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3 kDa protein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53초

포충 및 유구낭미충 낭액에 있어서 공통항원 및 특리이원 분획 (Cross-reacting and specific antigenic components in cystic fluid from metacestodes of Echinococcus grannlosus and Taenia solium)

  • Yoon Kong;Shin-Yong Kang;Seung-Yull Cho;Duk-Young Mi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2호
    • /
    • pp.131-140
    • /
    • 1989
  • 사람의 포충증과 유구낭미충증을 혈청학적으로 진단하는 데에는 교차반응이 상호 빈번히 일어나 임상상이나 기타 병력 등을 기초로 하여야 감별진단이 가능하다. 이 연구는 혈청학적 진단상 두가지 질환에서 교차반응을 일으키는 항원분획을 관찰하고 또 포충증과 유구낭미충증에 특이하게 반응하는 분획이 각 낭액중에 있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리비아에의 근무하고 귀국한 다음 발병한 포충증 환자 5예의 혈청과 유구낭미충증 환자 67예, 기타 간흡충증, 폐흡충증, 스파르가눔증, 무구조충감염자 89예 혈청을 포충과 유구낭미충 낭액을 항원으로 각각 효소면역측정법(ELISA)으로 특이항체가(IgG)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포충 낭액에 대하여 포충증 혈청은 전례에서, 유구낭미충증 혈청은 49.3%에서, 기타 기생충증 혈청은 5.6%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유구낭미충 낭액에 대하여 포충증 혈청은 전례가, 유구낭미충증 혈청은 55.1%가, 기타 기생충증 혈청은 12.3%가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포충 낭액과 유구낭미충 낭액을 10∼15% linear gradient gel에서 SDS-PAGE를 실시한 바 포충 낭액에는 모두 19개 분획이, 유구낭미충 낭액에는 23개 분획이 나타났고 그 중 64, 35, 22, 7 kDa 분획이 두가지 낭액에 모두 나타나고 있었다. SDS-PAGE로 분리한 각낭액 분획을 항원으로 포충증과 유구낭미충증 환자 혈청을 반응시키고 반응분획을 발색시킨 바(면역얼룩법, immunoblot), 포충증 환자혈청은 포충 낭액의 145, 140, 135, 125, 117, 110, 100, 86, 64, 52, 45, 39, 35, 29, 24, 22, 17, 12 및 7 kDa분획에 반응하였고 유구낭미충 낭액에 대해서는 135, 110, 100, 86, 64, 45, 39, 35 및 24 kDa분획에 반응하였다. 또 유구낭미충증 환자혈청은 유구낭미충 낭액의 135, 130, 110, 105, 86, 72, 64, 57, 52, 45, 39, 55, 24, 22, 15, 10 및 7 kDa분획에 반응하였고 포충 낭액에는 135, 100, 86, 64, 52, 39, 35, 29 및 24 kDa 분획에 반응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포충 및 유구낭미충 낭액에는 SDS-PAGE로 분리되는 분획중 135, 100, 86, 64, 39, 35 및 24 kDa 분획이 교차반응에 관여하는 공통항원 분획으로 판단되며 포충 낭액의 7 kDa 및 유구낭미충 낭액의 낭액의 15,10 및 7 kDa 분획은 특이항원 분획으로 생각된다.

  • PDF

사람세포거대바이러스 (Human Cytomegalovirus)의 극초기항원-1 (Immediate Early-1, IE-1)에 반응하는 c-jun Promoter의 유전자 지도 분석 (Mapping of Human Cytomegalovirus IE1 Responsive Elements in the c-jun Promoter)

  • 박정규;한태희;김대중;김진희;황응수;최성배;차창룡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67-274
    • /
    • 1998
  • Human cytomegalovirus (HCMV) has the ability to activate the expression of many viral and cellular genes. Among various viral proteins, the immediate early proteins (IE1-72kDa, IE2-86kDa) have been known to be potent transactivators. The product of c-jun proto-oncogene is important in cell activation and differentiation. Here, we tried to find out if the IE could activate the c-jun promoter and also tried to identify the responsible sequence elements in the c-jun activation by IE1-72kDa. We found HCMV IE expression transactivated the c-jun promoter in human embryonal lung fibroblasts (HEL). The activation fold by IE1-72kDa, IE2-86kDa and IE2-55kDa was 23, 35, and 5, respectively. When the expression of each IE was combined, it showed synergism. Expression of (IE1-72kDa + IE2-86kDa) and (IE1-72kDa + IE2-86kDa + IE2-55kDa) resulted in 131 and 162 fold increase, respectively. The c-jun promoter region between -117 and -59 contains binding sites for the transcription factors Spl, CAAT, AP-l like (ATF/CREB), and MEF2. Transient expression assays were performed using various reporter plasmids containing the c-jun promoter-regulatory region linked to the luciferase gene and a plasmid expressing HCMV IE1 gene. Deletional and point mutational analysis showed that the sequence between -225 to -160 and the CTF binding site were involved in the up-regulation of c-jun promoter.

