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차원 데이터

Search Result 2,558,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Registration of the 3D Range Data Using the Curvature Value (곡률 정보를 이용한 3차원 거리 데이터 정합)

  • Kim, Sang-Hoon;Kim, Tae-Eu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8 no.4
    • /
    • pp.161-166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a new approach to align 3D data sets by using curvatures of feature surface. We use the Gaussian curvatures and the covariance matrix which impl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to achieve registration of unaligned 3D data sets. Firs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ocal area are obtained by the Gaussian curvature. And the camera position of 3D range finder system is calculated from by using the projection matrix between 3D data set and 2D image. The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hole area are obtained by the covariance matrix of the model. The corresponding points can be found in the overlapping region with the cross-projection method and it concentrates by removed points of self-occlusion. By the repeatedly the process discussed above, we finally find corrected points of overlapping region and get the optimized registration result.

  • PDF

A Study on the Flattening of 3D Mesh data of Shoes (신발 곡면의 3차원 격자 데이터의 평면화에 관한 연구)

  • Kim Young-Bong;Lee Yun-Jung
    • Journal of Game and Entertainment
    • /
    • v.2 no.1
    • /
    • pp.64-70
    • /
    • 2006
  • CAD system is a very important technology in designing many products which we are using today. This CAD technology have enlarging its area into 3D CAD systems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graphics technologies. In particular, such advances have also been realized in special area such as the CAD system for designing shoes. 3D CAD systems for shoes design must provide compatibility between 3D and 2D data because shoes are made using 2D parts of pieces of leather or cloth. Many designers get high performances using 2D shoe CAD systems because they have had long practices with the 2D systems. Therefore, to get the mapping between 2D modeling and 3D modeling is one of very important components in 3D CAD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d a flattening method that convert 3D shoes data to 2D data.

  • PDF

Comparing on the Generation Results of 3 Dimension Spatial Information by DEM and Satellite Image Data (위성영상데이터와 DEM에 의한 3차원 공간정보 생성 결과 비교)

  • 연상호;홍일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04a
    • /
    • pp.139-144
    • /
    • 2003
  • 3차원 이상의 공간정보의 생성은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공간을 입체적으로 조망해 볼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요구사항이 되었고, 이를 여러 분야에서 다각적으로 활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3차원 이상의 조건을 부여하여 시공간에서 동영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3차원 지형 시뮬레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 보편화 되고 있어 건설분야에서도 적극적인 도입으로 각종 공사계획 및 설계에 이용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형공간데이터의 생성을 위하여 원격탐사 데이터와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3차원 데이터의 자성 방법과 그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DEM에 의한 3차원 수치 기복영상과 위성영상의 합성에 의한 퓨전 영상의 3차원 적용을 통하여 향후 고해상도의 적용시 발생할 수 있는 입체영상의 문제점등을 사전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An Indoor Space Representation Method Using 3D Environmental Data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한 실내 공간 표현 기법)

  • Lee, Se-Ho;Jeong, Seong-Gyun;Chung, Tae-Young;Kim, Ch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417-41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한 효율적인 실내 공간 표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3차원 데이터의 획득과 실내 구조 및 영상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표현 복원으로 구성된다. 3차원 데이터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laser range finder, LRF)와 전방향(omni)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포인트 클라우드 공간 정보와 전방향 텍스쳐 영상으로 구성된다. 실내 구조를 복원하기 위해, 획득한 포인트 클라우드를 복셀 격자 기반의 샘플링 기법을 통해 균일화하고 포아송 표면 재구성(Poisson surface rocoostruction) 기법을 통해 3차원 메쉬를 생성한다. 그리고 전방향 텍스쳐 영상과 3차원 메쉬외 기하학적 관계를 이용한 텍스쳐 매핑 기법을 통해 최종적으로 3차원 메쉬 표면을 복원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실내 공간을 효과적으로 표현함을 확인한다.

  • PDF

A Study of the 3D-Reconstruction of indoor using Stereo Camera System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실내환경의 3차원 복원에 관한 연구)

  • Lee Dong-Hun;Um Dae-Youn;Kang 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5 no.1
    • /
    • pp.42-47
    • /
    • 2005
  • In this papcr, we address the 3D reconstruction of the indoor circumstance using what the data is extracted by a pall of image from Stereo Camera. Generally sucaking, there arc three methods to extract 3-Dimensional data using IR sensor, Laser sensor and Stereo camera sensor. The best is stereo camera sensor which can show a high performance at a reasonable price. We used 'Window Correlation Matching Method' to extract 3-Dimensional data in stereo image. We proposed new Method to reduce error data, said 'Histogram Weighted Hough Transform'. Owing to this mettled, we reduced error data in each stereo image. So reconstruction is well done. 3-Dimensional Reconstruction is accomplished by using the DirectX that is well known as 3D-Game development tool. We show that the stereo camera can be not only used to extract 3-dimensional data but also applied to reconstruct the 3-Dimensional circumstance. And we try to reduce the error data using various method.

