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27-UTR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8초

Hsa_circ_0129047 sponges miR-665 to attenuate lung adenocarcinoma progression by upregulating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receptor type B

  • Xiaofan Xia;Jinxiu Fan;Zhongjie F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7권2호
    • /
    • pp.131-141
    • /
    • 2023
  • Compelling evidence has demonstrated the critical role of circular RNAs (circRNAs) during lung adenocarcinoma (LUAD) progression. Herein, we explored a novel circRNA, circ_0129047, and detailed its mechanism of action. The expression of circ 0129047, microRNA-665 (miR-665), and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receptor type B (PTPRB) in LUAD tissues and cells was determined using reverse transcription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ting. Cell Counting Kit8 and colony formation assays were conducted to detect LUAD cell proliferation, and 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to quantify apoptosis-related proteins (Bcl2 and Bax). Luciferase reporter and RNA immunoprecipitation assays were used to validate the predicted interaction between miR-665 and circ_0129047 or PTPRB. A xenograft assay was used for the in vivo experiments. Circ_0129047 and PTPRB were downregulated in LUAD tissues and cells, whereas miR-665 expression was upregulated. Overexpression of circ_0129047 suppresses LUAD growth in vivo and in vitro. Circ_0129047 is the target of miR-665, and the miR-665 mimic ablated the antiproliferative and pro-apoptotic phenotypes of LUAD cells by circ_0129047 augmentation. MiR-665 targets the 3'UTR of PTPRB and downregulates PTPRB expression. PTPRB overexpression offsets the pro-proliferative potential of miR-665 in LUAD cells. Circ_0129047 sequestered miR-665 and upregulated PTPRB expression, thereby reducing LUAD progression, suggesting a promising approach for preventing LUAD.

Characteristics of Gene Structure of Bovine Ghrelin and Influence of Aging on Plasma Ghrelin

  • Kita, K.;Harada, K.;Nagao, K.;Yokota,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5호
    • /
    • pp.723-727
    • /
    • 2005
  • Ghrelin is a novel growth-hormone-releasing acylated peptide, which has been purified and identified in rat stomach. In the present study, the full-length sequence of bovine ghrelin cDNA was cloned by RT-PCR. The bovine ghrelin cDNA sequence derived in the present study included a 348 bp open reading frame and a 137 bp 3'UTR. The putative amino acid sequence of bovine prepro-ghrelin consisted of 116 amino acids, which contained the 27-amino acid ghrelin. The sequence analysis of the bovine ghrelin gene revealed that an intron existed between Gln$^{13}$ and Arg$^{14}$ of ghrelin. This exon-intron boundary matched the GT-AG rule of the splicing mechanism. Compared with rats, which have two tandem CAG sequences in the 3'end of intron, bovine ghrelin genome has only one CAG sequence. Therefore, although rats can produce 28 amino acid-ghrelin and 27 amino acid-des-Gln$^{14}$-ghrelin by alternative splicing, ruminant species, including bovines, might be able to produce only one type of ghrelin peptide, des-Gln$^{14}$-ghrelin. The influence of aging on plasma ghrelin concentration was also examined. Plasma ghrelin concentration increased after birth to approximately 600 days of age, and then remained constant.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DLBCL)에서 microRNA-23b의 잠재적 종양 억제자로서의 효과 (MicroRNA-23b is a Potential Tumor Suppressor in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 남제현;김은경;김진영;정다움;김동욱;곽보미;김상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9-154
    • /
    • 2017
  •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DLBCL)은 비호지킨 림프종에서 가장 흔한 형태이다. DLBCL에서 약물치료에 대한 연구가 많은 진전을 보였지만, 아직 많은 환자의 경우 DLBCL로 인한 사망률이 상당하다. 따라서 DLBCL에 대한 이해와 새로운 표적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PDE (인산이에스테르 가수분해효소)4B는 최근 시행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에서 약제내성을 가지는 DLBCL에서 과발현 되는 유전자로 밝혀졌다. PDE4B의 주된 역할은 이차전달자인 고리형 AMP (cylclic AMP, cAMP)를 5'AMP로의 가수분해를 촉진시켜 cAMP를 비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cAMP는 B 세포에서 세포증식 저해와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PDE4B는 B 세포에서 이러한 cAMP의 기능을 소멸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PDE4B의 과발현이 어떤 기작에 의한 것인지는 연구가 미비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정상적으로 발현된 마이크로 RNA (microRNA, miRNA)가 PDE4B의 과발현에 관련되어 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실험을 진행하였다. PDE4B 3'-UTR에는 세 개의 miR-23b 예상 결합부위가 존재하고, 이는 luciferase reporter assay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흥미롭게도, miR-23b 결합 부위들은 인간에서부터 도마뱀에 이르기까지 진화적으로 보존되어 있었고, 이는 세포 생리학적 측면에서 PDE4B-miR-23b 사이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암시하고 있다. miR-23b의 과발현은 PDE4B의 mRNA 발현을 감소시키고 세포내의 cAMP의 농도를 증가시켰다. 뿐만 아니라, miR-23b의 발현은 아데닐산고리화효소(adenylyl cyclase)의 활성약제인 forskolin이 처리된 경우에만 DLBCL 세포들의 증식과 생존을 억제하였다. 이는 miR-23b는 PDE4B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세포증식과 생존을 조절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생각해 볼 때, miR-23b는 PDE4B를 억제함으로써 DLBCL에서 나타나는 항암제 내성을 극복할 수 있고, 따라서 miR-23b는 잠재적 종양 억제자로서 효과적인 치료적 타겟으로 예상된다.