  • PDF

팽나무버섯 수확후의 톱밥배지로부터 단백다당류의 분리 및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from Mycelia of Flammulina velutipes Grown on Sawdust Medium)

  • 하효철;박신;박경숙;이춘우;정인창;김선희;권용일;이재성
    • KSBB Journal
    • /
    • 제10권5호
    • /
    • pp.589-597
    • /
    • 1995
  • 팽나무버섯을 수확한 후의 톱t웹사체에서 항암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단백다당류를 열수추출, 분 , 정제하였으며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F. velutipes 룹밥균사체로부터 추출한 조단백다당류(Fr.CA)의 수율은 ethanol의 농도가 95%일때 1.464g으로서 원재료인 톱밥균사체를 기준으로 0.366 % 였다 Fr. CA의 당 및 단백질조성은 총당 19.8%, 총단백질 2 23.8% 이었다. Fr.CA를 박막여과하여 분획한 결과 분자량 30만 이상의 Fr.A분획이 44.6%를 차지하여 고분자 단백다당류가 주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Fr.A를 DEAE-sephadex column chromatogra phy로 분리한 결과 세개의 분획이 Fr.A를 기준으로 5 5.8% (Fr.A-l), 8.5% (Fr.A-2), 13.2% (Fr.A-3)의 수율로 얻어졌다. 이들 분획을 sepharose 28 gel fil tra tion으로 정제한 결과 순수한 단일 단백다당류의 peak를 얻을 수 있었는데 이들 중 Fr.A-l-a의 수율 은 Fr.A -1을 기준으로 20.9%이었으며 분자량은 8 800kDa정도였다. 단백다당류의 단당류 조성은 모든 분획에서 glucose, galactose, mannose, xylose및 fucose의 5종류가 검출되었으며 특히 neutral poly saccharide분획인 Fr.A-1-${\alpha}$에서는 glucose와 ga­l lactose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해산어류에서 분리된 Vibrio harveyi의 혈청학적 특성과 항원성 (Se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genicities of Vibrio harveyi isolated from marine cultured fish)

  • 오윤경;김명석;박명애;김진우;조지영;정현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3-33
    • /
    • 2009
  • V. harveyi는 양식산업에서 중요한 해산 양식 어류와 새우류에 많은 폐사를 일으키는 병원체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산 양식어류에서 분리된 11개 strain의 Vibrio harveyi의 생화학적, 생리학적, 혈청학적, 면역학적 특성을 조사 하였다. 생화학적 특성과 TCBS agar에서 집락의 색깔이 달라 표현형의 차이가 있었고 V. harveyi 분리균주들은 편모항원에 의해 4개 이상의 혈청형으로 구분되었다. 어류에서 분리된 V. harveyi는 western blotting으로 26-34 kDa 사이에 동일한 크기의 major protein을 갖는 group A로 구분 되었고 넙치에 대하여 표준균주인 V. harveyi KCCM40866 보다 강한 병원성을 갖고 있었다. V. harveyi C05011로 면역 유도된 넙치는 다른 group A 균주를 인위감염 시켰을 때 높은 항병력을 나타내었다.

Decolorization of Acid Green 25 by Surface Display of CotA laccase on Bacillus subtilis Spores

  • Park, Jong-Hwa;Kim, Wooil;Lee, Yong-Suk;Kim, June-H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9호
    • /
    • pp.1383-1390
    • /
    • 2019
  • In this study, we expressed cotA laccase from Bacillus subtilis on the surface of B. subtilis spores for efficient decolorization of synthetic dyes. The cotE, cotG, and cotY genes were used as anchoring motifs for efficient spore surface display of cotA laccase. Moreover, a $His_6$ tag was inserted at the C-terminal end of cotA for the immunological detection of the expressed fusion protein. Appropriate expression of the CotE-CotA (74 kDa), CotG-CotA (76 kDa), and CotY-CotA (73 kDa) fusion proteins was confirmed by western blot. We verified the surface expression of each fusion protein on B. subtilis spore by flow cytometry. The decoloration rates of Acid Green 25 (anthraquinone dye) for the recombinant DB104 (pSDJH-EA), DB104 (pSDJH-GA), DB104 (pSDJH-YA), and the control DB104 spores were 48.75%, 16.12%, 21.10%, and 9.96%, respectively. DB104 (pSDJH-EA) showed the highest decolorization of Acid Green 25 and was subsequently tested on other synthetic dyes with different structures. The decolorization rates of the DB104 (pSDJH-EA) spore for Acid Red 18 (azo dye) and indigo carmine (indigo dye) were 18.58% and 43.20%, respectively.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decolorization of Acid Green 25 by the DB104 (pSDJH-EA) spore was found to be $50^{\circ}C$. Upon treatment with known laccase inhibitors, including EDTA, SDS, and $NaN_3$, the decolorization rate of Acid Green 25 by the DB104 (pSDJH-EA) spore decreased by 23%, 80%, and 36%, respectively.

