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D Barcode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47초

RTLS와 2D 바코드를 응용한 모바일 관광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현 방안 (Suggestion for Mobile Tourism Information Supply System' Using RTLS and 2D Barcode)

  • 앙성수;허향진;박시사;조태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81-88
    • /
    • 2007
  • 최근 Mobile을 이용한 컨텐츠 및 정보제공은 일반 대중들에게 보편화 되고 있다. 이미 모바일 환경은 단순 '휴대용 전화 시장'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정보를 탐색하고 선택하는 도구로서 컨텐츠를 활용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특히 소비자의 욕구의 다양화는 Hardware와 Software, 미디어, 컨텐츠의 개발과 컨버젼스를 가속화 시키고 있다. 관광정보는 관광상품에 대한 정보로서 관광객이 관광의사결정을 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말한다. 이러한 정보가 밀착형 미디어인 모바일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의 모바일 기술의 페러다임은 하드웨어적인 컨버젼스와 위치기반 서비스측면의 인텔리젼트 기준점, RTLS, 또한 이를 응용한 디지털 콘텐츠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관광정보를 이해하고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현을 상기한 기술 중 RTLS와 2D바코드를 활용한 Pinpoint 관광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안하며, 이를 경영학적 관점에서의 비용 효용성 측면과 효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Mobile Robot Exploration in Indoor Environment Using Topological Structure with Invisible Barcodes

  • Huh, Jin-Wook;Chung, Woong-Sik;Nam, Sang-Yep;Chung, Wan-Kyun
    • ETRI Journal
    • /
    • 제29권2호
    • /
    • pp.189-200
    • /
    • 2007
  • This paper addresses the localization and navigation problem in the movement of service robots by using invisible two dimensional barcodes on the floor. Compared with other methods using natural or artificial landmarks, the proposed localization method has great advantages in cost and appearance since the location of the robot is perfectly known using the barcode information after mapping is finished. We also propose a navigation algorithm which uses a topological structure. For the topological information, we define nodes and edges which are suitable for indoor navigation, especially for large area having multiple rooms, many walls, and many static obstacles. The proposed algorithm also has the advantage that errors which occur in each node are mutually independent and can be compensated exactly after some navigation using barcodes.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algorithm in the barcode environment, showing excellent performance results. After mapping, it is also possible to solve the kidnapped robot problem and to generate paths using topological information.

  • PDF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접근 임베디드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Access Embedded System for the Blind People)

  • 김시우;이재균;이채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2C호
    • /
    • pp.167-172
    • /
    • 2008
  • 2차원 바코드는 많은 정보와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산업분야에서 유용한 도구로써 인식되고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의 저장 용량은 아직도 제한적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바코드 중에서 최대의 용량을 저장 할 수 있는 인 Analog-Digital (AD)코드가 최근 개발되었다. 바코드의 데이터 저장 용량의 한계점을 극복하게 됨에 따라 바코드의 응용 범위를 더욱 확대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AD코드와 Text To Speech (TTS)엔진을 이용하여 바코드에 저장된 정보를 음성으로 들려주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은 시각장애인 뿐만 아니라 고령자들이 책 또는 신문의 정보를 손쉽게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2차원 바코드와 UCC/EAN-128을 이용한 생물자원 자동인식시스템 (An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of Biological Resources based on 2D Barcode and UCC/EAN-128)

  • 주민석;류근호;김준우;김흥태;한복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6호
    • /
    • pp.861-872
    • /
    • 2008
  • 컴퓨팅 환경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물리적 객체와 디지털 정보를 연동하는 자동인식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러한 자동인식시스템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건의료와 관련한 자동인식 기술의 접목은 아직까지 다른 산업기술 전반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의료장비, 혈액, 인체조직 등 보건의료 용품의 자동인식에 관한 여러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논문은 인간 유전체 연구의 필수 연구재료인 생물자원을 대상으로 자동인식 기술의 적용 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자동인식기술 도입을 위해 사용 환경상의 고려사항을 정의하고, 조사과정 또는 실험을 통하여 적합한 형태의 태그 인터페이스로서 바코드를 선택하였다. 바코드 심볼로지는 2차원 바코드 심볼로지인 Data Matrix를 사용하고, 데이터 스키마는 국제적 범용성 추구를 위하여 UCC/EAN-128 기반으로 설계하였다. 제안된 기술들이 실제 환경에 적용되는지를 보이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실험 및 평가를 다음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생물자원이 실제 보존되는 영하 $196^{\circ}C$, 영하 $75^{\circ}C$의 초저온 보존환경에서 바코드 인식실험을 한 결과 1.6초 내외의 평균 인식시간을 보이며, 데이터 스키마는 생물자원 활용 분야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제안한 방법으로 생물자원의 정보처리 과정에서 정확성과 데이터 입력의 신속성이 제공될 수 있다.

