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D GC-MS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8초

민들레로부터 항균성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Dandelion(Taraxacum platycarpum D.))

  • 한영실;김건희;민경찬;이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22-829
    • /
    • 1999
  • 최근 식품 산업의 발달로 장기간 식품 보존을 위하여 합성 보존제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를 대체할 천연 보존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야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구황 식물인 민들레를 메탄올과 여러 용매로 추출하여 식품부패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실험하고 그 항균 활성 물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민들레의 메탄올 추출물은 $2000\mu\textrm{g}/ml$ 농도에서 s. aureus를 완전히 억제하였고, L. monocytogenes는 98.43% 억제하였다. 그리고 민들레의 ethylacetate 분획물은 $1000\mu\textrm{g}/disc$ 농도에서 5종의 모든 시험균주에 대하여 clear zone을 형성하여 가장 높은 항균력을 보였다. 민들레의 ethyl­-acetate 분획물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TLC를 통해 분리하여 얻은 fraction을 5가지 시험균주에 대한 항균 실험 결과 3번째 3rd fraction의 항균력이 가장 높아 $250\mu\textrm{g}/disc$ 농도에서 E. coli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 대하여 14mm 이상의 clear zone을 나타내었다. 항균력을 보인 민들레의 ethylacetate 분획의 3번째 3rd fraction을 먼저 HPLC로 분리하여 얻은 peak II로부터 $^{l}H-NMR$ 및 GC-MS로 분석한 결과 benzoic acid로 동정 되었다.

  • PDF

국화 '백마'(Chrysanthemum morifolium) 줄기로부터 glycosyl glyceride 의 분리 및 동정 (Glycosyl glycerides from the stems of 'Baekma' cultivar of Chrysanthemum morifolium)

  • 오현지;김형근;박하승;백윤수;권오근;신학기;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2호
    • /
    • pp.131-134
    • /
    • 2018
  • 국화(C. morifolium)품종인 '백마' 줄기를 80% MeOH 수용액으로 3회 반복 추출한 뒤, 감압농축한 추출물을 EtOAc, n-butyl alcohol과 $H_2O$층으로 계통분획을 실시하였다. EtOAc분획에 대하여 $SiO_2$ 및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실시하여 2종의 지방산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하였다. Nuclear magnetic resonance, infrared spectrometry, FAB-MS, GC-MS data를 해석하여, 화합물 1과 2를 각각 (2S)-1-O-${\beta}-{\text\tiny{D}}$-galactopyranosyl2,3-dilinoleoylglycerol과 (2S)-1-O-${\beta}-{\text\tiny{D}}$-galactopyranosyl-2,3-dipalmitoylglycerol로 구조동정 하였다.

Isopropylphenyl 유도체들의 합성과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Synthesis and Phytopathogenic Activities of Isopropylphenyl Derivatives)

  • 장도연;최경길;이병호;김태준;정봉진;최원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178-186
    • /
    • 2007
  • 항균균활성이 있는 4-isopropylphenol(I)과 2-isopropylphenol (II)을 출발물질로 하여 ester, sulfonyl ester, phosphoyl ester와 ether계열 유도체 42종을 합성하였으며, 확인은 IR, $^{1}H-NMR$과 GC/MS를 이용하였다. 이들 유도체들에 대한 in vitro 항균활성 실험을 오이탄저병균(Colletotrichum orbiculare) 외 9종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2-isopropylphenyl piperonyloate(II-7a)가 오이탄저병균(Colletotrichum orbiculare)과 토마토잎마름병균(Phytophthora infestans)에 효과가 있었으며, 4-isopropylphenyl bromoacetate(I-3a)가 오이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4-isopropylphenyl-4-methoxybenzenesulfonate(I-6b)는 벼도열병균(Pycularia oryzae)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4-isopropylphenylbenzyl ether(I-4d)가 오이탄저병균(Colletotrichum orbiculare)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In vivo 실험에서는 2-isopropylphenyl piperonyloate(II-7a)가 오이탄저병(Colletotrichum orbiculare)과 토마토잎마름병(Phytophthora infestans), 4-isopropylphenyl 4-methoxybenzenesulfonate(I-6b)가 벼도열병(Pycularia oryzae)에 매우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대두발효식품 Cerebroside의 구성성분 분석 및 비교 (Analysis and Comparison of Cerebroside Components from Soybean Fermented Foods)