CAD Data Conversion to a Node-Relation Structure for 3D Sub-Unit Topological Representation (3차원 위상구조 생성을 위한 노드 - 관계구조로의 CAD 자료 변환)

  • Stevens Mark;Choi Jin-Mu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1 no.2 s.113
    • /
    • pp.188-194
    • /
    • 2006
  • Three-dimensional topological data is essential for 3D modeling and application such as emergency management and 3D network analysis. This paper reviewed current 3D topological data model and developed a method to construct 3D topological node-relation data structure from 2D computer aided design (CAD) data. The method needed two steps with medial axis-transformation and topological node-relation algorithms. Using a medial-axis transformation algorithm, the first step is to extract skeleton from wall data that was drawn polygon or double line in a CAD data. The second step is to build a topological node-relation structure by converting rooms to nodes and the relations between rooms to links. So, links represent adjacency and connectivity between nodes (rooms). As a result, with the conversion method 3D topological data for micro-level sub-unit of each building can be easily constructed from CAD data that are commonly used to design a building as a blueprint.

Automatic Boundary Detection from 3D Cloud Points Using Color Image (칼라영상을 이용한 3차원 점군데이터 윤곽선 자동 검출)

  • Kim, Nam-Woon;Roh, Yi-Ju;Jeong, Hee-Seok;Jeong, Joong-Yeon;Jung, Kyeong-Hoon;Kang, Dong-Wook;Kim, Ki-D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141-142
    • /
    • 2008
  • 본 논문은 텍스처된 3차원 점군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모델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지상라이다로부터 획득한 3차원 점군데이터는 많은 노이즈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자동적인 모델링이 어렵다. 3차원 모델링에 있어서 메쉬를 생성해야 3차원 랜더링이 가능하지만 3차원 메쉬 생성은 노이즈에 취약하기 때문에 디자이너들이 수작업으로 노이즈를 제거해야만 한다. 하지만 노이즈 자제가 지상 라이다로부터 들어온 데이터이기 때문에 자동적인 노이즈 제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처된 지상 라이다 데이터로부터 칼라 영상의 정보를 이용한 윤곽선 정보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대부분의 건물과 같은 구조물에서 최 외곽은 같은 색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최 외곽 칼라의 정보를 이용하여 칼라 정보의 변화를 제한하고, 유사 칼라 정보를 가지고 있는 픽셀만 얻어냄으로써 최외각 정보를 얻어낸다. 칼라 이미지를 이용만 필터링 된 점군데이터는 xy, xz, yz 각각의 평면에서 윤곽선 데이터를 가지며 이는 구조물에 대한 모델링의 속도를 빠르게 해준다.

  • PDF

Web-based Virtual City Development using 3D GIS (3차원 GIS를 이용한 웹 기반의 가상 도시 구현)

  • Song, Sang-Hun;Jung, Young-K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694-699
    • /
    • 2007
  • 2D에서 3D로 이동하고 있는 현재의 GIS는 자료 크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고 이로 인해 처리속도가 느려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실시간 렌더링(Rendering) 욕구는 커지고 있다. 대용량의 공간자료에 대한 처리속도, 3차원 처리기술, 가상현실 처리기술 등의 제약조건과 함께 3차원 GIS를 가시화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성 및 항공으로부터 획득된 DEM 데이터를 이용하여 VRML로 가시화하여 3차원의 지형 정보를 생성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지형 데이터에 LOD(Level of Detail) 기법을 통한 단순화 과정을 거쳐 3차원의 지형정보를 획득하고, 수치지도를 기반으로 한 모델링 및 텍스처 맵핑 과정을 통해 3차원의 도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렇게 획득된 도시 정보에 3차원 공간적인 조건 및 검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쉽게 건물 및 도로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고, 네비게이션 및 시뮬레이션 기능을 추가한 웹 기반의 3차원 가상 도시를 구현하였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olume Rendering Program based on 3D Sampling (3차원 샘플링에 기만을 둔 볼륨랜더링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현)

  • 박재영;이병일;최흥국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5 no.5
    • /
    • pp.494-504
    • /
    • 2002
  • Volume rendering is a method of displaying volumetric data as a sequence two-dimensional image. Because this algorithm has an advantage of visualizing structures within objects, it has recently been used to analyze medical images i.e, MRI, PET, and SPECT. In this paper. we suggested a method for creating images easily from sampled volumetric data and applied the interpolation method to medical images. Additionally, we implemented and applied two kinds of interpolation methods to improve the image quality, linear interpolation and cubic interpolation at the sampling stage. Subsequently, we compared the results of volume rendered data using a transfer function. We anticipat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diagnosis through image reconstruction using a volumetric data set, because volume rendering techniques of medical images are the result of 3-dimensional data.

  • PDF

Survey on the LIC based flow visualization (LIC 기반의 유동 가시화 기법에 대한 조사 연구)

  • Lee, Joong-Yo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11a
    • /
    • pp.530-534
    • /
    • 2007
  • Flow visualization is one of visualization techniques and it means a visual expression of vector data using 2D or 3D graphics. It aims for human to easily understand a special feature of the vector data. Flow visualization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criterions such as visualization technique, data dimension, type of the flow, and so on. Visualization technique can be categorized into direct method, integration method and derived data based method. Data dimension can be divided into 2D, 2.5D and 3D. Type of flow data may be classified into steady and unsteady. In this paper, various LIC based flow visualization methods will be introduced which is one of representative integration based techniques. Those methods will be categorized with more detailed criterions such as dimension and type of flow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