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차원 계측시스템

Search Result 148,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Development of 3D absolute displacement monitoring system and its application at the stage of tunnel construction (터널 시공 중 3차원 절대변위 계측시스템의 개발과 적용)

  • Bang, Joon-Ho;Kim, Ki-Young;Jong, Yong-Hu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9 no.3
    • /
    • pp.229-240
    • /
    • 2007
  • The 3D absolute displacement monitor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analyze the tunnel convergence measured unde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and to manage effectively the measured data. The system is comprised of the total station, the anchor-typed target pin and the 3D absolute displacement measurement and management program. In this paper, the types and specifications of the 3D total station were presented. The anchor-typed target pin, an improved model of traditional one, was developed and its sightable distance and measurement accuracy were checked by field tests. Also a 3D absolute displacement measurement and management program, TEMS 3D, was developed to provide some analysis tools including the trend and influence lines. L/C ratio, S/C ratio and the like. The developed system was applied the construction stage of a railway tunnel for testing purpose. It is verified that the developed system is capable of predicting weak zones ahead of tunnel face by comparing with results of TSP (Tunnel Seismic Prediction) survey.

  • PDF

A 3D Image Measurement Algorithm for the Distance Measurement to the Object on 3D Plane (평면상에 존재하는 물체의 거리계측을 위한 3차원 영상계측 알고리즘)

  • 김용준;서경호;김태효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0.12a
    • /
    • pp.65-68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평면상에 존재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카메라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제 거리를 계측하는 알고기즘을 제안하였다. 계측 시스템을 교정하기 위해, 우선 3차인 실세계 좌표계와 2차원의 카메라 좌표계의 관계를 해석하고, 카메라의 변수들을 포함하는 카메라 좌표계의 변수들을 구하였다. 한편, 3파원 공간에서 계측면을 평면으로 가정하고 평면의 방정식과 좌표계 변환 방정식으로부터 뉴턴-랩슨법을 이용하여 최소값에 대응하는 근사치를 구함으로써 물체까지의 거리 정보를 추출하였다. 실제의 계측 실험에서, 도로에 표준 물체인 Ca]ibration 시트를 두고 승용차의 백미러 위치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영상을 획득하였다. 계측 거리는 4m부터 lOm까지는 1m간격으로 계측하고, 10m부터 30m까지는 10m간격으로 계측하였다. 그 결과 4m에서는 약 1.4mm의 오차가 발생하였고, 30m의 거리에서는 3.5m의 오차를 보였는데 계측 거리가 길어질수록 오차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Case Studies on Applications of Convergence Measurement Systems at the Stages of Tunnel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터널 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 내공변위 계측시스템 적용사례 연구)

  • Lee, Dae-Hyuck;Han, Il-Yeong;Kim, Ki-Sun;Jin, Suk-Woo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 no.3
    • /
    • pp.59-69
    • /
    • 2000
  • Three-dimensional total station system which integrated the instrument with Target Pin and TEMS 3D software developed by SKEC R&D center was applied to a tunnel excavation for monitoring of convergence and crown settlement.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was proved as the result in the aspects of exact monitoring and prediction of rock conditions ahead of the face. To monitor the behavior of tunnel lining at the maintenance stage, DOCS system was applied to the subway tunnel section. Such many effects as the vibration of sensors, verification of the system efficiency, the effect of test trains operation, the variation of temperature and the effect of high voltage was checked. Thus the management scheme for tunnel maintenance was laid out as a proposal.

  • PDF

소형계류시설 및 부유체 운동해석을 위한 계측시스템 개발

  • Park, Gyeong-Cheol;Yang, Hye-Jeong;Seong, Yu-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183-185
    • /
    • 2012
  • 선박의 다양화와 부두의 제한성으로 인하여 수심이 얕은 수역이나 협소한 부두에 접안 시 소형계류시설 및 부유체를 이용하여 해상 공간을 활용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접안이 가능하며 나아가 상당한 비용절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소형계류 및 부유체를 활용한 선박의 접안 시 파랑에 의해 부유체와 선박간 충격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충격이 대형사고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상존함에 따라 계류재 및 부유체의 파랑에 의한 움직임 예측과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계류재 및 부유체 운동해석을 위한 3차원 운동 정보와 가속도를 측정함으 써 거동 특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계측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이 시스템의 구성 및 원리 등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Interpolation and Parametrization of Human Body Scan Data Using B-Spline Surface (B-Spline Surface를 이용한 인체 계측 데이터의 Interpolation과 Parametrization)

