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차원 가시화 시스템

Search Result 17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멀티빔 자료를 이용한 웹기반의 3차원 해저 지형 가시화

  • 노대훈;박요섭;김학일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166-171
    • /
    • 2000
  • 밀티빔 음향 측심기 (Multibeam Echo Sounder)는 탐사선에 수직방향으로 해저면을 주사(Swath)하여, 한번의 송수신(Ping)으로 다중의 빔자료를 얻을 수 있는 측심기로, 해저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음파의 음압을 기록하고, 사이드 스캔 소나 자료도 동시에 취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측심된 해저 지형(Bathymetry)과 해저 지형을 덮고 있는 해저면의 퇴적 상황(Sediment Environment)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다목적 측심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L3사의 Sea Beam 2100 멀티빔 음향 측심기를 통해 얻은 자료를 처리하여, 3차원 공간 데이터인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생성하고, VRML을 이용한 웹상에서의 해저 지형 가시화를 통해, 세계 어느 곳에서나 웹을 통하여 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3차원 해저 지리 정보 시스템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멀티빔 음향 측심기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항해 자료 보정, 음속 보정, 빔 좌표 계산과 분리, 오측심 자료 제거, 조석 보정 등의 단계를 거쳐 측심자료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이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보정된 멀티빔 음향 측심자료는 무작위 점 사상(Point Topology)으로 산재 되어 있는 빔 자료를 임의의 단위영역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을 격자화라고 한다. 자료의 격자화를 통해 3차원 공강 데이터인 DEM 파일을 제작하고, 이 DEM 파일과 음압 영상을 이용해 웹상에서의 3차원 해저 지형의 가시화를 실현한다. 웹상에서의 3차원 지형 가시화에서 방대한 양의 지형 데이터는 데이터 전송 시간과 렌더링 시간에 치명적인 문제이다. 따라서, 렌더링 시간과 데이터 전송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지형 자료의 LOD(Level of Detail)를 통해, VRML을 이용한 보다 효과적인 웹상에서의 3차원 해저 지형의 가시화를 실현한다.면 기업은 고객으로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한 불신을 불식시키는 신뢰감을 주게 된다. 이러한 고객서비스 향상과 물류비용 절감은 사이버 쇼핑몰이 전국 어디서나 우리의 안방에서 자연스럽게 점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 것이다.SP가 도입되어, 설계업무를 지원하기위한 기본적인 시스템 구조를 구상하게 된다. 이와 함께 IT Model을 구성하게 되는데, 객체지향적 접근 방법으로 Model을 생성하고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을 Tool로 사용한다. 단계 4)는 Software Engineering 관점으로 접근한다. 이는 최종산물이라고 볼 수 있는 설계업무 지원 시스템을 Design하는 과정으로, 시스템에 사용될 데이터를 Design하는 과정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기능을 Design하는 과정으로 나눈다. 이를 통해 생성된 Model에 따라 최종적으로 Coding을 통하여 실제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the making. program and policy decision making,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to develop the methodology of modeling the socioeconomic evaluation, and build up the practical socioeconomic evaluation model of the HAN projects including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effects. Since the HAN projects consists of 18 subprograms, it is difficult In evaluate all the subprograms simultaneously. Despite, each program is being performed under the category of HAN projects, so the common soci

  • PDF

Real-Time Stereoscopic Visualization of Very Large Volume Data on CAVE (CAVE상에서의 방대한 볼륨 데이타의 실시간 입체 영상 가시화)

  • 임무진;이중연;조민수;이상산;임인성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8 no.6
    • /
    • pp.679-691
    • /
    • 2002
  • Volume visualization is an important subarea of scientific visualization, and is concerned with techniques that are effectively used in generating meaningful and visual information from abstract and complex volume datasets, defined in three- or higher-dimensional space. It has been increasingly important in various fields including meteorology, medical science, an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d so on. On the other hand, virtual reality is a research field focusing on various techniques that aid gaining experiences in virtual worlds with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enses.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 visualization system for CAVE, an immersive 3D virtual environment system, which generates stereoscopic images from huge human volume datasets in real-time using an improved volume visualization technique. In order to complement the 3D texture-mapping based volume rendering methods, that easily slow down as data sizes increase, our system utilizes an image-based rendering technique to guarantee real-time performance. The system has been designed to offer a variety of user interface functionality for effective visualization. In this article, we present detailed description on our real-time stereoscopic visualization system, and show how the Visible Korean Human dataset is effectively visualized on CAVE.