Partial Purification of Lectin from Mycoparasitic Species of Trichoderma

  • Singh, Tanuja;Saikia, Ratul;Arora, Dilip 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301-309
    • /
    • 2005
  • Trichoderma species/isolates exhibited varied degree of agglutination on sclerotial (Sc) and hyphal (Hy) surface of Macrophomina phaseolina. The agglutination efficiencies on Sc and Hy ranged from $11\;to\;57\%$. Isolates of T. harzianum (Th) and T. viride (Tv) showed greater agglutination on Sc ($23-57\%$) and Hy ($16-47\%$). Different enzymes (trypsin, pepsin, proteinase k, a-chymotrypsin, lyticase and glucosidase) and inhibitors (tunicamycin, cycloheximide, brefeldin A, sodium azide, dithiothreitol and SDS) reduced the agglutination potential of conidia of Th-23/98 and Tv-25/98; however, the extent of response varied greatly in different treatments. Different fractions of Th-23/98 and Tv-25/98 exhibited haemagglutinating reaction with human blood group A, B, AB and O. Haemagglutinating activity was inhibited by different sugars and glycoproteins tested. Crude haemagglutinating protein from outer cell wall protein fraction of Th-23/98 and Tv-25/98 were eluted on Sephadex G-100 column. Initially Th-23/98 and Tv-25/98 exhibited two peaks showing no agglutination activity; however, lectin activity was detected in the third peak. Similar to crude lectin, the purified lectin also exhibited haemagglutinating activity with different erythrocyte source. SDS-PAGE analysis of partially purified lectin revealed single band with an estimated molecular mass of 55 and 52 kDa in Th-23/98 and Tv-25/98, respectively. Trypsin, chymotrypsin and b-1,3-glucanase totally inhibited lectin activity. Similarly, various pH also affected the haemagglutinating activity of Th-23/98 and Tv-25/98. From the present observat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cognition/attachment of mycoparasite (T. harzianum and T. viride) to the host surface (M. phaseolina) may be most likely due to lectin-carbohydrate interaction.

산에 대한 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의 스트레스 반응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Acid Stress Response in 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

  • 강경희;김지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1-24
    • /
    • 2007
  • 본 실험에서는 S. mutans KCTC 3065을 이용하여 lactic acid를 첨가하였을 때 일어나는 스트레스 반응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배지에 lactic acid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농도에 따른 생육저해현상을 조사한 결과, 배 지에 첨가 된 lactic acid의 함량에 비례하여 S. mutans의 성장이 완만해지며, 지수증식기일 때 lactic acid를 첨가 하였을 경우 유도기일 때 lactic acid를 첨가한 경우보다 균의 성장이 활발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 대수증식기의 균주를 취하여 0, 60, 70, 80 mM 농도의 lactic acid를 처리한 후 colony의 생성으로 균주의 생존유무를 관찰한 결과, 70 mM의 농도로 lactic acid를 처 리하고 90분후부터는 colony의 밀도가 급격히 낮아지며생존에 영향을 받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lactic acid의 농도가 80 mM이상 에서는 생존이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3. Acid stress 동안에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C_{18:1}$은 30.92%에서 33.89%로 증가하였으며 $C_{14:0}$은 5.02%에서 2.62%로 $C_{16:0}$은 39.16%에서 33.69%로 감소하였다. 4. Acid stress 동안에 단백질 패턴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약 70 kDa, 60 kDa, 45 kDa, 40 kDa 그리고 23 kDa의 단 백질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간흡충 : 충체 및 대사성 항원의 특성분석 (II) 간흡충 감염 가토에서 간흡충, 분비배설액 및 담즙 항원의 분획 양상 (Clonorchis sinensis: Analysis Characterization of Somatic and Metabolic Antigen (II) Profile of the Worm, Excretory-secretory and Billis Antigen in C. sinensis Infected Rabbit)