  • 설인환;강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235-238
    • /
    • 2002
  • 3차원 어패럴 캐드 시스템은 의복 생산 공정의 자동화를 위해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어패럴 캐드 시스템의 주요한 목표 중의 하나가 소량 주문 생산에의 대응이다. 그런데 인체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므로 개개인의 인체 형태에 대응하는 적합한 의복 디자인을 위해서는 먼저 정확한 인체 형태의 정확한 계측이 필요하다. 인체 데이터의 3차원적인 제품들인 계측은 그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상업화된 제품도 다수 출시되었다. (중략)

  • PDF

Three dimensional information detective instrument development using laser and computer vision (레이저와 비전을 이용한 3차원 정보 추출 계측기 구현)

  • Chun, Y.S.;Suh, Y.S.;Ro, Y.S.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d
    • /
    • pp.2504-2506
    • /
    • 2005
  • Cross Laser 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영상정보를 통해 대상체의 3차원 정보를 구하는 3차원 계측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주변에서 값싸게 구할 수 있는 USB Web 카메라를 이용하여 50nm 정밀도를 가지는 구현하기 위해 카메라 보정을 실시하였으며 카메라와 레이저광 사이의 보정도 실시하였다. Cross Laser을 사용함으로써 대상체의 평면의 방정식을 구할 수가 있어 대상체의 기울어짐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 PDF

Analysis of the Three Dimensional Shape of Korean Hanbok Chim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abrics using 3-D Human Body Measuring System (3차원 인체계측시스템을 이용한 직물의 물정에 따른 한복치마의 입체형상 분석)

  • Park, Soonjee;Machiko Miyosh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571-1582
    • /
    • 2001
  • 한국 전통 의상인 한복 치마의 형태는 천의 특성에 크게 좌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물의 물성과 착장시 한복 치마 형태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8가지 직물을 선택하여 물성을 측정하고, 비접촉 3차원 인체계측시스템을 이용하여 , 치마 착장시의 5개 수평단면, 2개 수직단면을 작성하였다. 수직 단면에서는 실루엣을 나타내는 각도, 수평단면에서는 단면의 부피감과 드레이프의 형태를 나타내는 노드 간격, 거리, 각도를 측정하였다. 첫째, 경연도, 신장률, 실 두께, 직물 무게의 직물물성요인에 따라 실험 직물은 4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직물의 물성과 노드의 형태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물이 뻣뻣하고 가벼울수록, 치마윗부분의 각도가 커지며 , 부드럽고, 신축성 이 있고, 무겁고, 두꺼운 실로 짜여지면, 튜블러 형태 의 실루엣을 나타내었다. 셋째 , 수직 단면도상 치마 위쪽과 아래쪽의 퍼짐각도 및 수평단면상의 둘레, 노드간의 거리, 가장 긴 파고와 같은 단면 계측치는 직물물성에 따라 추정 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3-D Analysis of Slope by Tension Wire Sensing (Tension Wire 계측을 통한 비탈면의 3차원 거동 분석)

  • Shin, Taeju;Kim, Taesoo;Hwang, Sanggoo;Han, Heuiso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6 no.3
    • /
    • pp.41-48
    • /
    • 2015
  • Several sensor systems are used to estimate and predict the slope behaviors, however though slope sensing systems are much up-to-dated compared to before, they are mainly focused on the hardware developing. It means the analyzing software is deficient to apply the examining slope behavior for slope stability. In real case, slope behavior shows the 3-dimensional movement and failure; however the modeling methods for 3-D behavior are more difficult and need more variables. 1-D analysis shows only the length variation, however the real slope makes the 3-D behaviors. To fix the 3-D space coordinate, three values should be determined such as length, horizontal angle and vertical angle. Therefore if the 3-D coordinate system were composed by the points considered of two directions and length, the 3-D space could be separated into horizontal plane and vertical plane. The data from DY-slope in Chungbuk province was analyzed to the developed 3-D coordinate system. It is concluded from the results of 3-D analysis, the slope is generally moving to transverse direction, also the displacements are happening to road and vertical direction at the same time. Presently, the accumulated displacement between sensing points shows small value within 4.3 cm, and the displacements of all sensing points show the similar directions and magnitu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