가 운영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만주 철도의 경우 유럽각국의 아시아 지배의 모습에서 발견할 수 있는 비슷한 양상과 일본이 초기 사설철도의 경험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철도를 통한 지배양상을 보이고 있다.

Global Economic Governance Reform and the Role of Asia: Opportunities Offered by the G20

  • Cho, Yoon Je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16권1호
    • /
    • pp.3-23
    • /
    • 2012
  • The recent global financial crisis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monetary and financial system reform. The current system is deemed to be no longer adequate to meet the needs of a complex, integrated world economy. With regards to the reform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there have been various proposals both in demand and supply sides. These include proposals to build a stronger global financial safety net, to diversify the supply of international reserve currency and so on. These proposals face trade-offs between desirability and political feasibility. Given this situation, a practical transition would be to strengthen policy coordination among the major economies and to reform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The success on both fronts depends heavily on global economic governance reform and the role of the G20. Increased status and representation of Asian countries in the G20 give both privileges and responsibilities to Asians. To meet these responsibilities, Asians should put forth greater efforts to develop their intellectual leadership in global economic issues through creating new forum and institutions.

  • PDF

Experiences and attitudes toward aesthetic procedures in East Asia: a cross-sectional survey of five geographical regions

  • Kwon, Soo-Ha;Lao, William Wei-Kai;Lee, Che-Hsiung;Hsu, Angela Ting-Wei;Koide, Satomi;Chen, Hsing-Yu;Cho, Ki-Hyun;Tanaka, Eiko;Cheon, Young-Woo;Chang, Tommy Nai-Je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8권6호
    • /
    • pp.660-669
    • /
    • 2021
  • Background The demand for aesthetic procedures continues to grow globally, particularly in East Asian countries. The popularity of specific aesthetic procedures varies, however, depending on the particular East Asian geographical region being studie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xperiences of and attitudes toward aesthetic procedures in five East Asian countries/regions, including China, Japan, South Korea, Hong Kong, and Taiwan. Methods To recruit participants, an online questionnaire was designed and distributed on social media networks between May 2015 and March 2016.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software, version 22.0. Results A total of 3,088 people responded (approximately 600 in each country/region). Of these, 940 participants (47.8%) responded that they had experienced at least one aesthetic procedure in the past. Taiwan had the highest number of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at least one procedure (264/940, 41%), with primarily non-surgical experiences. Only in South Korea did surgical cosmetic experiences exceed non-surgical cosmetic experiences (55.9% vs. 44.1%). The popularity of particular procedures and the motivation for undergoing aesthetic procedures varied by country. Conclusions The popularity of aesthetic procedures continues to evolve. Similar trends were observed across the East Asian regions; however, each country had its unique demands and preferences.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is study can help aesthetic plastic surgeons further understand the patients in their corresponding region, customize their practice, and develop the requisite skills.

The Effect of R&D on High-Tech Product Export Competitiveness: Empirical Evidence from Panel Data of East Asian Economies

  • Alemu, Aye Mengistu
    • STI Policy Review
    • /
    • 제3권1호
    • /
    • pp.46-62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two most important indicators of a nation's state of scientific infrastructure: R&D investment and the number of R&D researchers engaged in high-tech product export competitiveness for a panel of 11 countries/economies from East Asia from 1994 to 2010. A GMM panel estimation method was employed to account for the dynamic effect of trade and to control for un-observed country specific effects that may arise due to an inter-country differences and intra-country dynamics. Accordingly, the empirical results reveal that (once controlled for the influence of per capita income) physical capital and infrastructure, a 1% increase in a country's expenditure on the ratio of R&D to GDP may increase high-tech product export performance by approximately $397 million per year. Other factors constant, a 1% increase in the number of R&D researchers is expected to increase the ability to export high-tech products by approximately $67 million. The East Asian development experience demonstrates how latecomers can follow systematic industrialization and join the handful of economies that have come a long way toward closing the knowledge gap with the global technological leader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the policy approaches and overall commitments pursued by each East Asian economy in relation to R&D investment and acquisition of an adequate pool of researchers, and their ultimate achievements in high-tech product export competitiveness were uniform. As a result, there is still a significant variation among countries/economies in terms of performance. This study recommended a number of potential tools and policy instruments that may assist policy makers to foster R&D as an engine to enhance the high-tech product export competitiveness.

환율, GDP, 해외직접투자가 한국의 대동아시아 수출에 미치는 영향: 패널 FMOLS기법의 적용 (Effects of Exchange Rate, GDP, ODI on Export to the East Asia: Application the Panel FMOLS Approach)

  • 김창범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3호
    • /
    • pp.307-322
    • /
    • 2012
  • 본 논문은 패널 단위근, 패널 공적분, 패널 인과성 검정, 패널 FMOLS(fully modified OLS) 기법을 이용하여 한국의 대 동아시아 수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변수들이 패널 단위근 검정을 통하여 단위근을 가지며 1차 차분 후 안정적인 자료로 전환됨을 알 수 있었으며, 패널 공적분 통계량 모두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공적분 벡터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패널 벡터오차수정모형을 도입하여 동태적 인과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GDP변동이 수출변동에 영향을 미치고 수출변동이 GDP변동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수출과 GDP 간에 쌍방적 인과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ODI변동의 오차수정항 계수가 수출변동의 오차수정항 계수보다 약 1.65배 크게 나타나 ODI의 불균형에서 균형으로 조정속도가 수출보다 1.7배 정도 빠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패널 GM FMOLS 결과 환율이 1% 상승했을 때 수출이 0.28% 감소하고, GDP가 1% 증가했을 때 수출은 0.77% 증가하고, 해외직접투자가 1% 증가했을 때 수출은 0.11%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high yield rice of long grain type adaptable to South-East Asia tropical region

