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4-Hydroxybenzoic acid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3초

Phenolic acid가 Maillard 반응 모델액의 갈변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enolic Acids on Inhibition of Browning of Maillard Reaction Model Solutions)

  • 곽은정;임성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0-24
    • /
    • 2007
  • 된장모델로서 0.1M glucose-0.1M glutamic acid 모델을 선정하고 0.2mM $FeCl_{2}$의 존재 하에 갈변억제제인 50mM citric acid와 이의 synergist로 5종의 phenolic acids를 첨가하여 조제한 시료를 $4^{\circ}C$$30^{\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면서 phenolic acids가 갈변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phenolic acids 첨가에 따른 갈변억제효과는$4^{\circ}C$의 저온에서보다 $30^{\circ}C$의 실온에서 저장시 pH의 변화 없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종의 phenolic acids 중에서 hydroxybenzoic acid는 갈변억제능이 가장 높아, 갈변억제능은 $30^{\circ}C$에서 4주간 저장후 phenolic acids 무첨가구보다 13%가 높았다. Caffeic acid와 protocatechuic acid와 같이 OH기가 2개 치환된 phenolic acid는 Maillard 반응의 촉매로 작용하는 철 이온과의 결합능이 높아 Maillard 반응이 보다 더 억제되어 3-DG 및 형광화합물과 같은 중간반응산물의 생성을 가장 억제하였으나, 이들 phenolic acids는 유색의 착체를 형성하여 동일계의 OH기가 0, 1개 치환된 phenolic acids보다 갈변도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Hydroxybenzoic acid는 실제 된장에도 사용가능한 첨가물로서 citric acid를 갈변억제제로 사용시 이의 synergist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Phenolic Compounds from Orostachys japonicus having Anti-HIV-1 Protease Activity

  • Park, Ju-Gwon;Park, Jong-Cheol;Hur, Jong-Moon;Park, Sung-Jong;Choi, Da-Rae;Shin, Dong-Young;Park, Ky-Young;Cho, Hyun-Wook;Kim, Moon-Su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6권3호
    • /
    • pp.117-121
    • /
    • 2000
  • The water extract of the aerial par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showed th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HIV-1 protease. From the same parts of O. Japanicus, 4-hydroxybenzo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gallic acid and methyl gallate, together with flavonoids, kaempferol, quercetin, kaempferol $3-O-{\beta}-D-glucoside$, kaempferol $3-O-{\beta}-D-galactoside$ and quercetin $3-O-{\beta}-D-glucoside$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by spectral data.

  • PDF

옥수수 깜부기균에 의한 페닐알라닌의 대사적 분해 (Metabolic Fate of Phenylalanine in the Corn Smut Fungus Ustilago maydis)

  • 현민우;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9-253
    • /
    • 2011
  • Ustilago maydis(옥수수깜부기균)에 있어서 동포자 melanin의 구성성분으로 catecol 계 알려진바 이 물질의 전구체인 benzoic acid의 생성 여부와 그 유래 원천을 추적하고자 phenylalanine의 분해 과정을 조사하였다. 방사성 동위원소가 표지된 L-$^{14}C$-phenylalanine 및 $^{14}C$-trans-cinnamic acid를 첨가한 액체배지에서 균체와 배양액을 대상으로 대사산물을 추적 조사한 결과 trans-cinnamic acid, benzoic acid, 4-hydroxybenzoic acid와 hydroxybenzoic acid derivatives 추정되는 물질 등이 검출되었다. 또한 L-$^{14}C$-phenylalanine을 대사하여 매우 천천히 공기 중으로 $^{14}CO_2$를 방출함을 확인하여 phenylalanine을 완전히 분해 할 수 있음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옥수수깜부기균이 benzoic acid를 생성하고 그 유래는 phenylalanine의 분해에서 만들어지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복분자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의 동정 및 활성 (Identification and Activity of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Rubus coreanum Fruit)