  • Yong-Suk Ryang;Yoon-Kyung Cho;Ji-Sook L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9-94
    • /
    • 1997
  • 가토에게 간흡충을 감염시키고 3개월 후 거살한 다음 간흡충의 충체, 간흡충의 분비배설액 그리고 간토의 담즙을 조항원으로 제조한 후 이에 대한 항원단백질의 구성물질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cysteine계 면역억제제인 E-64와 serine계 면역억제제인 PMSF를 첨가하였을 때 단백질 구성물질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실험적으로 가토에서 얻은 간흡충 성충의 조항원은 200-9 kDa의 범위에서 26개의 분획 을 관찰하였으며, 간흡충 성충 조항원에 cysteine계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인 E-64를 첨거하였을 때 잘 보존하여 200-9 kDa의 범위에서 29개의 분획을 관찰하였다. 간흡충 성충의 분비배설액 조항원은 200-9 kDa범위에서 27개의 분획이 관찰되었으며, cysteine계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인 E-64를 첨거하였을 때 잘 보존하여 200-9 kDa의 범위에서 29개의 분획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간흡충을 감염시킨 가토의 담즙 조항원은 200-9 kDa의 범위에서 19개의 분획이 관찰되었으며, serine 계 단백질분해효소인 PMSF를 첨거하였을 때 200-10 kDa의 범위에서 22개의 분획이 관찰되었으나, cysteine계 단백질분해효소인 E-64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대조군인 건강 가토의 담즙 조항원은 200-10 kDa의 범위에서 22개의 분획이 관찰되었으며, serine계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인 PMSF를 첨가하였을 때 잘 보존하여 200-12 kDa의 범위에서 23개의 분획이 관찰되었다. 앞으로 각 항원에 대한 면역학적 특징 및 단세포군 항체에 대한 구체적인 규명이 계속되어야겠다.

  • PDF

Over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Lycopene Cyclase (CrtY) from Marine Bacterium Paracoccus haeundaensis

  • Jeong, Tae Hyug;Ji, Keunho;Kim, Young T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2호
    • /
    • pp.144-148
    • /
    • 2013
  • Lycopene cyclase converts lycopene to ${\beta}$-carotene by catalyzing the formation of two beta-rings at each end of the linear carotene structure. This reaction takes place as a two-step reaction in which both sides of of the lycopene molecule are cyclized into ${\beta}$-carotene rings via the monocyclic ${\gamma}$-carotene as an intermediate. The crtY gene coding for lycopene cyclase from Paracoccus haeundaensis consists of 1,158 base pairs encoding 386 amino acids residues. An expression plasmid containing the crtY gene (pET44a-CrtY) was constructed and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nd produced a recombinant protein of approximately 43 kDa, corresponding to the molecular mass of lycopene cyclase. The expressed protein was purified to homogeneity by His-tag affinity chromatography and showed enzymatic activity corresponding to lycopene cyclase. We also determined the lycopene substrate specificity and NADPH cofactor requirements of the purified protein. The $K_m$ values for lycopene and NADPH were 3.5 ${\mu}M$ and 2 mM,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a wider base of knowledge on the enzyme characterization of lycopene cyclase at the molecular leve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lkaliphilic Alginate Lyase AlgMytC from Saccharophagus sp. Myt-1

  • Sakatoku, Akihiro;Tanaka, Daisuke;Nakamura, Shog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6호
    • /
    • pp.872-877
    • /
    • 2013
  • In a previous study, we isolated and reported a second species of the Saccharophagus genus, Saccharophagus sp. strain Myt-1. In the present study, an alginate lyase gene (algMytC) from the genomic DNA of Myt-1 was cloned and characterized. The DNA sequence fragment obtained contained an open reading frame of 1,032 bp that encoded a protein of 343 amino acids with an estimated molecular mass of 37.6 kDa and a pI of 6.60. The deduced protein, AlgMytC, had the conserved amino acid sequences (RTELREM, QIH, YFKAGVYNQ) of the polysaccharide lyase family 7. A BLAST homology search indicated that AlgMytC shared an amino acid sequence identity of 95.9% with alg7A of S. degradans 2-40. The cloned and purified AlgMytC protein showed optimal activity at $40^{\circ}C$, and retained more than 90% of its total activity even after treatment at $25^{\circ}C$ for 24 h. AlgMytC was very alkaliphilic with an optimal pH of 9.0, and more than 90% of its activity was retained in the pH range 8.5-10.0. Moreover, AlgMytC was stable over a wide pH range. The activity of AlgMytC was also stable in the presence of various detergents.