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군 매칭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Memory Efficient Tri-Matching Algorithm (메모리 효율적인 3군 매칭 알고리즘 구현)

  • Kim, Donggil;Jung, S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393-394
    • /
    • 2020
  • 세 군 매칭을 수행하여 관찰 데이터를 구축하고 통계분석에 기반한 연구를 수행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매칭작업은 각 군에 속한 개체의 성향점수를 서로 비교해 거리가 가까운 짝을 찾아야 하므로 카테시안 곱 만큼의 경우의 수를 따져야 하는 문제이고, 메모리 소요가 크다. 특히 세 군 매칭은 세 쌍의 거리가 가까운 triplet을 찾는 문제로, 세 개체 사이에 존재하는 세 개의 거리를 따져야 하기 때문에 메모리 소요가 두 군 매칭에 비해 훨씬 크다. 각 군에 속한 개체가 늘어나면 메모리소요가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R패키지에 포함된 TriMatch함수는 세 군 매칭 수행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세 개체 사이의 세 개 거리가 가장 짧은 triplet을 찾는 방식으로 구현 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메모리 소요가 매우 커 각 군에 속한 개체의 수가 많아지면 메모리 부족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세 군 매칭에 소요되는 메모리 소요를 줄일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알고리즘의 구현을 통해 각 군에 속한 개체가 늘어나도 안정적인 세 군 매칭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atistical Approach for Improving the Embedding Capacity of Block Matching based Image Steganography (블록 매칭 기반 영상 스테가노그래피의 삽입 용량 개선을 위한 통계적 접근 방법)

  • Kim, Jaeyoung;Park, Hanhoon;Park, Jong-Il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2 no.5
    • /
    • pp.643-651
    • /
    • 2017
  • Steganography is one of information hiding technologies and discriminated from cryptography in that it focuses on avoiding the existence the hidden information from being detected by third parties, rather than protecting it from being decoded. In this paper, as an image steganography method which uses images as media, we propose a new block matching method that embeds information into the discrete wavelet transform (DWT) domain. The proposed method, based on a statistical analysis, reduces loss of embedding capacity due to inequable use of candidate blocks. It works in such a way that computes the variance of each candidate block, preserves candidate blocks with high frequency components while reducing candidate blocks with low frequency components by compressing them exploiting the k-means clustering algorithm. Compared with the previous block matching method, the proposed method can reconstruct secret images with similar PSNRs while embedding higher-capacity information.

Bootstrap estimation of the standard error of treatment effect with double propensity score adjustment (이중 성향점수 보정 방법을 이용한 처리효과 추정치의 표준오차 추정: 붓스트랩의 적용)

  • Lim, So Jung;Jung, Inkyu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0 no.3
    • /
    • pp.453-462
    • /
    • 2017
  • Double propensity score adjustment is an analytic solution to address bias due to incomplete match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standard error of the estimated treatment effect when using double propensity score adjustment. In this study, we propose two bootstrap methods to estimate the standard error. The first is a simple bootstrap method that involves drawing bootstrap samples from the matched sample using the propensity score as well as estimating the standard error from the bootstrapped samples. The second is a complex bootstrap method that draws bootstrap samples first from the original sample and then applies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to each bootstrapped sample. We examined the performances of the two methods using simulations under various scenarios. The estimates of standard error using the complex bootstrap were closer to the empirical standard error than those using the simple bootstrap. The simple bootstrap methods tended to underestimate. In addition, the coverage rates of a 95% confidence interval using the complex bootstrap were closer to the advertised rate of 0.95. We applied the two methods to a real data example and found also that the estimate of the standard error using the simple bootstrap was smaller than that using the complex bootstrap.

Local Stereo Matching Method Robust to Gradually Illumination Changes (단계적 조명변화에 강인한 지역적 스테레오 매칭 기법)

  • Kim, Tae-Keun;Shin, Kwang-Mu;Chung, Ki-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473-476
    • /
    • 2011
  • 최근 3D영화의 흥행과 더불어 3D 영상제작 기술들이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변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스테레오 매칭에 관한 분야는 꾸준히 연구가 되고 있는 분야이다. 그 중에서도 지역적 방법은 구현의 용이성과 낮은 계산복잡도로 인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지역적 방법들은 영상이 외부환경에 변형되었을 때의 경우를 고려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외부환경에 의해 많이 변형된 영상에 대해서는 제대로 된 변이 정보를 추출해내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양쪽 영상에서 픽셀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서로 대응되는 영역을 찾는 스테레오 매칭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조명과 같은 외부요소에 강인한 특징을 가진다. 이 기법은 전 처리나 후처리 과정에서 부가적인 작업의 수행 없이 기법 자체만으로 외부요소에 대한 보상을 실행한다는 면에서 장점을 가진다. 다양한 영상에서 변이를 추출하는 실험 결과, 단계적 조명 변화에 대해서도 대조군 방법과 비교하여 균일한 변이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Matching for the Elbow Cylinder Shape in the Point Cloud Using the PCA (주성분 분석을 통한 포인트 클라우드 굽은 실린더 형태 매칭)