  • 이은열;김희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7-183
    • /
    • 2002
  • 대두 및 대두발효식품인 청국장과 된장의 cerebroside 구성성분인 지방산, 당 및 장쇄 sphingoid base들을 GC-MS로 분석하였다. Cerebroside 산-가수분해물의 지방산들을 O-TMS methylester 유도체로 만들어 분석하였으며 대두 및 청국장의 경우 2-hydroxyhexadecanoic acid(16 : 0h)가 각각 52.2% 및 62.0%로 가장 많았고 2-hydroxydocosanoic acid(22 : 0h) 및 2-hydroxytetracosanoic acid(24 : 0h)도 15.0~17.6%이었다. 그러나 된장의 경우 16 : 0h는 10.2%로 많은 감소를 보인 반면 24 : 0h는 40.9%, 22 : 0h는 23.4% 었으며 23 : 0h, 25 : 0h 및 26 : 0h도 대두 및 청국장에 비하여 많았다. Cerebroside 산-가수분해물의 장쇄 sphingoid base들은 N-acetyl-O-TMS 유도체로 분석하였으며 대두 및 청국장에서 4- trans, 8-trans-sphingadienine (d18 : 2 $\Delta$$^{4trans, 8trans}$) 는 59.9% 및 44.5%이었으며 4-hydroxy-8-trans, cis-sphingening (t18 : 1$\Delta$$^{8trans or cis}$)는 20.9% 및 35.9% 이었고 된장 cerebroside 역시 dl8 : 2$\Delta$$^{4trans, 8trans}$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phytosphingosine(t18 : 0) 및 sphingosine 이 성질체(d18 : 1)들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또한 된장의 경우 오랜 기간 미생물들에 의하여 발효되었지만 Aspergillus 속들의 cerebroside가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2-hydroxyoxtadec-3-enoic acid(18 : 1h) 및 9-methyl-4,8-sphingadienine 등은 발견되지 않았다. 대두, 청국장 및 된장 cerebroside의 당유도체 mass spectrum 분석 결과 99%이상이 glucose 1번 탄소가 ceramide backbone에 결합된 monoglucocerebroside 인 것으로 나타났다.

Dunaliella tertiolecta를 이용한 미세조류 유래 바이오디젤의 FAME 성분 특성 연구 (Study of FAME components and total contents on Micro-algal Biodiesel derived from Dunaliella tertiolecta)

  • 이돈민;민경일;임의순;하종한;이철균;이봉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20-328
    • /
    • 2014
  • 국내 자동차용 경유에 혼합하여 유통 중인 바이오디젤은 물리적인 관점에서 기존 석유계 경유와 동점도, 밀도 등의 물성값이 유사하고 세탄가가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기존의 석유유통 인프라 개조 및 변경없이 사용가능하다는 점과 함산소 연료로서 디젤기관에서의 연소성이 좋고 유해 배출가스 저감효과가 있으며 생분해성도 높아 환경오염이 적어 자동차용 경유 대체연료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 식용계 작물을 원료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단점으로 지적되는 바이오디젤 대신 단위면적당 $CO_2$ 흡수율이 높고 빠른 성장 속도가 장점으로 거론되는 미세조류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 중 Dunaliella tertiolecta 종을 이용하여 생산한 바이오디젤의 전환율을 연구하기위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GC-FID분석방법의 문제점에 대해 조사하고 TOF-MS 장비를 통한 개별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의 성분을 검토하였다.

Acaricidal Abiliti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Forsythia suspense Fruit Oil against Storage and Pyroglyphid Mites

  • Lee, Hwa-won;Lee, Hoi-S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2호
    • /
    • pp.105-108
    • /
    • 2015
  • This research is aimed at evaluating the potential abilities of the natural acaricide of F. suspense oil against Tyrophagus putrescentiae and Dermatophagoides spp. Based on the $LD_{50}$ values, in contact bioassay, F. suspense oil (8.19, 3.28, and $4.35{\mu}g/cm^2$) showed acaricidal effects against T. putrescentiae, D. farinae, and D. pteronyssinus, respectively. Fumigant toxicities of F. suspense oil showed similar patterns as those observed with contact toxicities. GC/MS analysis showed the major components of F. suspense oil to be ${\beta}$-pinene (45.88%), myrtenol (13.86%), (+)-${\alpha}$-pinene (13.09%), (-)-trans-pinocarveol (7.34%), sabinene (6.64%) and pinocarvone (4.13%).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 suspense oil has potential as a natural acaricide.

Biotransformation of Tranylcypromine in Rat Liver Microsomes

  • Kang, Gun-Il;Hong, Suk-Ki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1권4호
    • /
    • pp.292-300
    • /
    • 1988
  • Metabolism of tranylcypromine (TCP) in rat liver microsomes was studied in vitro using fortified microsomal preparations. As well as unlabeled TCP, two deuterium labeled analogs, TCP-phenyl-$d_{5}$ and TCP-cyclopropyl-$d_{2}$ were used and GC/MS employed which was then metabolized to cinnamaldehyde and hydrocinnamyl alcohol. Schiff bases of TCP with hydrocinnamaldehyde and acetaldehyde were detected and possibility of the metabolic formation of N-ethylidene TCP was proposed. In addition, acetophenone (benzoylacetic acid), benzaldehyde, benzoic acid, and benzyl alcohol were detected as the metabolites. Chemical decomposition studies suggested that parts of the oxidized products might be derived by air oxidation processes. A potential metabolite assumed to be N-ethylidene-1, 2-dihydroxy-3-phenylpropanamine oxide was also detected.