Architecture of 3D-GIS Visualization Application Based on OpenGL (OpenGL 기반 3D_GIS 가시화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쳐)

  • Kim, Seung-Yeop;Lee, Gi-W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97-100
    • /
    • 2005
  • 3차원 공간정보는 u-Korea, 전자정부, 유비쿼터스, LBS등의 기반 인프라 및 3차원 그래픽 처리기술, 가상현실 기술 등의 종합적으로 적용되는 고부가가치 통합 기술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는 공개 그래픽 라이브러리인 OpenGL(Open Graphics Library) 기반의 3D-GIS 가시화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쳐를 중심으로 렌더링 기법을 분석하고자 한다. 한편 본 연구의 실험은 Visual Studio.NET환경에서 3D-GIS 모델 Prototype을 구현하여 수행하였으며 향후 실시간 모바일 3D-GIS 렌더링을 위한 기반 기술로 적용될 수 있는 OpcnGL-ES의 확장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rban 3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도시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 설계 및 구현)

  • 범수균;송상수;정순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600-603
    • /
    • 2003
  • 지리정보시스템(GIS) 분야에서 3차원 가시화에 대한 요구는 점점 높아져가고 있다. 3차원으로 표현되는 GIS 정보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2차원 GIS 데이터 정보 표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높은 가독성과 함께 표현할 수 있는 정보의 양과 형식이 다양하여 GIS의 효용가치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간자료(Spatial Data)의 오차한계를 극복하고, 정밀한 3차원 데이터를 효율성 있게 구축하여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는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3D GIS)의 다양한 모델들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전역을 대상으로 3차원 수치지도를 제작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최초의 도시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3D GIS) 구축을 목적으로 진행되며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의 지리정보시스템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3D GIS)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 PDF

A Study on 3D Visualization Technology of Mechanical Systems Reliability Analysis Result (기계시스템의 진단결과 3D 가시화 기술 연구)

  • Cha, Moo-Hyun;Park, Jong-Won;Kim, Bong-Ki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3.11a
    • /
    • pp.1657-165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기계 시스템의 위험도 진단 및 관리를 위해, 3차원 기반의 진단결과 가시화 기술에 관한 연구를 소개한다. 계층구조와 인과관계에 의한 신뢰성 분석 기술을 3차원 디지털 목업에 적용하여, 요소 부품 및 전체 시스템의 위험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유지 보수 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설계 및 풍력발전 시스템 적용을 위한 디지털 목업 개발 등을 소개한다.

Development of 3D Mutil-volume Visualization System for Stereotactic Surgery (뇌정위 수술계획을 위한 다원 3차원 영상가시화 시스템의 개발)

  • Choi, Jae-Jeong;Ge, Jin;Shin, Yeo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612-614
    • /
    • 1998
  • 뇌정위 수술(Stereotactic Surgery)은 컴퓨터 단층영상과 자기공명 영상 같은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뇌병변의 위치를 입체적으로 정확히 파악하여 정상 뇌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며 병변을 수술하는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수술 받을 환자의 컴퓨터 단층영상과 자기공명 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3차원 볼륨 데이터를 전처리한 다음 동일한 3차원 공간 내에서 정렬시켜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3차원 영상을 가시화 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3차원 영상에서 뇌정위 수술의 삽입점과 목표점을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며 수술 경로에 따른 가상 수술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수술 경로의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Visualization of Volume Dataset using GPU Cluster and Tiled Display (GPU 클러스터 및 타일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볼륨 데이터의 고해상도 가시화)