  • Jin, YoungHoon
    • Journal of KIISE
    • /
    • v.44 no.4
    • /
    • pp.392-398
    • /
    • 2017
  • The point-cloud representation of an object is performed by scanning a space through a laser scanner that is extracting a set of points, and the points are then integrated into the same coordinate system through a registration. The set of the completed registration-integrated point clouds is classified into meaningful regions, shapes, and noises through a mathematical analysis. In this paper, the aim is the matching of a curved area like a cylinder shape in 3D point-cloud data. The matching procedure is the attainment of the center and radius data through the extraction of the cylinder-shape candidates from the sphere that is fitted through the RANdom Sample Consensus (RANSAC) in the point cloud, and completion requires the matching of the curved region with the Catmull-Rom spline from the extracted center-point data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Not only is the proposed method expected to derive a fast estimation result via linear and curved cylinder estimations after a center-axis estimation without constraint and segmentation, but it should als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of reverse engineering.

Analysis of Mobile Game in ANIPOP (ANIPOP 모바일 게임의 분석)

  • Xie, Dongjun;Yao, Dexiang;Kim, Soo 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219-220
    • /
    • 2020
  • 매칭 비디오 게임은 2000년대에 인터넷에서 퍼즐 게임이 확산되면서 각광을 받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ANIPOP은 중국에서 매우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현재에도 많은 각광을 받고 있는 게임이다. 매칭 게임은 일종의 퍼즐 게임으로써 과일, 보석, 동물 아바타, 빌딩 블록, 마작 타일 등과 같은 일정한 양의 동일한 게임 요소를 재생하여 서로 인접하면 제거하고 승리하는 규칙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ANIPOP 게임에 대해 소개와 분석을 한다.

  • PDF

Therapeutic Endoscopy-related Gastrointestinal Bleeding and Thromboembolic Events in Patients Using Warfarin or Direct Oral Anticoagulant (와파린 및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환자에서의 치료 내시경과 관련된 위장관 출혈 및 혈전색전증의 위험)

  • Na, Hee Kyong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
    • v.72 no.5
    • /
    • pp.271-273
    • /
    • 2018
  • 내시경 시술 전 일시적으로 항응고제를 중단하는 것은 위장관 출혈의 위험과 혈전색전증의 위험 사이에 적절한 균형을 잡기 어렵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많다. 와파린은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direct oral anticoagulant agent, DOAC)보다 임상의에게 더 친숙하고, 효과를 쉽고 빠르게 전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복잡한 약역동학 특징과 좁은 치료적 범위 때문에 관리가 어렵다. 반면, DOAC는 약물의 모니터링 및 용량 조절 없이 정해진 용량으로 처방이 가능하며, 빠르게 작용하고, 반감기가 짧아 관리가 쉽지만 해독제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전 연구들에서 DOAC를 복용한 환자들은 와파린을 복용한 환자들보다 시술과 관련되지 않은 위장관 출혈의 위험이 높았다고 보고한 바 있다. 하지만 시술과 관련된 위장관 출혈 위험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미국이나 유럽 내시경 가이드라인들에서는 저위험 내시경 시술을 받는 환자들에서는 와파린과 DOAC를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고위험 시술의 경우에는 와파린를 사용하는 환자들에서 헤파린 교량 요법(heparin bridging)을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임상적으로 DOAC를 사용하는 환자들 또한 혈전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헤파린 교량 요법을 시행해볼 수 있는데, 와파린 및 DOAC의 헤파린 교량 요법과 관련된 출혈 및 혈전색전증 위험의 차이 또한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1) 와파린과 DOAC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서의 출혈, 혈전색전증 및 사망의 위험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2) 13종류의 고위험 내시경 시술 중에서 시술별 위험을 비교하고, 3) 헤파린 교량 요법이 합병증의 발생을 증가시키지 않는지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본 대규모 국가 입원 환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14년 4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시술 전 와파린 또는 DOAC(rivaroxaban, apixaban, dabigatran, edoxaban)를 복용하고, 13종류의 고위험 내시경 시술을 시행받은 20세 이상의 성인 환자 총 16,977명을 확인하였다. 고위험 시술은 용종 절제술, 내시경 점막절제술, 내시경 점막하박리술, 협착 부위의 풍선확장술, 내시경 지혈술, 내시경 정맥결찰술, 내시경 주사 경화요법, 내시경 괄약근절개술,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미세침 흡인 검사, 경피적 위루술을 포함하였다. 일대일 성향 점수 매칭 분석(propensity score matching,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 기저 질환, 병원의 규모, 시술의 종류, 약물의 종류를 매칭)을 시행하여 와파린군과 DOAC군에서 시술 위장관 출혈 및 혈전색전증, 사망의 발생을 비교하였다. 또한 경구항혈전제와 헤파린 교량 치료 시행 유무에 따라, DOAC 단독군, 와파린 단독군, DOAC와 헤파린 교량 요법군, 와파린과 헤파린 교량요법군으로 나누어, 하위군(subgroup) 분석을 시행하였다. 5,046쌍이 성향 점수 매칭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와파린군에서 DOAC군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위장관 출혈의 비율이 높았다(12.0% vs. 9.9% p=0.02). 혈전색전증 발생률(5.4% vs. 4.7%)과 입원중 사망률(5.4% vs. 4.7%)은 양 군에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DOAC 종류별로 나누어 하위군 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와파린군은 rivaroxaban군에 비하여 위장관 출혈의 비율이 높았으며, rivaroxaban군, dabigatran군에 비하여 혈전색전증의 비율이 높았고, 입원 중 사망률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내시경 시술의 종류로 보정하였을 때 위장관 출혈 및 혈전색전증, 사망률은 DOAC 단독으로 치료한 환자에서보다 와파린과 헤파린 교량 요법(bridging) 또는 DOAC과 헤파린 교량 요법을 시행한 환자에서 높았다. 시술 종류 중에서는 위루관 삽입술에 비하여 내시경 점막하박리술, 내시경 점막절제술 및 내시경 정맥류결찰술, 내시경 주사경화요법을 시행한 환자에서 위장관 출혈의 위험이 가장 높았으며, 하부 내시경 점막절제술, 하부 용종 절제술, 내시경적 유두괄약근절제술 또는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미세침 흡인 검사는 중등도 위험을 보였다.