  • 윤인;조정용;국주희;위지향;장미영;안태회;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98-904
    • /
    • 2002
  • 복분자를 착즙하여 착즙액과 잔사로 나누고, 각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각 획분을 대상으로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을 측정하였더니, 각 추출물의 EtOAc 가용산성획분에서 비교적 강한 활성이 나타났다. 이들 획분에 함유된 활성물질을 규명하고자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한 다음 활성획분을 GC-MS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복분자 착즙액의 EtOAc 가용 산성획분에 함유된 물질로 4-hydroxybenzoic acid, 4-hydroxy-3-methoxybenzo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3,4,5-trihydroxybenzoic acid, and 3,4-dihydroxycinnamic acid 등이 동정되었고, 잔사 MeOH 추출물의 EtOAc 가용 산성획분에 함유된 물질로 succin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citric acid, 3,4,5-trihydroxybenzoic acid, 3,4-dihydroxycinnamic acid가 동정되었다.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과 hydroxyl radical에 의한 malonaldehyde 생성억제 효과활성 등의 방법으로 동정된 물질의 항산화 활성이 평가되었다.

키산톤 유도체의 합성 (Synthesis of Xanthone Derivatives)

  • 고옥현
    • 약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94-297
    • /
    • 1997
  • The efficient synthesis of xanthone derivatives, which are important intermediates in the synthesis of psorospermin as a anticancer agent, from 3-(benzyloxy)-2-hydroxybenzoic ac id and 6-allyl-3,5-dihydroxyl-1-tosyloxybenzene as a starting material will be reported herein.

  • PDF

젖비단 그물버섯(Suillus granulatus)으로부터 분리한 저분자 화합물 (Chemical Structures of Compounds Isolated from Mushroom Suillus granulatus)

  • 강희철;윤봉식;유승헌;유익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49-154
    • /
    • 2001
  • 버섯유래 저분자 대사산물을 탐색하던 중 대전근교에서 채집한 젖비단 그물버섯(Suillus granulatus)으로 부터 9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젖비단 그물버섯을 메탄올로 추출한 후 용매분획하여 그 중 대산산물이 많이 함유된 chloro-form 층 및 ethyl acetate층 에 대하여 각각 silica gel 및 Sephad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였다. 주요대사산물을 함유하고 있는 분획물을 TLC및 분취용 HPLC를 사용하여 정제한 결과 9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규명하기 위하여 NMR 및 mass 분석을 수행하여쓰며 그 결과 이들의 화합물은 4-hydro-xyphenylacetic acid, 4-hydroxybenzaldhyde, 2, 5-dihydro-xybenzoic acid methyl ester, 5-deoxy-5 methylthioadeno- sine. indole 3-carboxlic methyl ester indole-3-carbox-aldehyde 1,3,5-trihydroxy 7-methylanthraquinone nicotinamide, 3-geranylgeranyl-4-hydroxybenzoic acid로 동정하였다.

  • PDF

산분해 대두 단백질로부터 분리된 Esterase 생성균의 생육 및 효소생성 특성 (Esterase Production and Culture Characteristics of Bacteria Isolated from Acid Hydrolysed Soybean Protein)

  • 오남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484-489
    • /
    • 1997
  • 산분해 대두 단백질로 부터 식품 보존료인 p-hydroxybenzoic acid butyl ester를 분해하고, esterase 활성을 갖는 균주들을 분리, 동정하여 그들의 생육 및 효소 생성 특징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전부 Baillus sp. 로 동정되었으며, specific growth rate는 균주에 따라 $0.844{\sim}1.213\;h^{-1}$였으며, esterase activity 는 Baillus sp. KB8 균주가 222 mU/ml로 대비균주인 B. subtilis ATCC6633의 21 mU/ml보다 10배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p-hydroxybenzoic acid butyl ester 분해 활성도는 $5.4{\sim}8.1\;mU/ml$로 균주에 따른 큰 차이는 볼 수 없었다. Baillus sp. KB8 균주의 배양시 NaCl 첨가는 생육을 저해시키며, esterase의 세포외 축적과 세포내 합성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NaCl 첨가 농도의 증가는 세포외 축적을 더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라스크 배양실험 결과 Baillus sp. KB8 균주의 효소 생성은 생육이 stationary phase 이후 점차 증가하여 배양 64시간에 420 mU/ml를 생성하였다. 온도에 대한 esterase의 활성은 $50^{\circ}C$에서 30분간 실활없이 유지되었으나 $70^{\circ}C$에서는 전부 실활되었다. $60^{\circ}C$$65^{\circ}C$ 에서의 효소 활성은 노출 시간에 따라 지수적인 실활 경향을 보여 3시간 후 $60^{\circ}C$에서 76%, $65^{\circ}C$에서는 3%의 잔존 효소활성을 보였다.

