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상 임상연구

검색결과 998건 처리시간 0.032초

제 3상 임상시험에서 표본수 결정

  • 남정모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제3회 추계심포지움
    • /
    • pp.73-78
    • /
    • 1995
  • 표본수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크게 sequential design과 fixed sample size design이 있다. Fixed sample size design은 연구를 시행하기 전에 표본수를 합리적으로 결정하고 정해진 표본내에서 연구를 진행하는 방법이며, sequential design은 연구를 진행하면서 결과의 차이가 있는가 또는 없는가에 대해 미리 정해진 한계영역을 기준으로 계속적으로 연구대상을 추출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방법이다. 여기서는 많이 사용되는 fixed sample size design에 대해서만 생각하기로 한다.

  • PDF

제 1상 임상시험에서 멈춤 규칙을 이용한 수정된 최대허용용량 추정법 (Adjusted maximum tolerated dose estimation by stopping rule in phaseⅠclinical trial)

  • 박주희;김동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6호
    • /
    • pp.1085-1091
    • /
    • 2012
  • 제 1상 임상시험의 주목적은 신약 후보 물질의 독성을 평가하여 부작용 및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는 약물의 적정한 용량인 최대허용용량의 추정이다. 기존에 최대허용용량을 추정하는 방법에는 표준방법 (Storer, 1989; Korn 등, 1994) 그리고 NM방법 (Lee와 Kim, 2012)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피험자들이 낮은 용량에 많이 할당되는 점을 보완하고 기존의 최대허용용량 추정법보다 적은 수의 피험자로 실험하기 위해서 기존 최대허용용량 추정법을 수정한 멈춤 규칙을 적용시킨 추정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방법들과 새롭게 제시한 방법을 모의실험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복부 구획 기반의 복부 측정기기 적용 및 증상 유효 물리량 추출 연구 (A Study of Applying Abdominal Examination Devices through Abdominal Compartment and Extracting Effective Physical Quantities for Abdominal Signs)

  • 김근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70-272
    • /
    • 2022
  • 한의 복진은 복부를 검사하기 위해 수행되지만 정량화되지는 않았다. 이 연구의 목표는 소화불량의 주요 증상인 흉협고만이 있는 그룹과 아닌 그룹 사이에 유의하게 차이나는 복부 측정기기의 변수를 식별하는 것이다. 정량적인 진단을 위해 규칙에 따라 구획한 복부를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 디지털 압통기, 3D 카메라 및 디지털 청진기를 포함한 기기로 측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임상연구를 수행하여 한의사들이 진단한 복부 증상인 흉협고만과의 일치도를 조사하였다. 기기 측정 중 깊이, 압력, 깊이에 대한 압력의 비율은 흉협고만 그룹이 비 흉협고만 그룹보다 유의하게 작았다. 따라서 물리적 압통 특성이 감소하고, 복부 경직도가 감소하며, 민감도가 증가했다. 좌측과 우측 늑골 사이의 거리, 흉늑골 각도는 흉협고만 환자에서 유의하게 더 컸다. 또한, 깊이 차이, 표면 법선 벡터 및 깊이 값 사이의 각도 차이는 흉협고만 그룹에서 대부분 작았다. 복부 측정기기는 다양한 질환 및 증상에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간암 환자의 세기조절 방사선치료에서 임상적응 가능한 QA 기법의 개발 (Development of Film Verification as the QA of IMRT for Advanced Hepatoma Patients)