  • Lee, Joong-You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5.11a
    • /
    • pp.1395-1398
    • /
    • 2005
  • 볼륨 렌더링은 3차원이나 그 이상의 차원의 볼륨 데이터에서 의미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어 직관적으로 표출하는 가시화 기법을 말하며 의료영상, 기상학, 유체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PC 하드웨어의 급격한 발전으로 과거에는 슈퍼컴퓨터에서나 가능했던 대용량 볼륨 데이터의 가시화가 일반 PC 환경에서도 가능하게 되었다. GPU의 꼭지점 및 픽셀 쉐이더의 수치 계산에 최적화된 벡터 연산으로 빠른 볼륨 가시화를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GPU의 메모리 용량의 한계로 대용량의 볼륨 데이터를 빠르게 가시화하는 것은 지금까지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다. 본 논문에서는 GPU의 텍스쳐 메모리 크기보다 큰 볼륨 데이터를 여러 개의 GPU 메모리에 분산시키고 이를 꼭지점 및 픽셀 쉐이더를 이용하여 빠르게 렌더링하여 타일형 디스플레이에서 고해상도로 가시화하는 시스템을 디자인하고 구현하고자 하였다.

  • PDF

Collaborative Visualization of Warfare Simulation using a Commercial Game Engine (상업용 게임 엔진을 활용한 전투 시뮬레이션 결과의 협업 가시화)

  • Kim, Hyungki;Kim, Junghoon;Kang, Yuna;Shin, Suchul;Kim, Imkyu;Han, Soonh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2 no.4
    • /
    • pp.57-66
    • /
    • 2013
  • The needs for reusable 3D visualization tool has been being raised in various industries. Especially in the defense modeling and simulation (M&S) domain, there are abundant researches about reusable and interoperable visualization system, since it has a critical role to the efficient decision making by offering diverse validation and analyzing processes. To facilitate the effectiveness, states-of-the-arts M&S systems are applying VR (Virtual Reality) or AR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To reduce the work burden authors design a collaborative visualization environment based on a commercial game engine Unity3D. We define the requirements of the warfare simulation by analyzing pros and cons of existing tools and engines such as SIMDIS or Vega, and apply functionalities of the commercial game engine to satisfy the requirements. A prototype has been implemented as the collaborative visualization environment of iCAVE at KAIST, which is a facility for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 The facility is intraoperative with smart devices.

GUI Implementation for 3D Visualization of Ocean Hydrodynamic Models (해수유동모델 결과의 3차원 가시화를 위한 GUI 구현)

  • Choi, Woo-Jeung;Park, Sung-Eun;Lee, Won-Chan;Koo, Jun-Ho;Suh, Young-Sang;Kim, Tae-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7 no.3
    • /
    • pp.99-107
    • /
    • 2004
  • This study presents an application of GIS technologies to construct the graphic user interface for 3-dimensional exhibition of the results obtained by ocean hydrodynamic model. In coastal management studies, GIS provide a receptacle for scattered data from diverse sources and an improvement of the 3D visualization of such data. Within the frame of a GIS a variety of analytical, statistical and modeling tools can be applied to transform data and make them suitable for a given application. A 3D hydrodynamic model was driven by time-dependent external forcing such as tide, wind velocity, temperature. salinity, river discharge, and solar radiation under the open boundary condition. The Jinhae bay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Here, we have used GeoMania v2.5 GIS software and its 3D Analyst extension module to visualize hydrodynamic model result that were simulated around the Jinhae bay.

  • PDF

X3D Based Web Visualization by Data Fusion of 3D Spatial Information and Video Sequence (3D 공간정보와 비디오 융합에 의한 X3D기반 웹 가시화)

  • Sohn, Hong-Gyoo;Kim, Seong-Sam;Yoo, Byoung-Hyun;Kim, Sang-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4
    • /
    • pp.95-103
    • /
    • 2009
  • Global interests for construction of 3 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has risen due to development of measurement sensors and data processing technologies. In spite of criticism for the violation of personal privacy, CCTV cameras equipped in outdoor public space of urban area are used as a fundamental sensor for traffic management, crime prevention or hazard monitoring. For safety guarantee in urban environment and disaster prevention, a surveillance system integrating pre-constructed 3 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with CCTV data or video sequence is needed for monitoring and observing emergent situation interactively in real time. In this study, we proposed applicability of the prototype system for web visualization based on X3D, an international standard of real time web visualization, by integrating 3 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with video sequ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