국내 도서관에서 바코드와 RFID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증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powerment of Mobile Services using Barcodes and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in Korean Libraries)

  • 구중억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309-331
    • /
    • 2010
  • 국내 도서관에서는 1차원 및 2차원 바코드, RFID 기술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각 기술의 단점들을 상호보완하여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및 2차원 바코드의 특징 및 종류를 살펴보았다. 특히 스마트폰의 보급과 무선인터넷이 확대되는 모바일 환경에서 바코드와 RFID는 오프라인의 아날로그 매체와 온라인의 디지털 매체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정보미디어로 매우 유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국내 도서관에서 바코드를 이용한 도서관 업무 자동화 및 모바일학생증 서비스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국외 도서관에서 바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도서관에서 바코드와 RFID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증진 방안을 제안하였다.

2D 바코드를 이용한 웹기반 실시간 워터마킹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b-based Real-time Watermarking using 2D Barcode)

  • 이한덕;이성원;박능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18-519
    • /
    • 2010
  • 워터마킹 기술은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소유권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웹상에서 실시간 워터마킹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를 열람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보를 열람하고 있는 이미지에 기록하여 무단 복제, 불법 배포 등의 일이 발생하였을 경우 출처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오디오 워터마킹 알고리즘 (A digital Audio Watermarking Algorithm using 2D Barcode)

  • 배경율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2호
    • /
    • pp.97-10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오디오 워터마킹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삽입되는 워터마크 정보로는 2차원 바코드인 QR 코드를 변형하여 이용하였다. 2차원 바코드가 1차원 바코드에 비하여 많은 정보를 표현할 수 있고, 코드자체가 에러 보정능력을 내재하고 있는 장점을 이용하여 워터마킹 알고리즘의 견고성을 높였다. 또한 부분적인 워터마크 정보의 손실에 대응하기 위하여 직교코드를 이용하여 삽입대역을 확산했으며, 삽입강도 0.7에서 50dB 이상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었다.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 2차원 바코드 검출 (2D Barcode Detection using Deep learning)

  • 박명숙;김상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01-1002
    • /
    • 2017
  • 2차원 바코드는 1차원 바코드의 데이터 용량의 한계를 극복하여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복잡한 환경에서 바코드의 인식을 위해서는 바코드 영역 검출이 중요한 단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QR코드 검출 시스템을 구현한다. 실험은 실생활에서 카메라로 촬영한 바코드 영상을 이용한다.

2차원 바코드 기반 네트워크 광고 콘텐츠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Development on 2D Barcode Based Network Advertising Contents)

  • 신환섭;이재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376-383
    • /
    • 2019
  • 최근 중국의 경제가 급속도로 발전하며 2차원 바코드 기반의 간편 결제 서비스가 활성화되었으며 모바일 결제 기반이 부족한 개발도상국들이 도입할 현금 없는 사회 모델로 주목 받고 있다. 이와 함께 기존의 고객관계관리 방법은 모바일기반 고객관계관리라는 모바일 디바이스 중심의 고객 콘텐츠 활용시장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온라인 광고와 융합하여 실용적 성과를 높이려는 모델과 그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2차원 바코드를 활용하는 온라인 광고와 고객관계관리의 융합 모형에 대한 개념과 현황을 살펴보고 모바일 디바이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하여 판매시점에서 지역광고주와 고객이 광고정보와 거래 부가정보를 효과적으로 전파하고 공유하는 방법과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또한 2차원 바코드를 활용하는 광고 공유 콘텐츠 모형에 대한 응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물체 자세 인식 및 동작 계획 (Object Pose Estimation and Motion Planning for Service Automation System)

  • 권영우;이동영;강호선;최지욱;이인호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76-187
    • /
    • 2024
  • Recently, automated solutions using collaborative robots have been emerging in various industries. Their primary functions include Pick & Place, Peg in the Hole, fastening and assembly, welding, and more, which are being utilized and researched in various fields. The application of these robots var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ippers attached to the end of the collaborative robots. To grasp a variety of objects, a gripper with a high degree of freedom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rvice automation system using a multi-degree-of-freedom gripper, collaborative robots, and vision sensors. Assuming various products are placed at a checkout counter, we use three cameras to recognize the objects, estimate their pose, and create grasping points for grasping. The grasping points are grasped by the multi-degree-of-freedom gripper, and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recognize barcodes, a key task in service automation. To recognize objects, we used a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based algorithm and point cloud to estimate the object's 6D pose. Using the recognized object's 6d pose information, we create grasping points for the multi-degree-of-freedom gripper and perform re-grasping in a direction that facilitates barcode scanning.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four selected objects, progressing through identification, 6D pose estimation, and grasping, recording the success and failure of barcode recognition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