  • 김명세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7권1호
    • /
    • pp.40-46
    • /
    • 2006
  • 암은 한국인의 사망원인 중 1위이며, 간암은 위암, 폐암과 함께 한국인의 3대 암의 하나로 발생 빈도가 높은 암이나, 대부분의 환자가 자각증상이 없어 수술이 가능한 시기를 지난 후에 진단되어 다양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생존율이 낮다. 간암은 진단 시 종양의 크기가 비교적 크며, 주위 정상 간 조직의 견딤선량이 낮아 통상적인 방사선치료로는 간암세포의 치사량을 조사할 수 없어 표적장기에는 다량의 방사선을 조사하면서 주위정상조직에는 조사량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세기조절 방사선치료의 필요성은 매우 크다. 그러나 간암이나 폐암에서는 호흡이나 심박동, 장의 연동운동 등으로 상, 하, 좌, 우, 전, 후 방향으로 종양이 움직임으로 계획된 치료선량이 정확한 부위에 전달되는지에 대한 QA 기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아 세기조절 방사선치료의 이론적인 많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실제 임상에서의 치료는 활발하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35예의 간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복잡한 술기가 필요하지 않아 환자가 불편하지 않고 환자의 치료시간도 지연시키지 않으면서, 임상적용이 용이한 QA 방법을 고안하여 간암환자의 임상적용가능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호흡으로 인한 종양의 이동폭이 가장 크다고 보고되고 있는 상하의 margin은 횡격막의 상하 이동을 5회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정하고, 이 평균값만큼 상하 자동으로 반복 이동하도록 특수 제작한 장치 위에 팬텀을 고정하여 환자에서와 같은 조건으로 방사선을 조사한 후 방사선조사 선량을 TLD와 전리함으로 측정하고 컴퓨터 계산치와도 비교하여 3% 이내의 오차를 확인하였다. 환자의 첫 번째 치료에서 만든 확인 필름과 인체모형 팬텀에서 같은 방법으로 방사선을 조사하여 만든 확인 필름을 필름 스캐너로 선량을 측정한 후 90% 등선량 곡선을 비교하여도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어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QA 기법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제 1상 임상시험에서 다양한 멈춤 규칙을 이용한 최대허용용량 추정법 (Maximum tolerated dose estimations using various stopping rules in phase I clinical trial)

  • 전소영;김동재
    • 응용통계연구
    • /
    • 제35권2호
    • /
    • pp.251-263
    • /
    • 2022
  • 제1상 임상시험은 '투약 용량 발견 시험(dose finding study)'라고도 불리는데 동물 실험 또는 시험관 실험을 통하여 개발된 신약 물질을 사람에게 시험하는 첫 단계이다. 제 1상 임상시험의 목적 중 하나는 환자에게 허용할 수 있으면서 최대의 효능을 가진 복용량인 최대허용용량(maximum tolerated dose, MTD)을 결정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멈춤 규칙을 이용한 MTD 추정법들을 소개한다. 또한 모의실험을 통해 SM3, NM, Rim, J3, BSM 방법을 비교하고 효율적인 MTD 추정법에 대해 고찰한다. 모의실험 결과 BSM방법이 목표독성확률에 가장 가깝게 MTD를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J3방법의 피험자 수가 가장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두 방법의 멈춤 규칙의 특성 때문이라고 판단되는데 BSM방법은 독성 반응이 있을 때 같은 용량에 피험자를 2명 또는 1명을 추가한다. 또한 J3방법은 동일한 용량에 할당되는 최대 피험자 수가 다른 방법에 비해 적다. 이러한 특성들을 결합하여 추정법을 개선한다면 더 효율적으로 MTD를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BSM방법의 멈춤 규칙을 이용하면서 총 피험자 수를 줄일 수 있다면 적은 수의 피험자로 정확한 추정이 가능할 것이다.

한 정신병원에서 발생한 급성 축삭성 길랑-바레 증후군으로 추정되는 환자들에 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Probable Acute Axonal Guillain-Barré Syndrome Occurring at a Mental Hospital)

  • 이동국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2권2호
    • /
    • pp.81-88
    • /
    • 2000
  • 한 정신병원에 장기입원한 정신분열증환자에서 계속 발생한 8명의 급성 축삭성 GBS로 추정되는 환자들의 평균연령은 38세였으며 7명이 남자였다. 모든 환자들은 급성 상행성 양쪽하지 마비나 사지마비를 보이면서 심부 건반사가 소실되었다. 이 병은 주로 여름철에 많이 발생 하였으며 전기생리학적 검사상 축삭이 주로 손상된 소견을 보였다. IVIG치료를 한 1명을 제외한 나머지 환자들은 경제적 사정상 대증요법으로 치료하였다. AMAN형태의 환자 3명 중 1명에서 임상적 호전을 보였고, AMSAN형태의 환자 5명 중 2명에서 임상적 호전을 보였다. AMSAN형태의 환자중 1명에선 10개월 뒤 같은 증상이 재발하였다.