Identification of a Novel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n Porcine Beta-Defensin-1 Gene

  • Pruthviraj, D.R.;Usha, A.P.;Venkatachalapathy, R.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3호
    • /
    • pp.315-320
    • /
    • 2016
  • Porcine beta-defensin-1 (PBD-1) gen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nnate immunity of pigs. The peptide encoded by this gene is an antimicrobial peptide that has direct activity against a wide range of microbes. This peptide is involved in the co-creation of an antimicrobial barrier in the oral cavity of pig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ct polymorphisms, if any, in exon-1 and exon-2 regions of PBD-1 gene in Large White Yorkshire (LWY) and native Ankamali pigs of Kerala, India.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00 pigs and genomic DNA was isolated using phenol chloroform method. The quantity of DNA was assessed in a spectrophotometer and quality by gel electrophoresis. Exon-1 and exon-2 regions of PBD-1 gene were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the products were subjected to 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SSCP) analysis. Subsequent silver staining of the polyacrylamide gels revealed three unique SSCP banding patterns in each of the two exons. The presence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as confirmed by nucleotide sequencing of the PCR products. A novel SNP was found in the 5'-UTR region of exon-1 and a SNP was detected in the mature peptide coding region of exon-2. In exon-1, the pooled population frequencies of GG, GT, and TT genotypes were 0.67, 0.30, and 0.03, respectively. GG genotype was predominant in both the breeds whereas TT genotype was not detected in LWY breed. Similarly, in exon-2, the pooled population frequencies of AA, AG, and GG genotypes were 0.50, 0.27, and 0.23, respectively. AA genotype was predominant in LWY pigs whereas GG genotype was predominant in native pi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exists a considerable genetic variation at PBD-1 locus and further association studies may help in development of a PCR based genotyping test to select pigs with better immunity.

생물학적으로 의미 있는 특질에 기반한 베이지안 네트웍을 이용한 microRNA의 예측 (cmicroRNA prediction using Bayesian network with biologically relevant feature set)

