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차원측정

Search Result 2,82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The Reflected Property Analysis of 3D Laser Scanning System as Object Surface Materials (대상물 표면물질에 따른 3차원 레이저스캐닝 시스템의 반사특성분석)

  • Um, Dae-Yong;Kim, Ji-Hy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7 no.3
    • /
    • pp.347-356
    • /
    • 2009
  • Recently many kind of industry request 3D Modeling and visualize for object. So application of 3D laser scanning system is improved for 3D modeling and survey. But although application of scanner is steady improved, there are variety of caution error is contained in the result. There is request high quality survey for it is restricted by when field. To analysis what is consider major factor of reflect ratio about surface specification as ratio and characteristics accidental error. So this research use 3D laer scanning system what is adopted method of laser measurement for improvement accuracy 3D scan data. As a result we can check reflect volume will be improve as specification of survey object if it has high reflect ratio. It able to improve accuracy how laser scan data is revised by reflect volume.

A Study on the Microcoputer Aided Measuring Device for the Motion Analysis of 3-D Linkages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3차원 연쇄기구 운동의 자동측정 및 운동해석 장치에 관한 연구)

  • 김호룡;홍지수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0 no.4
    • /
    • pp.577-584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측정자가 시간과 노력을 소비하면서 3차원 연쇄기구의 공간운 동을 유추적으로 측정한 현재까지의 실험측정을 지양하고, 국내에서 구입 가능하고 염 가인 Apple II와 같은 같은 마이크로 컴퓨터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 3차원 연 쇄기구의 공간운동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분석하는 자동 실험장치를 설계 제작한 다음, 이 장치를 일반 3차원 연쇄기구 모델에 적용 측정된 결과를 기호방정식을 이용 한 일반 연쇄기구 운동식의 이론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컴퓨터를 이용한 금형 자동측정 시스템 개발

  • 박희재;황상욱;강무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10a
    • /
    • pp.258-262
    • /
    • 2001
  • 금형공장 CIM을 구현하기 위한 3차원 자동측정 모듈이 개발되었다. 자동측정모듈은 CAD로 부터 도면정보를 넘겨받아 측정계획을 수행하며 시뮬레이션을 거친후 CNC 3차원 측정기 에서 자동으로 측정이 수행된다. 또한 측정된 결과는 측정 해석모듈을 통하여 CAD 데이터와의 비교가 가능하다.

Automatic Object Recognition in 3D Measuring Data (3차원 측정점으로부터의 객체 자동인식)

  • Ahn, Sung-Joo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6B no.1
    • /
    • pp.47-54
    • /
    • 2009
  • Automatic object recognition in 3D measuring data is of great interest in many application fields e.g. computer vision, reverse engineering and digital factory. In this paper we present a software tool for a fully automatic object detection and parameter estimation in unordered and noisy point clouds with a large number of data points. The software consists of three interactive modules each for model selection, point segmentation and model fitting, in which the orthogonal distance fitting (ODF) plays an important role. The ODF algorithms estimate model parameters by minimizing the square sum of the shortest distances between model feature and measurement points. The local quadric surface fitted through ODF to a randomly touched small initial patch of the point cloud provides the necessary initial information for the overall procedures of model selection, point segmentation and model fitting. The performance of the presented software tool will be demonstrated by applying to point clouds.

3-D shapes measurement technique using pattern projection (간섭무늬 투영 방식을 이용한 3차원 형상측정법)

  • 박준식;나성웅;이연태;강영준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07a
    • /
    • pp.26-27
    • /
    • 2002
  • 광학식 3차원 형상측정 기술은 산업현장과 의료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접촉식 3차원 형상측정 방법인 위상측정법(Phase Measuring Profilometry; PMP)을 실험적으로 구현하였으며 위상추출 알고리즘으로는 위상이동방법(Phase shifting method)과 푸리에 변환법(Fourier Transform)을 사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 및 고찰하였다. (중략)

  • PDF

Using 3D image-based body shape Measurement to increase the accuracy of body shape Measurement (체형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3차원 영상 기반의 체형 측정 활용)

  • So, Ji Ho;Jeon, Young-Ju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4
    • /
    • pp.803-806
    • /
    • 2020
  • The body shape measurement method using 3D images has been widely used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3D measurement cameras and algorithms. Existing 3D imaging devices are expensive devices, and there is a limit to their universalization. Due to the recent spread of inexpensive 3D cameras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asurement methods, various possibilities are being shown. It is expected to have a great impact on the medical device market that requires accurate data collection. Various medical device produc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re emerging, and accurate data collection is the most important to develop accurat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Collection equipment using 3D cameras is expected to act as a major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using 3D images.