  • PDF

까치버섯 (Polyozellus multiflex)이 생산하는 미량 유기화합물의 화학구조 (Structure Elucidation of Minor Organic Constituents from Polyozellus multiflex)

  • 황지숙;류종하;구교철;곽주연;김상인;유익동;송경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519-524
    • /
    • 1998
  • 국내 자생버섯인 까치버섯(Polyozellus multiflex의 메탄을 추출물로부터 이 버섯이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을 조사한 결과 기 보고된 주 2차 대사산물인 polyozellin 이외에 미량 2차 대사산물로서 4가지 화합물이 단리되었으며 이들은 각종 spectral analysis에 의하여 각각 ergost-4,6,8,22-tetraen-3-one, 4-methoxy-6-methyl-2H-pyran-2-one, p-anisic acid, 및 p-hydroxybenzoic acid로 동정되었다. 이들에 대하여 prolyl endopeptidase 및 acetylcholine ester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으나 최고 100 ppm의 농도에서도 저해활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 PDF

화이트바이오텍기반 방향족화합물 개발에 관한 연구동향 (Research Trend about the Development of White Biotech-Based Aromatic Compounds)

  • 이진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06-315
    • /
    • 2009
  • 원유의 고갈, 반복되는 에너지 위기 및 지구온난화 문제에 기인하여 석유 대신 재생가능한 바이오매스를 사용하여 방향족 화학원료를 개발하는 연구가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바이오테크놀로지를 이용한 포도당으로부터 방향족아미노산 생합성경로 중간대사체 및 그 유도체 합성기술은 벤젠유래 화합물을 포함한 많은 방향족 석유화학원료를 대체할 가능성이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고는 미생물 대사공학, 생물전환, 화학공정 기술을 이용하여 hydroquinone, catechol, adipic acid, shikimic acid, gallic acid, pyrogallol, vanillin, p-hydroxycinnamic acid, p-hydroxystyrene, p-hydroxybenzoic acid, indigo, indole 3-acetic acid와 같은 방향족화합물을 어떻게 개발하고 있는지를 논하였다. 또한, 경쟁력있는 화이트바이오텍기반 방향족화합물 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문제점 및 해결방안등을 논했다.

Anti-Thrombosis Activity of Sinapic Acid Isolated from the Lees of Bokbunja Wine

  • Kim, Mi-Sun;Shin, Woo-Chang;Kang, Dong-Kyoon;Sohn, Ho-Y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61-65
    • /
    • 2016
  • From the lees of bokbunja wine (LBW) made from Rubus coreanus Miquel, we have identified six compounds (1: trans-4-hydroxycinnamic acid; 2: trans-4-hydroxy-3-methoxycinnamic acid; 3: 3,4-dihydroxycinnamic acid; 4: 4-hydroxy-3-methoxybenzoic acid; 5: 3,5-dimethoxy-4-hydroxybenzoic acid; and 6: 3,5-dimethoxy-4-hydroxycinnamic acid (sinapic acid)) through silica gel chromatography and UHPLC-MS. The compounds 1-6 showed strong anticoagulation and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y activities without hemolytic effect against human red blood cells. To dat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in vitro anti-thrombosis activity of sinapic acid. Our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cinnamic and benzoic acid derivatives are closely linked to the anti-thrombosis activity of LBW, and sinapic acid could be developed as a promising anti-thrombosis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