  • 남진우;박종선;장병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A)
    • /
    • pp.53-58
    • /
    • 2006
  • MicroRNA (miRNA)는 약 22 nt의 작은 RNA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stem-loop 구조의 precursor 형태에서 최종적으로 만들어 진다. miRNA는 mRNA의 3‘UTR에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mRNA의 분해를 촉진한다. miRNA를 동정하기 위한 실험적인 방법은 조직 특이적인 발현, 적은 발현양 때문에 방법상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는 컴퓨터를 이용한 방법으로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다. 하지만 miRNA의 서열상의 낮은 보존성은 homology를 기반으로 한 예측을 어렵게 한다. 또한 기계학습 방법인 support vector machine (SVM) 이나 naive bayes가 적용되었지만, 생물학적인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generative model을 제시해 주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miRNA 예측을 보일 뿐만 아니라 학습된 모델로부터 생물학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는 Bayesian network을 적용한다. 이를 위해서는 생물학적으로 의미 있는 특질들의 선택이 중요하다. 여기서는 position weighted matrix (PWM)과 Markov chain probability (MCP), Loop 크기, Bulge 수, spectrum, free energy profile 등을 특질로서 선택한 후 Information gain의 특질 선택법을 통해 예측에 기여도가 높은 특질 25개 와 27개를 최종적으로 선택하였다. 이로부터 Bayesian network을 학습한 후 miRNA의 예측 성능을 10 fold cross-validation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pre-/mature miRNA 각 각에 대한 예측 accuracy가 99.99% 100.00%를 보여, SVM이나 naive bayes 방법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학습된 Bayesian network으로부터 이전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pre-miRNA 상의 의존관계를 분석할 수 있었다.

  • PDF

Candida albicans의 마이크로RNA 동정과 분석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microRNAs in Candida albicans)

  • 조진현;이헌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494-1499
    • /
    • 2017
  • Candida albicans에 의한 구강 감염(캔디다증)은 구강 점막에 빈번하게 발생하며 잘 알려진 질병이다. 구강 캔디다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정도의 곰팡이 감염증은 아니나, 특정상황에서 개인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 RNA는 세포 내에서 다른 타겟 유전자를 저해하는 작은 크기의 RNA 분자이며 단백질을 코딩하지는 않고 번역과정을 억제하는 조절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C. albicans의 마이크로RNA를 처음으로 동정하고 그러한 마이크로RNA가 지닌 기능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C. albicans의 small RNA를 차세대 염기분석법을 통하여 분석하고 그러한 RNA들의 2차 구조를 생물정보학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분석한 small RNA들은 마이크로 RNA라고 불리울 수 있는 특징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별히 높게 발현되고 있는 두개의 마이크로 RNA 정도 크기의 RNA가 CBP1 유전자의 3' 말단 비번역구역(UTR)에서 반대방향으로 발현하는 것을 밝혀 내었다. 우리는 이러한 C. albicans의 RNA가 CBP1 유전자를 타겟으로 하여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RNA를 인위적으로 합성한 후 세포 내로 주입하고, 형광형미경으로 도입 사실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4시간과 8시간 후에 CBP1의 발현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C. albicans가 마이크로RNA에 의한 RNA 간섭(RNAi) 작용이 다른 진핵세포와는 다르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croRNA-200a/210의 인체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골분화 및 증식 조절 기전 (MicroRNA-200a/210 Controls Proliferation and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Human Adipose Tissue Stromal Cells)

  • 김영숙;박희정;신근구;이선영;배용찬;정진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67-782
    • /
    • 2017
  • MicroRNA는 인체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hADSC)의 분화와 증식을 조절할 수 있으나 hADSC에서 miR-200a와 miR210의 역할은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표적 mRNA의 3' UTR 에 결합할 수 있는 construct를 이용한 luciferase assay를 통하여 microRNA가 직접적으로 표적 mRNA에 결합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hADSC에서 miR-200a 과발현은 ZEB2의 발현 감소를 통해 hADSC의 분화와 증식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miR210의 과발현은 IGFBP3의 발현 감소를 통해 hADSC의 증식을 감소시키는 반면, 분화는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hADSC에서 miR210의 발현 억제는 표적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hADSC의 증식을 증가시키는 반면,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luciferase assay통하여 microRNA-200a/210의 과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표적 유전자인 ZEB2/ IGFBP3의 luciferase 활성화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hADSC에서 ZEB2/ IGFBP3 발현 억제는 microRNA-200a/210 과발현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microRNA-200a/210가 hADSC의 분화와 증식을 각각의 표적 유전자인 ZEB2/ IGFBP3을 통해 조절한다는 것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