Fatigue Evaluation Method for 3D Video based on Characteristics of Depth Map (깊이 영상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을 통한 3차원 영상의 피로도 측정)

  • Choi, Jae-Seob;Kim, Dong-Hyun;Sohn, Kw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77-80
    • /
    • 2009
  • 3차원 영상 처리 기술과 3차원 디스플레이의 발전은 3차원 영상 시장의 빠른 발전을 가져왔고 차세대 방송 기술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3차원 영상은 시청할 때 눈의 피로, 어지럼증과 같은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왜곡된 3차원 영상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는 3차원 영상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 가장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현재 3차원 디스플레이는 스테레오 방식과 함께 1view 1depth 다시점 방식이 개발되었다. 특히 1view 1depth 다시점 디스플레이에서 깊이 영상의 공간적/시간적으로 복잡한 정도는 피로감을 일으키는 주요 요소이며 이는 1view 1depth 영상을 통해 직접 연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1view 1depth 디스플레이에서 주관적인 피로도와 큰 상관도를 가지는 깊이 영상의 특성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1view 1depth 디스플레이에서 view 영상은 양호한 화질을 가정하였으며 피로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깊이 영상 정보만 사용하여 공간적, 시간적인 특성을 분석한다. 공간적 복잡도는 각 프레임에 대하여 깊이 영상 내 화소 값의 분산 값을 취하여 공간적으로 깊이 값의 분포와 구조의 복잡한 정도를 측정하고, 시간적 복잡도는 연속적인 프레임에 대하여 동일한 화소위치에서 화소 값 차이의 분산 값을 사용한다. 또한 공간적/시간적 평균값의 측정하여 피로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측정한 값들을 바탕으로 주관적인 피로도 평가와 유사성을 가지도록 모델링하여 3차원 영상의 피로도를 예측한다.

  • PDF

A New Fitness Index for Simulated Implantation System of Artificial Hip Joint based on 3D Medical Images (3차원 의료영상에 기반한 인공고관절 모의시술 시스템 개발 및 새로운 정합도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 김용호;김중규;최귀원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1 no.2
    • /
    • pp.201-21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인공고관절과 환자의 고관절 부위를 각각 3차원 영상화한 후에 이들의 정합도 (fitness)를 측정하여 수치적인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체형에 적합한 인공고관절을 선택하고, 더 나아가 정확한 시술방향과 시술깊이를 제공할 수 있는 모의시술시스템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region growing 기법등을 이용하여 환자의 CT 영상을 3차원화하고, 또한 인공고관절을 projection 기법 등을 통해 3차원 영상화하였으며, 지금까지 인공고관절 정합도 측정에 사용했던 단순한 단면적 비교방식과는 달리 삽입의 균일성도 가늠할 수 있는 새로운 정합도 측정 방식을 고안하여 적용하였다. 다양한 실험과 분석을 통하여 새로 제안한 정합도 측정 방법의 정확성과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모의 시술시스템은 향후 정형외과 분야에서 인공무릎과 같은 다른 영역에서의 시술 보조 시스템으로도 응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공관절의 국산화 및 주문제작 등에성도 많은 활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ixing distance through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in river (하천에서의 공간분포 분석을 통한 혼합거리 연구)

  • Chang Hyun Lee;Kyung Dong Kim;Si Wan Ryu;Dong Su Kim;Young D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4-144
    • /
    • 2023
  • 하천 합류부에 있어 수체의 혼합양상 분석은 고해상도의 자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최근 공간적 분포를 해석함에 있어 3D 기법들을 많이 활용되고 있다. IDW, Natural Neighbor, Kriging기법등 다양한 기법들이 많이 적용되고 있고 그에 따라 각 보간법을 비교 분석하여 공간해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관련 논문을 검토한 결과, 측정 결과에 따른 2차원 횡단면 분포의 내용이 지배적이었고, 3차원 매핑 및 3차원 분석을 통한 수리학적 정보 획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였다. 특히 3차원 하천 수질 농도의 연구가 불충분했다. 그에 따라 저해상도 측정결과에서의 예측과 보간법에 대한 시각화를 통해 하천의 전체적인 수리·수질정보를 표기하였다. 각각의 보간법을 비교함으로써 하천매핑에 있어 Kriging 기법을 적용하여 시각화된 자료와 정량적 평가를 통해 하천매핑의 정밀성을 향상시켰다. 하천합류부를 공간 분석할 시에 하천의 측정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바탕으로 계측경로에 따라 보간한 결과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3차원자료를 이용하여 하천의 혼합거리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에 따른 수표면과 연직방향까지 고려된 혼합거리분석을 비교하였다.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측정 및 모니터링 기술의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되며, 이러한 데이터는 유해물질 저감 기술 및 평가 예측 기술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고 있다. 유해화학물질 추정, 호수의 고위험 조류군 계층분석 등 다양한 수생건강 진단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