  • PDF

Benzothiadiazole-benzodithiophene을 기반으로 한 D/A구조의 공액 고분자 합성 및 광전변환 효율 특성 개선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D/A Structure Conjugated Polymer Based on Benzothiadiazole-Benzodithiophene)

  • 성기호;윤대희;우제완
    • 공업화학
    • /
    • 제24권5호
    • /
    • pp.537-54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유기박막태양전지로 적용 가능한 push-pull 구조의 고분자를 합성하여 그 특성을 확인하였다. 전자주개 물질로는 benzodithiophene 유도체를 도입하였고, 전자받개물질은 benzothiadiazole 유도체를 사용하여 Stille coupling 반응으로 poly{4,8-didodecyloxybenzo[1,2-b;3,4-b]dithiophene-alt-5,6-bis(octyloxy)-4,7-di(thiophen-2-yl)benzo[c][1,2,5]-thiadiazole} (PDBDT-TBTD)를 합성하였다. 각 합성 단계별 단량체의 확인은 $^1H-NMR$과 GC-MS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합성된 conjugated polymer는 GPC, TGA, UV-Vis, cyclic voltammetry를 이용하여 물리적, 광학적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PDBDT-TBTD의 수평균 분자량은 6200이였으며, 초기 분해온도(5% weight loss temperature, $T_d$)값은 $323^{\circ}C$로 측정 되었다. 박막형태에서의 최대 흡수파장은 599 nm이며, 광학적 밴드갭(${E_g}^{opt}$)은 1.70 eV으로 확인되었다. 유기박막태양전지 소자는 ITO/PEDOT : PSS/PDBDT-TBTD : $PC_{71}BM/BaF_2/Ba/Al$ 구조로 제작하였으며, PDBDT-TBTD와 $PC_{71}BM$를 1 : 2 (w/w)의 비율로 블렌딩하여 광활성층으로 사용하였다. 제작된 소자는 solar simulator으로 광전변환효율을 확인하였고, 최대 광전변환효율은 2.1%이었다.

한, 중, 일 고품질녹차의 향기성분 비교 (A Comparison of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in High Grad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Green Tea)

  • 최성희;정대수;제순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33-40
    • /
    • 2005
  • This study compared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in high grad Korea, Chinese and Japanese green tea. The aroma components of green tea were analyzed and compared. Aroma compared. Aroma compounds were extracted by a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method using Likens and Nickerson's extraction apparatus. The concentrated aroma extract was analyzed and identified by GC and GC-MS. All the green tea samples contained relatively large amounts of terpene alcohols such as linalool, geraniol and nerolidol. The Korean green tea (A) manufactured in Cheju island contained remarkably large amounts of geraniol (9.12 %) and linalool (5.18 %). The Korean green tea (B) manufactured in Hawgae contained remarkably large amounts of geraniol (5.85 %) and linalool (5.33 %). The Korean green tea (C) manufactured in Bosung contained remarkably large amounts of linalool (7.79 %) and Z-jasmone (3.08 %). The Chinese green tea (D) manufactured in Longjing contained remarkably large amounts of geraniol (3.43 %) and linalool (2.86 %). The Japanese green tea (E) manufactured in Shizuoka contained remarkably large amoung of linalool (3.95 %) and nerolidol (2.76 %).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Immuno-stimulating Properties of Biopolymers Extracted from Acanthopanax sessiliflorus

  • Jeong, Sang-Chul;Jeong, Young-Tae;Yang, Byung-Keun;Song, Chi-Hyun
    • BMB Reports
    • /
    • 제39권1호
    • /
    • pp.84-90
    • /
    • 2006
  • During our search for macrophage stimulating compounds from medicinal plants, we isolated biopolymers from Acanthopanax sessiliflorus. Isolated fraction AS-5 showed maximum potential, and stimulated lysosonal enzymatic activity by 230% at $300\;{\mu}g/ml$. The nitric oxide (NO) producing ability of AS-5 $100\;{\mu}g/ml$ was $58\;{\mu}M$ when treated with interferon-$\gamma$ and lipopolysaccharide $20\;{\mu}g/ml$. The lymphocyte proliferating effects of isolated biopolymer fractions were also investigated. Highest lymphoproliferative activity (a 2.8-fold enhancement compared to saline treated group was exhibited by AS-3 at $200\;{\mu}g/ml$ followed by AS-5 and AS-6. The AS-3 fraction stimulated only T-lymphocytes and had little or no effect on B-lymphocyte proliferation. Partially methylated alditol acetates were prepared to elucidate the glycosyl linkage-compositions of the AS-3 and AS-5 biopolymers, and were analyzed by GC-MS. The AS-3 and AS-5 biopolymer fractions were found to contain 2,3,4-tri-O-methyl-D-glucitol, 2,3,4-tri-O-methyl-D-galacitol 3,4,6-tri-O-methyl-galacitol, 2-O-methyl-arabinitol and 2,4,6-tri-O-methyl-D-glucitol, 2,3,6-tri-O-methyl-D-galacitol linkages,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