Analysis of the incidence of dementia in complete edentulous patients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Elderly Cohort Database (NHIS-ECD)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 코호트 자료를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치매 발병률 분석)

  • Koo, Bonsuk;Yoo, Jin-Joo;Kim, Manyong;Lim, Hyunsun;Yoon, Joon-Ho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8 no.3
    • /
    • pp.193-200
    • /
    • 2020
  •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mentia and complete tooth loss on both sides or one side using large demographic data.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designed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Elderly Cohort Database (NHIS-ECD) which was established for people over the age of 60. The experimental group was the complete edentulous cohort, which had a history of treatment for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ed complete denture on both sides or one side from July 1, 2012 to December 31, 2013. And the control group was the dentulous cohort, which had a history of conservative dental treatment for the same period. All subjects had no history of diagnosis or treatment of dementia during this time. These cohorts were matched 1:1 by age, gender, and place of residence according to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Then the incidence of dementia was compared between these cohorts. Results: Compared with those groups, the incidence of dementi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12.13%) than in the control group (9.74%) (P<.05). No clear association between other factors has been identified. Conclusion: The analysis of large-scale demographic data shows that the incidence of dementia is high in complete edentulous patients on both sides or one side.

Effects of the Continuity of Care on Hospital Utilization : Convergence A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진료지속성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 융복합 성향점수매칭 방법 적용)

  • Ahn, Lee-S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9
    • /
    • pp.323-332
    • /
    • 2015
  • This paper examines the level of the primary care continuity for patients with high blood pressure and the effects of the primary care continuity on their convergence health outcome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A total of 315,791 patients who had received new diagnoses of hypertension. We determined standard indices of continuity of care-MFPC, MMCI, and COC and evaluated their association with study outcomes over three years of follow-up. Outcome measures included hospitalization and emergency room visits. The result of the primary care continuity levels and hazard ratios of health outcome showed that, comparing continuity group, non-continuity group had higher rates of hospitalization by 1.655(95% CI: 1.547-1.771) and emergency room visits by 1.669(95% CI: 1.465-1.903). This paper argues that medical costs of chronic diseases will reduce if low continuity of care turns into high continuity of care.

Korean Phoneme Recognition Using Self-Organizing Feature Map (SOFM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한국어 음소 인식)

  • Jeon, Yong-Koo;Yang, Jin-Woo;Kim, Soon-Hyob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2
    • /
    • pp.101-112
    • /
    • 1995
  • In order to construct a feature map-based phoneme classification system for speech recognition, two procedures are usually required. One is clustering and the other is labeling. In this paper, we present a phonem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Kohonen's Self-Organizing Feature Map (SOFM) for clusterer and labeler. It is known that the SOFM performs self-organizing process by which optimal local topographical mapping of the signal space and yields a reasonably high accuracy in recognition tasks. Consequently, SOFM can effectively be applied to the recognition of phonemes. Besid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honeme classification system, we propose the learning algorithm combined with the classical K-mans clustering algorithm in fine-tuning stage.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phoneme classification algorithm, we first use totaly 43 phonemes which construct six intra-class feature maps for six different phoneme classes. From the speaker-dependent phoneme classification tests using these six feature maps, we obtain recognition rate of $87.2\%$ and confirm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an efficient method for improvement of recognition performance and convergence spe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