  • PDF

교합상을 이용한 치료가 두개하악장애 환자에 미치는 부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de Effect of the Splint Therapy for the Patient with Craniomandlbular Disorders)

  • 김영구;이승우;정성창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5권1호
    • /
    • pp.45-53
    • /
    • 1991
  • 저자는 두개하악 장애로 교합상치료를 받고있는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전, 치료후 1개월, 3개월, 6개월째에 주관적 평가, 임상적 검사, 근전도 검사, 컴퓨터 교합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주관적 평가인 visual analogue scale과 Helkimo's anamnestic dysfunction index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임상적 검사시 MM(mandibular movement), TM(TMJ capsule palpation), EM(extraoral muscle palpation), Di(Helkimo's clinical dysfuction index)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무통성 개구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42명의 환자중 10명에서 교합변화가 관찰되었으며, 5명에서 치주질환, 2명에서 치아 과민감, 1명에서 구토경향이 관찰되었다. 3. 치주칠환을 보이는 10명의 환자중 3명은 교합상치료 이전부터 치주질환에 이환된 상태였으며 3명에서는 교합변화가 함께 관찰되었다. 4. 교합변화를 보인 10명의 환자중 교합상의 장착시간을 줄였을 때, 3명이 원래의 교합상태로 회복되었고 4명은 부분적으로 회복되었으며 3명에서는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5. 악관절 내장 제 5기 환자에서 교합변화가 더 빈번히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Habitual clenching 시와 Maximal clenching 시 사이의 치아접촉점 수, maximal clenching 시의 치아 접촉점의 수와 접촉 치아수 사이에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habitual clenching 시의 치아접촉점의 수와 접촉 치아수, Habitual clenching 시와 maximal clenching시 사이의 치아 접촉시간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Pb(Zr,Ti)$O_3$ 강유전체 박막의 스퍼터링 증착과 열처리 연구 (Spputtering Depposition and Anncaling of Pb(Zr,Ti)$O_3$Ferroelectric Thin Films)

  • 박재영;윤진모;장호정;임상규;정지근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1996년도 제11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175-176
    • /
    • 1996
  • ppt/Ti/SiO2/Si 기판상에 고주파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식으로 ppZT 박막[두 께:3000$\AA$]을 증착하고 RTA 방식으로 후속 열처리[열처리온도:550~$650^{\circ}C$]를 실시하여 직 경 0.2mm 소자의 FECApps(ferroelectric cappacitors)를 제작하였다. 증착된 ppZT 박막을 강 유전성 pperovskite 결정상으로 만들기 위해 ppZT 박막의 열처리조건을 연구하였으며, 열처리 방식에 따른 ppZT 박막의 결정특성(상형상, 형상관찰, 성분분석 등)과 커패시터 소자의 전기 적 특성($\varepsilon$r,tan$\delta$,pp-E hysteresis curves, 누설전류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흉부 식도암의 병기 결정에 있어서 채골상 림프절 전이의 의미 (Significance of Supraclavicular Lymph Node Involvement on Determination of Clinical Staging for Thoracic Esophageal Carcinoma)

  • 우홍균;박찬일;하성환;김일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108-112
    • /
    • 1999
  • 목적 : 1997년에 개정된 AJCC 병기분류법에 의하면 흉부식도암의 쇄골상림프절전이는 원격전이로 분류된다. 연구자들은 다른 국소림프절전이와 쇄골상림프절전이의 임상적 양상의 차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9년 6월부터 1992년 12월 사이에 임상적으로 절제가 불가능한 식도암 환자 289명이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이 중 25명의 환자에서 쇄골상림프절전이가 관찰되었다. 쇄골상림프절의 임상적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소림프절전이 환자와 생존율 및 재발양상에 대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쇄골상림프절전이 환자의 생존중앙치는 7개월이었으며 2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12.0$\%$ 및 4.0$\%$ 였다. 국소 림프절전이 환자에서는 9개월, 17.0$\%$ 및 3.8$\%$ 였다. 두 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할 수 려었다. 또한 재발양상에 있어서도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흉부식도에서 발생한 식도암에서 쇄골상림프절로의 전이는 현재의 분류인 원격전이이기 보다는 국소림프절전이로 분류되어야 할 것이며, 향후 이에 대한 다기관공동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