  • Cho, YC;Baek, MK;Park, HS;Nam, JK;Jeong, JM;Kim, WJ;Shin, WC;Song, YC;Cho, JH;Lee, JY;Kim, CS;Park, HG;Kim, BK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39-339
    • /
    • 2017
  • The long grain rice varieties adaptable to South-east Asia tropical regions were tried to develop in Cambodian Agricul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CARDI), Cambodia. The final goal is to develop rice varieties which can culture in divers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ropical regions of South-east Asia under climate change. We collected and evaluated for agronomic traits of 131 rice germplasm from Cambodia, China, India, Indonesia, Myanmar, Philippines and Vietnam in CARDI. We selected core germplasm including leading varieties of target countries and made 813 F1 cross combinations between leading varieties of each country and promising germplasm of high yield potential, resistance to biotic/abiotic stresses, aromatic rice, and so on. Out of 607 F1s evaluated to heading date, plant type, agronomic traits, and grain type, 106 F1s selected and advanced to F2 populations. 106 F2 populations were evaluated to major agronomic traits, grain type and yield-component traits, and selected 2,560 plants in 62 F2 populations. During six seasons in 2014~2016, the lines of F3 subsequent-generation were cultured a total of 6,256 lines. In yield trial for promising lines in F5 generation, the growth duration from sowing to harvesting was 97~114 days. These lines were 88~129 in number of grain per panicle, an average of 84.6% in the range of 79.3~91.9% in the percentage of ripened grain and 17.5~22.8g in 1000-brown rice weight. The rough rice yields were in the range of 4.33~6.06 ton/ha with an average of 5.23 ton/ha. The yield was increased to 5~47% than Chulsa and 12~41% than IR66. Five lines, KR54-28-1, KR55-14-2, KR57-5-2, KR67-57-2 and KR128-19-1 were 5.33~6.06 ton/ha in rough rice yield. These high yield potential lines would be evaluated to adaptability in Cambodia, Laos, Myanmar and Vietnam during 2017.

  • PDF

Development of high yield rice of long grain type adaptable to South-East Asia tropical region

  • Cho, YC;Baek, MK;Park, HS;Nam, JK;Jeong, JM;Kim, WJ;Shin, WC;Song, YC;Cho, JH;Lee, JY;Kim, CS;Park, HG;Kim, BK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55-155
    • /
    • 2017
  • The long grain rice varieties adaptable to South-east Asia tropical regions were tried to develop in Cambodian Agricul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CARDI), Cambodia. The final goal is to develop rice varieties which can culture in divers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ropical regions of South-east Asia under climate change. We collected and evaluated for agronomic traits of 131 rice germplasm from Cambodia, China, India, Indonesia, Myanmar, Philippines and Vietnam in CARDI. We selected core germplasm including leading varieties of target countries and made 813 F1 cross combinations between leading varieties of each country and promising germplasm of high yield potential, resistance to biotic/abiotic stresses, aromatic rice, and so on. Out of 607 F1s evaluated to heading date, plant type, agronomic traits, and grain type, 106 F1s selected and advanced to F2 populations. 106 F2 populations were evaluated to major agronomic traits, grain type and yield-component traits, and selected 2,560 plants in 62 F2 populations. During six seasons in 2014~2016, the lines of F3 subsequent-generation were cultured a total of 6,256 lines. In yield trial for promising lines in F5 generation, the growth duration from sowing to harvesting was 97~114 days. These lines were 88~129 in number of grain per panicle, an average of 84.6% in the range of 79.3~91.9% in the percentage of ripened grain and 17.5~22.8g in 1000-brown rice weight. The rough rice yields were in the range of 4.33~6.06 ton/ha with an average of 5.23 ton/ha. The yield was increased to 5~47% than Chulsa and 12~41% than IR66. Five lines, KR54-28-1, KR55-14-2, KR57-5-2, KR67-57-2 and KR128-19-1 were 5.33~6.06 ton/ha in rough rice yield. These high yield potential lines would be evaluated to adaptability in Cambodia, Laos, Myanmar and Vietnam during 2017.

  • PDF

The Trade Routes and the Silk Trade along the Western Coast of the Caspian Sea from the 15th to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 MUSTAFAYEV, SHAHIN
    • Acta Via Serica
    • /
    • 제3권2호
    • /
    • pp.23-48
    • /
    • 2018
  • The Silk Road usually implies a network of trade and communications that stretched from east to west and connected China and the countries of the Far East via Central Asia and the Middle East to the eastern Mediterranean, or through the northern coast of the Caspian Sea and the Volga basin to the Black Sea coast. However, at certain historical stages, a network of maritime and overland routes stretching from north to south, commonly called the Volga-Caspian trade route, also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international trade and cultural contacts. The geopolitical realities of the early Middle Ages relating to the relationship of Byzantium, the Sassanid Empire, and the West Turkic Khaganate, the advance of the Arab Caliphate to the north, the spread of Islam in the Volga region, the glories and fall of the Khazar State, and the Scandinavian campaigns in the Caucasus, closely intertwined with the history of transport and communications connecting the north and south through the Volga-Caspian route. In a later era, the interests of the Mongolian Uluses, and then the political and economic aspirations of the Ottoman Empire, the Safavid State, and Russia, collided or combined on these routes. The article discusses trade contacts existing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in the 15th and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along the routes on the western coast of the Caspian S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